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작중 인물을 통해
1. 순응주의자의 삶
2. 향락주의자의 삶
3. 진보주의자의 삶
Ⅲ. 어떻게 말하는가
1. 시․공간적 자세
2. 작가의 언어 조정
Ⅳ. 「탁류」의 가치
Ⅴ. 나가며
<참고문헌>
Ⅱ.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 작중 인물을 통해
1. 순응주의자의 삶
2. 향락주의자의 삶
3. 진보주의자의 삶
Ⅲ. 어떻게 말하는가
1. 시․공간적 자세
2. 작가의 언어 조정
Ⅳ. 「탁류」의 가치
Ⅴ.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러 죽이고 싶다든지, 부등부등 깨물어 먹고 싶다든지 하는 대화는 상대방의 엽기적 충동을 자극하고 그 자극이 결국은 자기 자신에게 돌아오도록 구조화되어 있다. 젖먹이를 버리고 달아난 여자를 어떻게 괴롭혔는가 하는 에피소드는 혐오감을 자극한다. 장형보의 왜곡된 심리를 드러내는 데에 효과적이라고는 하지만 형상화 측면에서는 역시 지나치다. 우한용, 앞의 책, p. 615.
Ⅳ. 「탁류」의 가치
「탁류」는 항구 도시 군산과 금강 하류의 풍광, 그리고 작가 자신의 가정이 경험한 바 일본 자본의 침식에 의한 식민지 조선 농민의 몰락과 도시 빈민의 궁핍화, 바로 그것이 이 소설이 배경이자 내용이다.
이 작품은 30년대 일제식민지치하의 궁핍함과 사회의 구조적 모순 등에 대한 작가의 현실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것을 개성이 뚜렷한 인물들을 통해 잘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뚜렷하게 제시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시대상황에 굴복하지 않고 내일을 기약하는 미래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가치를 정리할 수 있다.
Ⅴ. 나가며
이상으로 「탁류」의 작중인물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바와 그것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 작품의 가치를 알아보았다.
식민지 시대의 혼탁한 물결에 휩쓸려 무너지는 한 가족과 그 주변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당시 사회의 어두운 세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당대 사회를 속악(俗惡)하기 이를 데 없는 '탁류'로 보고, 그 탁류에 휩쓸려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자신의 살을 갉아먹고 있는 도시 하층민의 생활 방식을 고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절망감을 딛고 일어서서 당대 사회의 속악성(俗惡性)과 대결할 것을 기약하는 '계봉', '남승재' 등의 새로운 인간상도 보여 줌으로서 '탁류'가 몰고 온 찌꺼기들을 씻어내고 맑은 물이 흐르는 시대가 오리라는 희망을 암시하며 내일에 대해 희망을 주고 있다.
이렇듯「탁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긍정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통속성을 들어 부정적인 평가도 내려지고 있다. 하지만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의식을 고려한다면 「탁류」는 가치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우한용, 「채만식 탁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박창원, 『채만식론』, 세종대 대학원 석사 논문, 1988
김병욱, 『탁류의 작중인물고』,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4
김태운, 『탁류의 시점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1987
Ⅳ. 「탁류」의 가치
「탁류」는 항구 도시 군산과 금강 하류의 풍광, 그리고 작가 자신의 가정이 경험한 바 일본 자본의 침식에 의한 식민지 조선 농민의 몰락과 도시 빈민의 궁핍화, 바로 그것이 이 소설이 배경이자 내용이다.
이 작품은 30년대 일제식민지치하의 궁핍함과 사회의 구조적 모순 등에 대한 작가의 현실인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것을 개성이 뚜렷한 인물들을 통해 잘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뚜렷하게 제시하고 있지는 못하지만 시대상황에 굴복하지 않고 내일을 기약하는 미래지향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가치를 정리할 수 있다.
Ⅴ. 나가며
이상으로 「탁류」의 작중인물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바와 그것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 작품의 가치를 알아보았다.
식민지 시대의 혼탁한 물결에 휩쓸려 무너지는 한 가족과 그 주변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당시 사회의 어두운 세태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당대 사회를 속악(俗惡)하기 이를 데 없는 '탁류'로 보고, 그 탁류에 휩쓸려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자신의 살을 갉아먹고 있는 도시 하층민의 생활 방식을 고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은 절망감을 딛고 일어서서 당대 사회의 속악성(俗惡性)과 대결할 것을 기약하는 '계봉', '남승재' 등의 새로운 인간상도 보여 줌으로서 '탁류'가 몰고 온 찌꺼기들을 씻어내고 맑은 물이 흐르는 시대가 오리라는 희망을 암시하며 내일에 대해 희망을 주고 있다.
이렇듯「탁류」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고, 긍정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통속성을 들어 부정적인 평가도 내려지고 있다. 하지만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의식을 고려한다면 「탁류」는 가치 있는 작품으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우한용, 「채만식 탁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7
박창원, 『채만식론』, 세종대 대학원 석사 논문, 1988
김병욱, 『탁류의 작중인물고』, 충남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84
김태운, 『탁류의 시점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198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