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침수취약지역 분석
3. 홍수취약지역 예측방법 개발
4. 결론
2. 침수취약지역 분석
3. 홍수취약지역 예측방법 개발
4. 결론
본문내용
석에서 경사가 5도 이하인 지역, 토지피복분석에서 산림과 경작지인 지역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으로 보아 각각의 분석에 대한 결과를 중첩하면 홍수취약지역을 예측할 수 있을것이라 판단, 중첩 결과를 그림4에 나타내었다. 예측지역과 1999년 침수지역의 공간적 범위가 거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2 지형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하천유역에 있는 어느 한 지점에서의 하천의 범람에 의한 침수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형침수예측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은 하천에 대한 지형학적 위치를 토대로 한 방법으로서 한 지점의 침수가능성은 그 지점과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수문학적 링크에 있는 하천 사이의 표고차와 직접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여 침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DEM과 하천을 결합하여 사용하였고 대상지역의 모든 그리드 위치에 대해서 하천에 대한 지형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하천의 수문학적 링크에서의 상대표고를 계산하였다.
3.3 홍수위-거리를 이용하는 방법
홍수위-거리 침수예측방법은 유역내의 모든 하천에 대한 재현기간별 홍수위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다. 대상지역에 있는 하천에 대한 하천정비 기본계획 등의 보고서로부터 재현기간별 홍수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구로부터 누적거리에 대한 홍수위에 대한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50년, 80년, 100년 빈도에 대한 회귀분석식은 다음과 같고 그림6에 회귀분석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빈도별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는 세가지 모두 0.47정도이다.
대상유역에 대해 하천거리그리드를 적성했는데 이는 유역에 하천의 하구로부터 거리를 계산한 것으로 각 셀의 값은 하천의 하구로부터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하천거리그리드에 대해 생성된 회귀분석식을 적용하면 재현기간별 홍수위그리드를 계산할 수 있다. 재현기간별 홍수위그리드로부터 홍수가능성을 유역의 모든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는데 이것은 각 빈도의 홍수에 대한 홍수위를 DEM에 있는 대응 표고에서 빼는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음의 값은 홍수에 대해 침수지점이며 양의 값은 침수되지 않는 지점으로 그림7에 나타내었다.
3.4 홍수위-표고를 이용하는 방법
대상유역 내에 있는 하천에 대한 재현기간별 홍수위 자료와 그 지점의 표고값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위-표고 값들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80년, 100년 빈도의 홍수위와 표고에 대한 회귀분석식은 다음과 같고 그래프는 그림8에 나타내었다. 빈도별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는 세가지 경우 모두 0.56정도 이다. 개발된 회귀분석식을 대상유역의 모든 그리드 셀에 적용하여 유역전체에 대한 빈도별 홍수위 그리드를 작성하여 그 결과를 그림 9에 나타내었다.
3.5 예측결과
4가지 방법을 가지고 범람지역을 예측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4에 비율은 전체면적에 대한 범람 지역의 면적비율이다.
4. 결론
홍수기록이 부족한 대규모의 넓은 지역에 대해 홍수에 의한 침수가능성이 있는 취약지역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예측할 목적으로 수치고도모형(DEM), 토지피복도 등의 지형학적 자료와 빈도별 홍수위 자료에 대해 GIS를 사용하여 네가지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수치고도모형, 토지피복도, 과거침수자료를 이용한 분석으로서 분석대상 지역에 대한 지형분석, 토지피복분석등을 이용하여 침수취약지역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지형자료 만을 이용한 분석방법으로서 한 지점의 침수가능성은 그 지점과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수문학적 링크에 있는 하천의 표고차와 직접 관련된다는 가정을 이용한 방법이고 세 번째 방법은 지형자료와 빈도별 홍수위에 대한 회귀 분석식을 개발하고 대상유역 전체에 적용 시키는 방법이다. 네 번
3.2 지형자료를 이용하는 방법
하천유역에 있는 어느 한 지점에서의 하천의 범람에 의한 침수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지형침수예측방법을 고안하였다. 이 방법은 하천에 대한 지형학적 위치를 토대로 한 방법으로서 한 지점의 침수가능성은 그 지점과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수문학적 링크에 있는 하천 사이의 표고차와 직접 관련이 있다고 가정하여 침수를 예측하는 방법이다. DEM과 하천을 결합하여 사용하였고 대상지역의 모든 그리드 위치에 대해서 하천에 대한 지형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하천의 수문학적 링크에서의 상대표고를 계산하였다.
