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 論
Ⅱ. 本 論
Ⅲ. 結 論
Ⅱ. 本 論
Ⅲ. 結 論
본문내용
기에 이장하게 되었다고 한다. 고아주광역시에서 조성,운영하여 온 5.18묘지가 2002년 7월 27일 국립묘지로 승격됨에 따라 국가보훈처에서 관장하게 되었다고 한다. 앞으로도 이곳에 잠들어 계신 분들의 거룩한 정신이 여기 우뚝선 탑 위에 장엄한 불꽃으로 솟아 우리 민족과 세계인의 가슴속에 널리 번져나갈 것이다.
또한 이곳은 민주공간과 참배공간 추모공간 역사와 기억의 공간으로 나뉘어 있다. 참배공간은 오월 영령의 숭고한 희생 정신을 받드는 형상의 문인 추념문과 함께 참배 광장 그리고 위 사진에 보이는 5.18민주항쟁 추모탑이 새워져 있다. 5.18민주항쟁 추모탑은 높이 40M의 웅장한 석조 건축물로 우리나라 전통 석조물인 당간지주(幢竿支柱)형태를 현대적으로 형상화했다. 탑 중간에 있는 조형물은 난형환조(卵形丸彫)로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되신 분들의 영혼이 새로운 생명으로 부활하라는 희망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옆에 무장항쟁군상이 배치되어 있는데 아래 보이는 녹색으로 세워진 상이다. 이 상항은 불의에 저항해 총을 들고 항쟁하던 시민군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 맞은편으로 녹색으로 세워진 상은 대동세상군상이라고 부르는데 이 상은 슬픔을 딛고 승리를 노래하며 질서와 치안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1980년 5월 당시의 “대동세상‘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상은 우리 5.18민주화 운동 당시를 생생히 기억나게 하나느 상으로 가슴으로 찡한 슬픔과 감동이 밀려왔다.
이곳을 지나 문 옆에 가까이 새로 새워진 추모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이곳은 전시실, 영상실, 자료실 등을 갖춘 5.18추모관으로 유품, 자료들을 전시함은 물론 5.18민주화운동을 통해 불의에 항거한 그분들의 숭고한 민주정신을 널리 알리고 우리 자손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을 함양하고자 2007년 개관된 곳이다.
추모관에 처음 들어서면 옆 사진과 같이 5.18민주화운동을 기르며 가슴아파하는 시와 포스터 들이 줄지어 전시되어 있다. 포스터들을 감상하며 2층 계단으로 올라가면 아래 사진처럼 민주항쟁에서 희생된 분들에 대해 소개를 해놓았다. 이곳을 지나치면 친구들과 사진도 찍고 온 기록도 남길 수 있는 휴식의 공간도 자리하고 있고 , 그 안쪽으로 들어가면 다양한 책과함께 독서할수 있는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바로 아래보이는 사진에 보이는 서예작은 한 초등학생으 쓴 수상작으로 독서실옆에 위치한 휴식의 공간에 전시되어 있어서 사진으로 찍어보았다.
전시관 관람 후 추념문 옆으로 가면 역사와 기억의 공간인 역사의문이 위치한다. 이 역사의문은 참배를 마친 방문객들이 역사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시설물 이며 전통 한옥건물로 휴게공간과 어린이 체험학습관이 위치하고 있었다.
이 사진은 전화를 받고 있는데, 같이 간 후배인 김선과 예슬이가 사진을 찍어 주었다. 그리고 김선에게 부탁하여 예슬이와 함께 사진을 찰깍 찍었다. 다음에는 선과도 함께 사진을 찍어야 겠다 다짐하며 다음 장소인 소쇄원으로 이동했다.
소쇄원은 답사과정 중에서 여러번 들린 장소이다. 언제바도 한국적인 정원의 풍경이 그읏하게 펼쳐진 장엄한 곳이다. 일본의 정원과는 차이를 보이는 우리 한국적인 미가 물씬 풍기는 대표적인 장소로써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은 소쇄원을 들어가는 입구이다. 소쇄원에서 입장료를 끝고 들어가면 죽녹원처럼 대나무의 숲길이 길게 펼쳐져 있다. 우리 사학과 학생들 93명은 가는 길에 사진도 찍으며 소쇄원에 입장하는 중이다.
소쇄원에 도착하니 아름다운 자연이 한눈에 들어왔다. 따뜻한 날씨덕분인지 진달래꽃도 활짝 피어 있었다. 한국적인 담벼락과 그 곳에는 흰 종이에 소쇄처사양공지려가 있다. 옆 사진은 제월당이다.
소쇄원을 조성한 사람은 양산보로써 어릴 때 조광조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고 한다. 양산보는 현량과에 응시하여 합격하기도 했으나, 1519년 기묘사화로 인해 스승 조광조가 능주로 유배당하게 되자 귀향가는 스승을 모시고 낙향하게 된다. 그 후 조고아조는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았고 양산보는 세족적인 출세를 단념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에 숨어 살기를 결심하였다. 양산보가 담양의 창암촌에 동아온 시기는 열여덟살 때(1920)인데 창암촌으로 돌아온 즉시 소쇄우너을 조성하기 시작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소쇄원의 조성 연대를 상고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되는 송순의 시 「외제양언진 소쇄정 사수 가정 갑오」를 보면 갑오년인 1534년 소쇄원의 각, 정, 헌, 지의 조원 구조물과 대나무, 벽오동, 매화나무 등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소쇄원의 조성
또한 이곳은 민주공간과 참배공간 추모공간 역사와 기억의 공간으로 나뉘어 있다. 참배공간은 오월 영령의 숭고한 희생 정신을 받드는 형상의 문인 추념문과 함께 참배 광장 그리고 위 사진에 보이는 5.18민주항쟁 추모탑이 새워져 있다. 5.18민주항쟁 추모탑은 높이 40M의 웅장한 석조 건축물로 우리나라 전통 석조물인 당간지주(幢竿支柱)형태를 현대적으로 형상화했다. 탑 중간에 있는 조형물은 난형환조(卵形丸彫)로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되신 분들의 영혼이 새로운 생명으로 부활하라는 희망의 의미를 담고 있다.
