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 · · · · · · · · · · · · · · · · 1
1. 기존 연구사 검토
2.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관촌수필』 전반부 인물 탐구 · · · · · · · · 2
Ⅲ. 『관촌수필』 후반부와 『우리동네』의 인물탐구 · · 6
Ⅳ. 결론 · · · · · · · · · · · · · · · · · 12
Ⅴ. 참고문헌
Ⅰ. 서론 · · · · · · · · · · · · · · · · · 1
1. 기존 연구사 검토
2.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관촌수필』 전반부 인물 탐구 · · · · · · · · 2
Ⅲ. 『관촌수필』 후반부와 『우리동네』의 인물탐구 · · 6
Ⅳ. 결론 · · · · · · · · · · · · · · · · · 12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물로 보는 이문구 소설
- 『관촌수필』,『우리동네』 중심으로 -
<목차>
Ⅰ. 서론 · · · · · · · · · · · · · · · · · 1
1. 기존 연구사 검토
2.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관촌수필』 전반부 인물 탐구 · · · · · · · · 2
Ⅲ. 『관촌수필』 후반부와 『우리동네』의 인물탐구 · · 6
Ⅳ. 결론 · · · · · · · · · · · · · · · · · 12
Ⅴ. 참고문헌
Ⅰ.서론
1. 기존 연구사
이문구는 고유의 문체를 사용하여 농촌의 문제를 다룬 소설을 쓴 작가로, 농촌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농민의 삶에 관심을 가졌다. 이문구의 작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농촌이 이문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느냐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농촌소설로 일관된 작품 활동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탐구해 보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의 관점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관점들이 생겨났다.
첫 번째는, 당대의 농촌 현실과 시대성이 부합해 생겨나는 문제들을 다루는 사회 문화적 관점이다. 산업화, 근대화로 생긴 여파가 농촌 현실을 극대화 하였다는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김종철 김종철, 「작가의 진실성과 문학의 관점」, 농민문학론, 1983.
은 반상적 질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었고, 황종연 황종연, 「도시화·산업화 시대의 방외인」, 작가세계, 1992.
은 도시화, 산업화 시대의 고향의 상실이 소설의 기본 주제라고 보았다. 이 외에도 염무웅 염무웅, 「근대소설의 경항과 전망」, 창작과 비평, 1978, p.330쪽
, 백낙청 백낙청, 「사회비평 이상의 것」, 창작과 비평, 1979.
등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두 번째는, 이문구의 작품을 형식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서술 방법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형식미학적 연구들은 이문구 소설의 문체인 특유의 입담과 만연체의 긴 문장에서 구전문학의 자취를 발견하고 있다. 이문구 소설만이 가지고 있는 문체적 특징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임우기 임우기, 「매개의 문법에서 교감의 문법으로」, 문예중앙, 1993
는 이문구 문체의 특질에 대해 이분법적 서구적 소설관과는 다른 차원의 세계관과 소설관이라 하였고, 정황과 교감의 문체로서의 이문구 문체가 보여주는 연대의 세계관이 지니는 의미를 강조했다. 또한 전정구 전정구, 「이문구 소설의 문체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9집, 1998
는 도시적 이론보다는 문장 구성 방식과 언어 선택의 관점에서 문체의 실상을 밝히려는 노력을 통해, 근대화 논리의 부정성에 대한 비판이자 적극적 대응 양상이라는 주제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그 밖에 연작 기법에 관한 형식 미학적 측면에서의 연구, 작품의 문체나 형식적 특징을 가지고 현대적 부분에 초점을 맞춘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2. 문제 제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두 연작에 드러나는 인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사에서는 사회문화적 관점이나 문체에 대한 연구를 주로 했지만 우리는 소설의 인물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인물은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이 인물들이 어떤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소설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두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하여, 소설이 쓰여진 당시의 사회모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 소설의 개성적 인물들에 대해 파악하고, 시대에 따라 나타나는 인물상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Ⅱ. 『관촌수필』 전반부 인물 탐구
『관촌수필』은 총 8편으로 이루어진 연작소설로 제1~5편의 이야기는 전반부로, 그 후의 이야기는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는 전쟁 전후의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관촌마을의 생활사에 담긴 ‘나’의 추억담을 말하고 있다.
