-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목차
표목차 ⅲ
그림목차 ⅵ
국문초록 ⅸ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카이로프랙틱의 개념과 원리 4
2. 카이로프랙틱의 역사 6
3. 카이로프랙틱 주요 교정기법 9
4. 척추의 구조와 기능 15
5. 척추와 신경계 23
6. 교감신경, 부교감신경과 내장과의 관계 26
7. 척추의 질환 28
8. 현대의학의 척추수술과 비수술(카이로프랙틱요법)의 실태와 비교 34
Ⅲ. 연구 방법 38
1. 연구 대상 38
2. 연구 설계 39
3.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 41
4. 카이로프랙틱 시술방법 52
5. 설문조사 70
6. 자료처리 7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0
1. 연구대상자의 특성 70
2. 척추변위 발생요인 분석 74
3. 교정방법별 호전까지의 교정횟수 및 교정효과 비교 78
4. 척추교정 후 만족도 비교 88
5. 논의 101
Ⅴ. 결론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08
부록(설문지) 110
표 목 차 / 그 림 목 차
표목차
<표 1> 카이로프랙틱 요법 교정방법 적용 대상자 그룹 구분 40
<표 2> 카이로프랙틱요법과 특수교정도구셑과 햄머드릴 구성 40
<표 3> 그룹별 교정부위별 연구대상 인원 40
<표 4> 경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1
<표 5> 경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42
<표 6> 흉추(측만증)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3
<표 7> 흉추(측만증)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43
<표 8> 요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5명) 44
<표 9> 요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 5명) 44
<표 10> 골반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3명) 44
<표 11> 골반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3명) 45
<표 12> 골반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2명) 45
<표 13> 하지관절 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5
<표 14> 하지관절 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5
<표 15>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6
<표 16>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46
<표 17>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A, B그룹 통합) 46
<표 18> 경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7
<표 19> 요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47
<표 20> 요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7
<표 21> 골반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통합) 48
<표 22> 골반이상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8
<표 23> 흉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 통합) 48
<표 24> 흉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평균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9
<표 25> 하지관절 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 통합) 49
<표 26> 하지관절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9
<표 27>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49
<표 28>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 평균연령/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50
<표 29> 당뇨병 질환자의 진료기록서에 나타난 기록 내용 50
<표 31>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51
<표 32> 척추이상 소견자군의 연구대상 부위별 인원 71
<표 33> 척추이상 소견자의 연구대상 연령대 요약현황 71
<표 34> 척추이상 소견자의 통증, 불편부위와 연구대상 연령대 현황 71
<표 35>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일상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71
<표 36>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2
<표 37> 흉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일상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72
<표 38> 흉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2
<표 39> 요추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분석(10명) 73
<표 40> 요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3
<표 41> 골반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분석(5명) 73
<표 42> 골반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3
<표 43> 하지관절(오자다리) 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 분석 73
<표 44> 하지관절 주요 증상별 구분 73
<표 45> 비 근골격계 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 분석 74
<표 46> 하지관절 주요 증상별 구분 74
<표 47> 척추변위 발생요인별 구분 75
<표 48>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A, B그룹 통합) 75
<표 49> 경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75
<표 50> 요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75
<표 51> 요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76
<표 52> 골반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통합) 76
<표
그림목차 ⅵ
국문초록 ⅸ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2
3. 용어의 정의 3
Ⅱ. 이론적 배경 4
1. 카이로프랙틱의 개념과 원리 4
2. 카이로프랙틱의 역사 6
3. 카이로프랙틱 주요 교정기법 9
4. 척추의 구조와 기능 15
5. 척추와 신경계 23
6. 교감신경, 부교감신경과 내장과의 관계 26
7. 척추의 질환 28
8. 현대의학의 척추수술과 비수술(카이로프랙틱요법)의 실태와 비교 34
Ⅲ. 연구 방법 38
1. 연구 대상 38
2. 연구 설계 39
3.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 41
4. 카이로프랙틱 시술방법 52
5. 설문조사 70
6. 자료처리 7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0
1. 연구대상자의 특성 70
2. 척추변위 발생요인 분석 74
3. 교정방법별 호전까지의 교정횟수 및 교정효과 비교 78
4. 척추교정 후 만족도 비교 88
5. 논의 101
Ⅴ. 결론 104
참고문헌 106
Abstract 108
부록(설문지) 110
표 목 차 / 그 림 목 차
표목차
<표 1> 카이로프랙틱 요법 교정방법 적용 대상자 그룹 구분 40
<표 2> 카이로프랙틱요법과 특수교정도구셑과 햄머드릴 구성 40
<표 3> 그룹별 교정부위별 연구대상 인원 40
<표 4> 경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1
<표 5> 경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42
<표 6> 흉추(측만증)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3
<표 7> 흉추(측만증)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43
<표 8> 요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5명) 44
<표 9> 요추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 5명) 44
<표 10> 골반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3명) 44
<표 11> 골반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3명) 45
