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선정동기
1) 설화수 선정동기 --------------------------------------------------------------------2
2) 화장품시장의 크기와 가능성 그리고 전망 -----------------------------------------------3
2.기업소개
1)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4
3.본론
1) 설화수의 마케팅전략 <4p> ----------------------------------------------------------5,6
① product
② place
③ promotion (1)클럽창단 (2)잡지 (3)SNS (4)유명인사를 이용한 홍보
④ price
2) 설화수의 제품의 STP전략 ----------------------------------------------------------7,8
① segmentation(시장 세분화)
② targeting(표적시장 선정)
설화수의 집중화전략
③ positioning(포지셔닝전략)
④ 설화수 STP에 대한 우리의 생각
3) 설화수의 SWOT전략 ----------------------------------------------------------------9
4. 새로운 길을 여는 설화수
1) 기존 강세의 화장품브랜드 VS 설화수 -------------------------------------------------10
2) 설화수의 글로벌 전략 ------------------------------------------------------------11,12
①홍콩
②중국
③영국 -> 진출방향 제시
5. 결론
1) 글로벌 메이커로 성장하는 설화수 그리고 우리의 의견 ------------------------------------13
6.참고문헌 정리 ------------------------------------------------------------------14
1.선정동기
1) 설화수 선정동기 --------------------------------------------------------------------2
2) 화장품시장의 크기와 가능성 그리고 전망 -----------------------------------------------3
2.기업소개
1) 아모레퍼시픽 설화수 ----------------------------------------------------------------4
3.본론
1) 설화수의 마케팅전략 <4p> ----------------------------------------------------------5,6
① product
② place
③ promotion (1)클럽창단 (2)잡지 (3)SNS (4)유명인사를 이용한 홍보
④ price
2) 설화수의 제품의 STP전략 ----------------------------------------------------------7,8
① segmentation(시장 세분화)
② targeting(표적시장 선정)
설화수의 집중화전략
③ positioning(포지셔닝전략)
④ 설화수 STP에 대한 우리의 생각
3) 설화수의 SWOT전략 ----------------------------------------------------------------9
4. 새로운 길을 여는 설화수
1) 기존 강세의 화장품브랜드 VS 설화수 -------------------------------------------------10
2) 설화수의 글로벌 전략 ------------------------------------------------------------11,12
①홍콩
②중국
③영국 -> 진출방향 제시
5. 결론
1) 글로벌 메이커로 성장하는 설화수 그리고 우리의 의견 ------------------------------------13
6.참고문헌 정리 ------------------------------------------------------------------14
본문내용
브랜드 구축에 있어서 성공적 컬쳐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설화수 브랜드 개발 전략 분석을 중심으로> P.73, P.74 <이화여대 디자인대학원 2005년 석사학위 논문, 고연진> }
②설화수의 STP 전략
Segmentation(시장의세분화)
설화수는 제품중심의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으며, 화장품시장을 대중시장부터 중간시장, 프레스티지 시장 및 프리미엄시장으로 크게 4개로 세분화하였다. 설화수의 시장 세분화는 인구통계학적분류로 연령과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이루어졌고, 심리적 분류로 라이프 스타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고 할 수있다. 그러한 근거로는 타켓시장으로 연령에 있어서 피부 노화가 시작되는 나이인 35세 이상으로 잡았고 소득에 있어서는 고소득층의 여성을 잡았기 때문이다. 심리적 분류로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는 자기 관리에 관심이 많고 품질을 우선으로 하며 동양적 웰빙 등 건강 관련 트렌드에 민감한 고객으로 잡았기 때문이다.