1. 전근대적인 농촌공동체의 인물
1) 할아버지
이 작품에서 할아버지는 서술자의 평생에 걸쳐 영향을 끼친 중요한 인물이다. 최후의 이조인이라 할 만큼 엄격한 양반 정신의 소유자이며, 손자에게 대소 범절과 글을 가르치는 등 관촌 마을의 큰어른으로 존재한다.
“세상이 아무리 앞뒤가
- 『관촌수필』,『우리동네』 중심으로 -
<목차>
Ⅰ. 서론 · · · · · · · · · · · · · · · · · 1
1. 기존 연구사 검토
2.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관촌수필』 전반부 인물 탐구 · · · · · · · · 2
Ⅲ. 『관촌수필』 후반부와 『우리동네』의 인물탐구 · · 6
Ⅳ. 결론 · · · · · · · · · · · · · · · · · 12
Ⅴ. 참고문헌
Ⅰ.서론
1. 기존 연구사
이문구는 고유의 문체를 사용하여 농촌의 문제를 다룬 소설을 쓴 작가로, 농촌이라는 한정된 공간 속에서 농민의 삶에 관심을 가졌다. 이문구의 작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농촌이 이문구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느냐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농촌소설로 일관된 작품 활동이 지니는 의미에 대해 탐구해 보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의 관점이 가지는 한계를 보완할 관점들이 생겨났다.
첫 번째는, 당대의 농촌 현실과 시대성이 부합해 생겨나는 문제들을 다루는 사회 문화적 관점이다. 산업화, 근대화로 생긴 여파가 농촌 현실을 극대화 하였다는 문학사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김종철 김종철, 「작가의 진실성과 문학의 관점」, 농민문학론, 1983.
은 반상적 질서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었고, 황종연 황종연, 「도시화·산업화 시대의 방외인」, 작가세계, 1992.
은 도시화, 산업화 시대의 고향의 상실이 소설의 기본 주제라고 보았다. 이 외에도 염무웅 염무웅, 「근대소설의 경항과 전망」, 창작과 비평, 1978, p.330쪽
, 백낙청 백낙청, 「사회비평 이상의 것」, 창작과 비평, 1979.
등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두 번째는, 이문구의 작품을 형식적인 측면에서 바라본 것으로, 서술 방법에 대한 논의이다. 이러한 형식미학적 연구들은 이문구 소설의 문체인 특유의 입담과 만연체의 긴 문장에서 구전문학의 자취를 발견하고 있다. 이문구 소설만이 가지고 있는 문체적 특징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임우기 임우기, 「매개의 문법에서 교감의 문법으로」, 문예중앙, 1993
는 이문구 문체의 특질에 대해 이분법적 서구적 소설관과는 다른 차원의 세계관과 소설관이라 하였고, 정황과 교감의 문체로서의 이문구 문체가 보여주는 연대의 세계관이 지니는 의미를 강조했다. 또한 전정구 전정구, 「이문구 소설의 문체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9집, 1998
는 도시적 이론보다는 문장 구성 방식과 언어 선택의 관점에서 문체의 실상을 밝히려는 노력을 통해, 근대화 논리의 부정성에 대한 비판이자 적극적 대응 양상이라는 주제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그 밖에 연작 기법에 관한 형식 미학적 측면에서의 연구, 작품의 문체나 형식적 특징을 가지고 현대적 부분에 초점을 맞춘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2. 문제 제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두 연작에 드러나는 인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사에서는 사회문화적 관점이나 문체에 대한 연구를 주로 했지만 우리는 소설의 인물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는 것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인물은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고 이 인물들이 어떤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소설이 전개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두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성격을 파악하여, 소설이 쓰여진 당시의 사회모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 소설의 개성적 인물들에 대해 파악하고, 시대에 따라 나타나는 인물상에 대해 논의 할 것이다.
Ⅱ. 『관촌수필』 전반부 인물 탐구
『관촌수필』은 총 8편으로 이루어진 연작소설로 제1~5편의 이야기는 전반부로, 그 후의 이야기는 후반부로 나뉜다. 전반부는 전쟁 전후의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관촌마을의 생활사에 담긴 ‘나’의 추억담을 말하고 있다.
1. 전근대적인 농촌공동체의 인물
1) 할아버지
이 작품에서 할아버지는 서술자의 평생에 걸쳐 영향을 끼친 중요한 인물이다. 최후의 이조인이라 할 만큼 엄격한 양반 정신의 소유자이며, 손자에게 대소 범절과 글을 가르치는 등 관촌 마을의 큰어른으로 존재한다.
“세상이 아무리 앞뒤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