<표 12> 골반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 2명) 45
<표 13> 하지관절 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5
<표 14> 하지관절 이상 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5
<표 15>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A그룹) 46
<표 16>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의 불편부위와 주요 생활습관(B그룹) 46
<표 17>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A, B그룹 통합) 46
<표 18> 경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7
<표 19> 요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47
<표 20> 요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7
<표 21> 골반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통합) 48
<표 22> 골반이상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8
<표 23> 흉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 통합) 48
<표 24> 흉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평균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9
<표 25> 하지관절 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 통합) 49
<표 26> 하지관절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49
<표 27>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49
<표 28>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 평균연령/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50
<표 29> 당뇨병 질환자의 진료기록서에 나타난 기록 내용 50
<표 31> 비 근골격계 이상소견자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51
<표 32> 척추이상 소견자군의 연구대상 부위별 인원 71
<표 33> 척추이상 소견자의 연구대상 연령대 요약현황 71
<표 34> 척추이상 소견자의 통증, 불편부위와 연구대상 연령대 현황 71
<표 35>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일상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71
<표 36>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2
<표 37> 흉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일상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72
<표 38> 흉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2
<표 39> 요추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분석(10명) 73
<표 40> 요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3
<표 41> 골반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의 특성 분석(5명) 73
<표 42> 골반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 73
<표 43> 하지관절(오자다리) 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 분석 73
<표 44> 하지관절 주요 증상별 구분 73
<표 45> 비 근골격계 이상 소견자의 생활 습관 및 자세 분석 74
<표 46> 하지관절 주요 증상별 구분 74
<표 47> 척추변위 발생요인별 구분 75
<표 48> 경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A, B그룹 통합) 75
<표 49> 경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75
<표 50> 요추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그룹 통합) 75
<표 51> 요추 이상소견자 평균연령 / 교정횟수, 교정만족도 비교 76
<표 52> 골반이상 소견자의 주요 증상별 구분(A, B 그룹통합) 76
<표
본문내용
博 士 學 位 論 文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척추교정도구 요법의 효과연구
2013年 12月
미국동양학대학교
자연치유대학 수기치유학 카이로프랙틱 전공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Major in Naturopathy chiropractic Department
이 상 동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척추교정도구 요법의 효과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chiropractic therapy
on patients diagnosed with spinal abnormality
and spine correcting tools
2013年 12月
미국동양학대학교
자연치유대학 수기치유학 카이로프랙틱 전공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Major in Naturopathy chiropractic Department
이 상 동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척추교정도구 요법의 효과연구
指導敎授 : 黃 範 植
이 論文을 自然治癒學 博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13년 12월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Major in Naturopathy chiropractic Department
自然治癒學科 手技治癒學 카이로프랙틱 專攻
이 상 동
李 相 東의 博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委員長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2013年 12月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美 國 東 洋 學 大 學 敎
감사의 글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많은 격려와 지도를 해주시고, 힘들 때 늘 옆에서 용기와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분들에게 이 글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부족한 저를 자연치유학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 우리나라 자연치유학의 위치와 향후 자연치유학 분야의 방향 등 건강한 삶을 위한 자연치유학에 대한 학문적 지식의 정립과 발전방향 등을 지도하여 주시고, 또한 이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논문의 방향과 방법을 세심하게 지도 편달해 주신 김영배 총장님께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바쁘신 와중에도 논문 심사에 응해 주시고 알찬 논문이 될 수 있도록 세심한 지도와 격려를 해주신 지도교수 황범식 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격려와 도움을 주신 군, 학교 동기생과 선, 후배 동료 여러분들 그리고 미국동양학대학교 동료 선, 후배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자연치유학중에서 특히 수기치유학인 카이로프랙틱 임상을 위해 교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건양대학교 평생교육대학 원장님, 본인의 연구실에서 연구모델이 되어준 한순정 님, 피 교육생으로 열심히 교육에 임해 주신 학생, 청강생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리며, 좋은 논문이 나올 수 있도록 바쁜 와중에도 본인의 일처럼 임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피험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이 밖에도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였지만 저에게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고마움을 전하며 항상 행복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언제나 말없이 행동으로 모범이 되시고 본인을 위해 한없는 기도와 애정을 바쳐주신 세상에서 가장 존경하고 사랑하는 어머님께 이 논문으로 작으나마 보은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의 형제자매들과 처와 자식들에게도 사랑의 마음을 이 책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끝으로 학문하는 과정에서 얻은 값진 배움을 토대로 자연치유학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하겠습니다.
