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공기업 입사대비] 한국가스공사 면접 대비자료 / 기출질문 및 솔루션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사,공기업 입사대비] 한국가스공사 면접 대비자료 / 기출질문 및 솔루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분석
2. 회사관련 기출 질문 및 답변
3. 핵심가치별 예상 질문 및 답변
4. 기본적인 예상 질문 및 답변

본문내용

한국가스공사 인성면접 대비자료
1. 기업분석
2. 회사관련 기출 질문 및 답변
3. 핵심가치별 예상 질문 및 답변
4. 기본적인 예상 질문 및 답변
한국가스공사 기업분석
1. 사업체계부분
2. 도입수송부분
3. 해외사업부분
4. 연구개발부분
1. 사업체계
해외원산지공정 1~4
천연가스는 해외 원산지에서 액화천연가스(LNG)상태로 KOGAS에 의해 도입됩니다.
KOGAS는 이 LNG를 다시 기화하여 발전소 등지에 직접 공급하거나 일반도시가스회사에 공급하게 됩니다.
1. 채취 및 정체 2. 생산국 액화설비 3. 생산국 저장탱크 4. 선적설비
KOGAS공정(도매업) 5~10
천연가스는 해외 원산지에서 액화천연가스(LNG)상태로 KOGAS에 의해 도입됩니다.
KOGAS는 이 LNG를 다시 기화하여 발전소 등지에 직접 공급하거나 일반도시가스회사에 공급하게 됩니다.
5. 하역설비 6. 저장탱크 7. 증발가스 압축기 8. 액화설비 9. 2차펌프 10. 기화기
도시가스사 소매업 11~17
천연가스는 해외 원산지에서 액화천연가스(LNG)상태로 KOGAS에 의해 도입됩니다.
KOGAS는 이 LNG를 다시 기화하여 발전소 등지에 직접 공급하거나 일반도시가스회사에 공급하게 됩니다.
11. 코가스배관망 12. 공급관리소 13. 발전소 14. 도시가스사 15. 일반가정 16. 일반사무실 17. 일반공장
2. 도입수송
3. 해외사업
4. 연구개발
- DME 기술
우리공사는 국제 환경규제 강화 및 에너지 수요 증가를 예상하여, 자원이 부족한 아시아지역에서 청정연료인 DME의 사용이 확산될 것을 고려하여, 해외 선진기술 수준의 국산화 DME 제조기술을 확보하고자 함은 물론 기술개발과 연계하여, 동남아시아 등의 가스전을 대상으로 LNG로 개발하기에는 경제성이 떨어지는 중소규모 가스전, 석탄층메탄(CBM) 등에서 DME를 생산ㆍ보급하는 상용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DME(Dimethyl Ether, CH3OCH3)의 약자로서 천연가스, CBM(Coal Bed Methane), Biomass 등 다양한 원료로부터 반응하여 추출되는 화합물이며, DME는 무색/무취의 연료로서 인체에 무해하고, 사용시 질소산화물과 이산화탄소 등이 적게 발생하여 청정한 연료로서 가정/상업용, 수송용 및 발전용 연료로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이다.
- DME 특성
물리적성질이 LPG와 유사하여 쉽게 혼합되어 DME-LPG 혼합연료로 사용
상압, -25℃ 또는 상온, 7기압 상태에서 쉽게 액화됨
세탄값이 디젤연료와 유사하여 디젤대체연료로 사용
디젤연료 대체시 오염 배출가스가 거의 발생되지 않아 대기환경개선 효과가 큼
- DME 용도
LPG(80%)와 DME(20%)의 혼합연료로 가정과 상업용으로 활용(시범보급 완료)
100% DME 연료는 디젤엔진에서 약간의 개조만으로 대체가 가능
- NGV
압축천연가스자동차(CNG) : 천연가스를 19.7MPa(200기압) 이상으로 압축, 저장하여 사용
액화천연가스자동차(LNG) : 천연가스를 액체(-150 ~ -120℃)로 저온용기에 저장하여 사용
흡착천연가스자동차(ANG) : 천연가스를 용기내의 흡착제에 흡착, 저장하여 사용
* 셰일가스
모래와 진흙이 단단하게 굳어진 암석(셰일) 안에 갇혀 있는 가스. 혈암층에 함유된 메탄가스로 유혈암에 높은 열과 압력을 가해 추출하는 천연가스의 일종
* 가스 하이드레이트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에서 생성되는 고체 에너지. 해저의 고압 저온 상태에서 물분자 간의 수소결합으로 형성되는 3차원 격자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격자 구조의 빈 공간 내에 메탄, 에탄, 프로판, 이산화탄소 등의 작은 가스 분자가 화학 결합이 아닌 물리적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온·상압 상태에서는 바로 물과 가스로 분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메탄이 90% 이상으로 ‘메탄 하이드레이트’라고도 불리며, 드라이아이스와 유사한 외관과 특성을 보여 ‘불타는 얼음’이라고도 불립니다.
한국가스공사
회사관련 기출 질문 및 답변
- 공기업이란 무엇이라 생각하는가?
정부가 국민생활의 모든 부분을 다 관리 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정부를 대변해서 국민과의 중간지점에 위치하여 국민들이 안락한 생활을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업이 바로 공기업이라고 생각한다.
- 왜 가스공사에 지원했는가?
저는 사실 작년 12월 15일 이 자리에 있었습니다. 아쉽게도 인연을 맺지 못하였지만 가스공사의 업무, 직원분들이 너무 좋아서 이렇게 다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을 만나보고 많은 현장견학을 다녀보았는데 저는 평택 LNG 인수기지에서의 기억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 가스공사가 나가야 할 방향은??
가스공사가 앞으로 어떤방향으로 나아가야하는지? 이라크 사업에 투입되면 어떤부분에서 어떻게 회사에 기여할수 있는지?
1) 신사업 도출 : 비전통 에너지원인 셰일가스 선점
2) 친환경 에너지 : DME의 광범위한 상용화, 바이오가스 개발
- 최근 가스공사 사업현황전반에 대해 아는거 있는대로 말해보라
Upstream
미얀마, 모잠비크 초대형 가스전(탐사사업)
이라크 유가스전 개발사업 수주(4개), 캐나다, 호주 비전통가스 개발 사업
Mid, Down Stream
1) 해외 LNG 터미널 운영사업(멕시코 만싸니오, 태국, 싱가폴, 중국)
2) 국내 가스 도매업
- 공기업의 수익성과 공익성중에 무엇이 더 중요한가
우리회사 빚도 많은데 수익성이 더 중요한거 아니냐?
공익성이 중요하다 물론 수익성도 무시할 수 없지만 수익성은 이익을 볼수도 손해도 볼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에너지원을 공급해야 하는 의무는 계속 시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동해안에 수익성이 없는데도 현재 배관을 이어가고 있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배관을 깔지 않고 해결할 방법은 없는가?
동해안의 주민들도 우리나라 국민입니다. 그들에게도 에너지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가 있으며 사용하기 편리한 천연가스를 공급하여
  • 가격5,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5.10.08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38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