3.3 홍수위-거리를 이용하는 방법
홍수위-거리 침수예측방법은 유역내의 모든 하천에 대한 재현기간별 홍수위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다. 대상지역에 있는 하천에 대한 하천정비 기본계획 등의 보고서로부터 재현기간별 홍수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이용하여 하구로부터 누적거리에 대한 홍수위에 대한 데이터를 작성하였다.
50년, 80년, 100년 빈도에 대한 회귀분석식은 다음과 같고 그림6에 회귀분석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빈도별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는 세가지 모두 0.47정도이다.
대상유역에 대해 하천거리그리드를 적성했는데 이는 유역에 하천의 하구로부터 거리를 계산한 것으로 각 셀의 값은 하천의 하구로부터 거리를 나타내고 있다. 하천거리그리드에 대해 생성된 회귀분석식을 적용하면 재현기간별 홍수위그리드를 계산할 수 있다. 재현기간별 홍수위그리드로부터 홍수가능성을 유역의 모든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는데 이것은 각 빈도의 홍수에 대한 홍수위를 DEM에 있는 대응 표고에서 빼는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음의 값은 홍수에 대해 침수지점이며 양의 값은 침수되지 않는 지점으로 그림7에 나타내었다.
3.4 홍수위-표고를 이용하는 방법
대상유역 내에 있는 하천에 대한 재현기간별 홍수위 자료와 그 지점의 표고값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홍수위-표고 값들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80년, 100년 빈도의 홍수위와 표고에 대한 회귀분석식은 다음과 같고 그래프는 그림8에 나타내었다. 빈도별 회귀분석의 결정계수()는 세가지 경우 모두 0.56정도 이다. 개발된 회귀분석식을 대상유역의 모든 그리드 셀에 적용하여 유역전체에 대한 빈도별 홍수위 그리드를 작성하여 그 결과를 그림 9에 나타내었다.
3.5 예측결과
4가지 방법을 가지고 범람지역을 예측한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표4에 비율은 전체면적에 대한 범람 지역의 면적비율이다.
4. 결론
홍수기록이 부족한 대규모의 넓은 지역에 대해 홍수에 의한 침수가능성이 있는 취약지역의 범위를 개략적으로 예측할 목적으로 수치고도모형(DEM), 토지피복도 등의 지형학적 자료와 빈도별 홍수위 자료에 대해 GIS를 사용하여 네가지 분석방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수치고도모형, 토지피복도, 과거침수자료를 이용한 분석으로서 분석대상 지역에 대한 지형분석, 토지피복분석등을 이용하여 침수취약지역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방법은 지형자료 만을 이용한 분석방법으로서 한 지점의 침수가능성은 그 지점과 그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수문학적 링크에 있는 하천의 표고차와 직접 관련된다는 가정을 이용한 방법이고 세 번째 방법은 지형자료와 빈도별 홍수위에 대한 회귀 분석식을 개발하고 대상유역 전체에 적용 시키는 방법이다. 네 번
키워드
추천자료
수질공학적 특성
생명공학에의 농업의 이용방안
물 수요분석을 통한 합리적 수자원 정책방향 수립에 관한 연구
인장강도, 충격강도, 전도성 고분자 실험 예비 레포트
공학작문의 작성법 (How to Write Publish & a Scientific Paper)
기초기계공학 실험 - 인장실험
산업체 실무 강좌 레포트,내가 토목인 으로써 해야 할 일
2015년 1학기 교육공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육공학 정의, 교육공학 다섯가지 영역)
금오공과대학교 C언어응용설계(박원우) 데일리 레포트, 시험참고 자료입니다.
교량공학(교량설계예제-합성i거더교의 하중분배)
교량공학(교량설계예제-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의 설계)
교량공학(교량설계예제-단순합성i거더교의 유효폭과 응력계산)
2017년 1학기 교육공학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교육공학 정의, 교육공학 다섯가지 영역)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_e러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