목 차
표목차ⅲ
그림목차ⅵ
국문초록ⅸ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2
3. 용어의 정의3
Ⅱ. 이론적 배경4
1. 카이로프랙틱의 개념과 원리4
2. 카이로프랙틱의 역사6
3. 카이로프랙틱 주요 교정기법9
4. 척추의 구조와 기능15
5. 척추와 신경계23
6. 교감신경, 부교감신경과 내장과의 관계26
7. 척추의 질환28
8. 현대의학의 척추수술과 비수술(카이로프랙틱요법)의 실태와 비교34
Ⅲ. 연구 방법38
1. 연구 대상38
2. 연구 설계39
3.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41
4. 카이로프랙틱 시술방법52
5. 설문조사70
6. 자료처리70
Ⅳ. 연구결과 및 논의70
1. 연구대상자의 특성70
2. 척추변위 발생요인 분석74
3. 교정방법별 호전까지의 교정횟수 및 교정효과 비교78
4. 척추교정 후 만족도 비교88
5. 논의101
Ⅴ. 결론104
참고문헌106
Abstract108
부록(설문지)110
표 목 차 / 그 림 목 차
표목차
<표 1> 카이로프랙틱 요법 교정방법 적용 대상자 그룹 구분40
<표 2> 카이로프랙틱요법과 특수교정도구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척추교정도구 요법의 효과연구
2013年 12月
미국동양학대학교
자연치유대학 수기치유학 카이로프랙틱 전공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Major in Naturopathy chiropractic Department
이 상 동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척추교정도구 요법의 효과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chiropractic therapy
on patients diagnosed with spinal abnormality
and spine correcting tools
2013年 12月
미국동양학대학교
자연치유대학 수기치유학 카이로프랙틱 전공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Major in Naturopathy chiropractic Department
이 상 동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카이로프랙틱 요법과
척추교정도구 요법의 효과연구
指導敎授 : 黃 範 植
이 論文을 自然治癒學 博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13년 12월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Major in Naturopathy chiropractic Department
自然治癒學科 手技治癒學 카이로프랙틱 專攻
이 상 동
李 相 東의 博士學位 論文을 認准함.
委員長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委 員 O O O 서명
2013年 12月
American Orientalism University
美 國 東 洋 學 大 學 敎
감사의 글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많은 격려와 지도를 해주시고, 힘들 때 늘 옆에서 용기와 조언을 아끼지 않았던 분들에게 이 글로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먼저 부족한 저를 자연치유학의 역사적 의의와 현재 우리나라 자연치유학의 위치와 향후 자연치유학 분야의 방향 등 건강한 삶을 위한 자연치유학에 대한 학문적 지식의 정립과 발전방향 등을 지도하여 주시고, 또한 이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논문의 방향과 방법을 세심하게 지도 편달해 주신 김영배 총장님께 진심으로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바쁘신 와중에도 논문 심사에 응해 주시고 알찬 논문이 될 수 있도록 세심한 지도와 격려를 해주신 지도교수 황범식 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논문이 완성되기까지 격려와 도움을 주신 군, 학교 동기생과 선, 후배 동료 여러분들 그리고 미국동양학대학교 동료 선, 후배님께도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자연치유학중에서 특히 수기치유학인 카이로프랙틱 임상을 위해 교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해 주신 건양대학교 평생교육대학 원장님, 본인의 연구실에서 연구모델이 되어준 한순정 님, 피 교육생으로 열심히 교육에 임해 주신 학생, 청강생 여러분들께도 감사드리며, 좋은 논문이 나올 수 있도록 바쁜 와중에도 본인의 일처럼 임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신 피험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이 밖에도 일일이 열거하지 못하였지만 저에게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고마움을 전하며 항상 행복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오늘이 있기까지 언제나 말없이 행동으로 모범이 되시고 본인을 위해 한없는 기도와 애정을 바쳐주신 세상에서 가장 존경하고 사랑하는 어머님께 이 논문으로 작으나마 보은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의 형제자매들과 처와 자식들에게도 사랑의 마음을 이 책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끝으로 학문하는 과정에서 얻은 값진 배움을 토대로 자연치유학 분야에 기여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하겠습니다.
목 차
표목차ⅲ
그림목차ⅵ
국문초록ⅸ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1
2. 연구의 목적2
3. 용어의 정의3
Ⅱ. 이론적 배경4
1. 카이로프랙틱의 개념과 원리4
2. 카이로프랙틱의 역사6
3. 카이로프랙틱 주요 교정기법9
4. 척추의 구조와 기능15
5. 척추와 신경계23
6. 교감신경, 부교감신경과 내장과의 관계26
7. 척추의 질환28
8. 현대의학의 척추수술과 비수술(카이로프랙틱요법)의 실태와 비교34
Ⅲ. 연구 방법38
1. 연구 대상38
2. 연구 설계39
3. 척추이상 소견자에 대한 생활습관 분석41
4. 카이로프랙틱 시술방법52
5. 설문조사70
6. 자료처리70
Ⅳ. 연구결과 및 논의70
1. 연구대상자의 특성70
2. 척추변위 발생요인 분석74
3. 교정방법별 호전까지의 교정횟수 및 교정효과 비교78
4. 척추교정 후 만족도 비교88
5. 논의101
Ⅴ. 결론104
참고문헌106
Abstract108
부록(설문지)110
표 목 차 / 그 림 목 차
표목차
<표 1> 카이로프랙틱 요법 교정방법 적용 대상자 그룹 구분40
<표 2> 카이로프랙틱요법과 특수교정도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