그 옆에 무장항쟁군상이 배치되어 있는데 아래 보이는 녹색으로 세워진 상이다. 이 상항은 불의에 저항해 총을 들고 항쟁하던 시민군을 형상화한 것이다. 그 맞은편으로 녹색으로 세워진 상은 대동세상군상이라고 부르는데 이 상은 슬픔을 딛고 승리를 노래하며 질서와 치안유지를 위해 노력하는 1980년 5월 당시의 “대동세상‘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상은 우리 5.18민주화 운동 당시를 생생히 기억나게 하나느 상으로 가슴으로 찡한 슬픔과 감동이 밀려왔다.
이곳을 지나 문 옆에 가까이 새로 새워진 추모공간이 배치되어 있다. 이곳은 전시실, 영상실, 자료실 등을 갖춘 5.18추모관으로 유품, 자료들을 전시함은 물론 5.18민주화운동을 통해 불의에 항거한 그분들의 숭고한 민주정신을 널리 알리고 우리 자손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을 함양하고자 2007년 개관된 곳이다.
추모관에 처음 들어서면 옆 사진과 같이 5.18민주화운동을 기르며 가슴아파하는 시와 포스터 들이 줄지어 전시되어 있다. 포스터들을 감상하며 2층 계단으로 올라가면 아래 사진처럼 민주항쟁에서 희생된 분들에 대해 소개를 해놓았다. 이곳을 지나치면 친구들과 사진도 찍고 온 기록도 남길 수 있는 휴식의 공간도 자리하고 있고 , 그 안쪽으로 들어가면 다양한 책과함께 독서할수 있는 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바로 아래보이는 사진에 보이는 서예작은 한 초등학생으 쓴 수상작으로 독서실옆에 위치한 휴식의 공간에 전시되어 있어서 사진으로 찍어보았다.
전시관 관람 후 추념문 옆으로 가면 역사와 기억의 공간인 역사의문이 위치한다. 이 역사의문은 참배를 마친 방문객들이 역사체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시설물 이며 전통 한옥건물로 휴게공간과 어린이 체험학습관이 위치하고 있었다.
이 사진은 전화를 받고 있는데, 같이 간 후배인 김선과 예슬이가 사진을 찍어 주었다. 그리고 김선에게 부탁하여 예슬이와 함께 사진을 찰깍 찍었다. 다음에는 선과도 함께 사진을 찍어야 겠다 다짐하며 다음 장소인 소쇄원으로 이동했다.
소쇄원은 답사과정 중에서 여러번 들린 장소이다. 언제바도 한국적인 정원의 풍경이 그읏하게 펼쳐진 장엄한 곳이다. 일본의 정원과는 차이를 보이는 우리 한국적인 미가 물씬 풍기는 대표적인 장소로써 사진을 찍었다.
이 사진은 소쇄원을 들어가는 입구이다. 소쇄원에서 입장료를 끝고 들어가면 죽녹원처럼 대나무의 숲길이 길게 펼쳐져 있다. 우리 사학과 학생들 93명은 가는 길에 사진도 찍으며 소쇄원에 입장하는 중이다.
소쇄원에 도착하니 아름다운 자연이 한눈에 들어왔다. 따뜻한 날씨덕분인지 진달래꽃도 활짝 피어 있었다. 한국적인 담벼락과 그 곳에는 흰 종이에 소쇄처사양공지려가 있다. 옆 사진은 제월당이다.
소쇄원을 조성한 사람은 양산보로써 어릴 때 조광조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고 한다. 양산보는 현량과에 응시하여 합격하기도 했으나, 1519년 기묘사화로 인해 스승 조광조가 능주로 유배당하게 되자 귀향가는 스승을 모시고 낙향하게 된다. 그 후 조고아조는 유배지에서 사약을 받았고 양산보는 세족적인 출세를 단념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자연에 숨어 살기를 결심하였다. 양산보가 담양의 창암촌에 동아온 시기는 열여덟살 때(1920)인데 창암촌으로 돌아온 즉시 소쇄우너을 조성하기 시작한 것은 아니라고 한다. 소쇄원의 조성 연대를 상고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료가 되는 송순의 시 「외제양언진 소쇄정 사수 가정 갑오」를 보면 갑오년인 1534년 소쇄원의 각, 정, 헌, 지의 조원 구조물과 대나무, 벽오동, 매화나무 등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소쇄원의 조성
추천자료
지역 감정에 대해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문화행사 개최지역의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지역인적자원 개발(RHRD)에 관하여-현재동향, 문제점,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행사개최지역의장소마케팅전략에관한연구
축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함평나비대축제와 네덜란드 튤립축제 비교
광주광역시(한글)
갓김치보고서
[인문과학] [저출산] 문제 원인 분석, 지역별 출산 장려정책 특성 및 국가적 차원의 출산장려...
함평 나비 축제의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
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주항쟁, 5 18광주민중항쟁) 역사적 의의, 5 18광주민주화운동(...
[5 18]5 18광주민주화운동(5 18광주민중항쟁, 5 18광주민주항쟁) 한국인식, 5 18광주민주화운...
창원시 청사 소재지를 둘러싼 주민 간 갈등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