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개별 고전소설 분석
2.1 <이생규장전> 분석
2.2 <홍길동전> 분석
2.3 <사씨남정기> 분석
2.4 <양반전> 분석
3. 결론
4. 참고문헌
2. 개별 고전소설 분석
2.1 <이생규장전> 분석
2.2 <홍길동전> 분석
2.3 <사씨남정기> 분석
2.4 <양반전> 분석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정조와 절개에 대한 가치를 보상받는다는 점, 소설 안에서 남성인 이생이 보이는 무책임함과 더불어 최씨가 정조와 절개를 강요받는 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을 생각해보았다.
<홍길동전>에서는 ‘길동’을 통해 당시 신분제도에 의해 차별을 받았던 서자 문제의 실태와 이러한 규율로부터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작가의 메시지가 독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초월적인 능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 길동의 갈등해소가 개인적 욕망의 해소로 귀결되었다는 점, 결말부분에 길동의 율도국의 침략행위가 소설에서 제기하고 있는 메시지를 상당부분 훼손하고 있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적해보았다.
<사씨남정기>에서는 사씨와 교씨의 대립구도가 단일한 메시지가 아닌 다각적인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성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사씨를 통해 축첩제 문제의 발단이 시작되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선악의 구도가 흐려진다는 점과, 축첩제 문제의 메시지마저도 결말 부분에 다시금 첩을 들이게 된다는 점에서 메시지가 저해된다는 한계점을 찾아보았다.
<양반전>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의 언급과 양반 매매 증서에서 드러나는 양반의 묘사를 통해 양반 신분이 가지고 있는 허위성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과가 있지만, 작품에서 등장하는 양반들의 직접적인 행동에서는 양반의 부정적인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메시지의 전달이 약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렇듯 지금까지 살펴본 각각의 소설들은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사회적 메시지가 작품 내에 드러나고 있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 나름의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소설들이 창작되는 시기가 유교적 질서가 강하게 지배하고 있었던 시대였음을 상기해볼 때, 작품에서 드러나는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메시지가 소설을 통해 드러나고 독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메시지들을 접하고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문학과 역사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김만중 (구인환 엮음), 『사씨남정기』, 신원문화사, 2003
박일용, 「사씨남정기의 이념과 미학」, 『고소설연구』 Vol.6, 1998
<홍길동전>에서는 ‘길동’을 통해 당시 신분제도에 의해 차별을 받았던 서자 문제의 실태와 이러한 규율로부터의 속박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그려냈다는 점에서 작가의 메시지가 독자에게 전달되고 있으나, 이러한 과정에서 초월적인 능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 길동의 갈등해소가 개인적 욕망의 해소로 귀결되었다는 점, 결말부분에 길동의 율도국의 침략행위가 소설에서 제기하고 있는 메시지를 상당부분 훼손하고 있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적해보았다.
<사씨남정기>에서는 사씨와 교씨의 대립구도가 단일한 메시지가 아닌 다각적인 메시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성과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사씨를 통해 축첩제 문제의 발단이 시작되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선악의 구도가 흐려진다는 점과, 축첩제 문제의 메시지마저도 결말 부분에 다시금 첩을 들이게 된다는 점에서 메시지가 저해된다는 한계점을 찾아보았다.
<양반전>은 소설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의 언급과 양반 매매 증서에서 드러나는 양반의 묘사를 통해 양반 신분이 가지고 있는 허위성을 신랄하게 풍자하고 있다는 점에서 성과가 있지만, 작품에서 등장하는 양반들의 직접적인 행동에서는 양반의 부정적인 모습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메시지의 전달이 약화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렇듯 지금까지 살펴본 각각의 소설들은 작가가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사회적 메시지가 작품 내에 드러나고 있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데 있어서 나름의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이 소설들이 창작되는 시기가 유교적 질서가 강하게 지배하고 있었던 시대였음을 상기해볼 때, 작품에서 드러나는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메시지가 소설을 통해 드러나고 독자들에게 전달될 수 있었다는 데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당시의 진보적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메시지들을 접하고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이고 심층적인 문학과 역사에 대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4. 참고문헌
김병국, 『서포 김만중의 생애와 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김만중 (구인환 엮음), 『사씨남정기』, 신원문화사, 2003
박일용, 「사씨남정기의 이념과 미학」, 『고소설연구』 Vol.6, 199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