Targeting(표적시장선정) -> 설화수는 집중화전략에서 차별화전략으로 바꾸었다. { 마케팅원론 < 오세조, 박충환, 김동훈, 김영찬 > p.132 그림 5-6 }
설화수의 주 판매 타깃은 35세 이상인 여성을 위한 것이 였지만 점점 브랜드의 규모가 커지면서 설화수는 표적시장 선정전략을 집중화전략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바꾸었다. 남성, 메이크업, 헤어라인의 제품을 출시하고 더욱 탄탄한 제품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이런 것이 가능 햇던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김익태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하고 싶다. 김익태 전문가는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타깃 마케팅’
(데이터를 활용해서 타킷층의 니즈를 정확히 분석하고 그것을 활용한 마케팅을 말한다.)’을 강조했다. 우리는 설화수 가 차별화 전략으로 바꾼 이유는 35세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젊은나이의 세대들이 한방화장품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설화수는 그것을 정확히 인식하고 제품기획으로 답해주었다고 본다. { CMN.이정아 기자 <마케팅 전문가들의 조언- 김익태 big data> }
Positioning(포지셔닝전략)
설화수는 상품을 둘러싼 문화적 맥락과 배경은 첨단 기술력보다 더 위력적이라는 데 주목하여 프랑스 , 미국, 일본 등 문화수출 대국의 브랜드에 대한 국내의 맹신을 타파하기 위한 키워드를 ‘우리 문화’에서 찾았다. 전통이라면 기업 이윤창출도구로만 생각하는 협소한 생각을 넘어 ‘우리 문화’라는 자부심을 바탕으로 서양의 입맛에 길들여져 있던 화장품에서 탈피해 ‘동양사상과 의학’에 근거한 전문 화장품을 개발하고 이를 수입 유명 화장품 브랜드와 경쟁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했다. 또한 이에 맞춘 홍보활동으로 중산층 고객이 이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판을 하게 되었다. { 설화수의 글로벌 전략 논문 <한국마케팅 저널 제9권 6월호> p.192, p193 <한상만, 배재현, 김소영 2007년 10월 > 교수논문 }
STP전략에 대한 우리의 생각
STP전략을 보면 설화수가 얼마나 유동적인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있다. 특히 표적시장 선장같은 경우에는 우리 조는 많은 의견을 서로 공유했다. 결론적으로 설화수는 집중화전략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바꾸었다는 결과를 알게 되었고 그 가운데 고객의 니즈도 과감히 받아드리는 기업의 자세에 놀랐다. 그리고 유동적인 기업의 활동으로 인해 설화수가 업계의 정상에 있다는 생각을 했다.
③설화수의 SWOT전략
강점
- 동양적인 한방화장품은 이미 포화된 세계 화장품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
- 명품 이미지로 인하여 모두가 쓰고 싶어하는 화장품. 퍼스트레이디가 쓰는 화장품으로 이미지를 잡았다.
약점
- 동양적인 한방화장품은 장점이자 약점도 될 수 있다. 세계에서 화장품시장을 볼 때 한방화장품은 모두가 알지 못한다. 하지만 홍보와 화장품의 성과만 인정 되지 못한다면 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다.
- 타 화장품에 비해 비싼 가격이지만 가격이상의 품질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기회요인
- 설화수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저급 수입 한약재 문제나 멜라민 파동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기 위해 무조건 국내산 한방원료를 사용하고 있다. 천연화장품인 만큼 한방화장품은 화학화장품에 비하여 안전하다는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 해외시장에서 한방화장품과 천연화장품의 이미지가 좋아짐에 따라 설화수는 기회에 직면하게 되었다. 고객의 욕구에 발맞춰 설화수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위험요인
- 한방화장품 시장의 선구자인 만큼 연구가 뒷받침 되지 못한다면 더 나은 화장품 라인을 생산 할 수 없게 된다. 위험요소들을 잘 구별하여 보관과 화장품 성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한방화장품은 양약을 바탕으로 하는 일반화장품보다 데이터가 부족함> { 한방화장품 산업동향 논문 <식품과학과 산업 6월호> p49,<정성근 , 이기원 2012년 (서울대학교 식품생명공학전공) }
4. 새로운 길을 여는 설화수
①기존 강세의 화장품 브랜드 VS 설화수
- 한방 화장품의 차별성 및 경쟁력
국내 시장에서 한방화장품은 로레알, 에스티로더, 크리스찬디올, 시슬리, 링콤, 샤넬, 시세이도 등과 같은 세계적인 글로벌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기존 강세였던 화장품들과는 달리, 동양의 식물을 원료로 사용한다. 그리고 한방화장품의 경우 약재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복합처방을 사용하는데 반해 일반화장품은 효능 추출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서양의학적인 관점에서 표면적으로 대응한 것 이기 때문에, 한방화장품처럼 근본적인 케어 방법을 도출하긴 어렵다고 볼수 있다. 소비자들에겐 친숙하게 느껴지는 피부보약의 이미지가 일반화장품과는 차별화되는 중요한 소구 포인트이다.
<한방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차이점>
한방화장품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이 주요 사용약재원료에 대해서 국내에서 재배된 약재를 사용하여 원료를 제조하고 이를 한방화장품에 사용한다는 것이다. 모든 한방화장품브랜드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특히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설화수를 포함한 모든 한방브랜드에서 국내재배 약재를 사용한다. 일본산 원료를 사용하는 미샤, 더페이스
②설화수의 STP 전략
Segmentation(시장의세분화)
설화수는 제품중심의 시장세분화를 실시하였으며, 화장품시장을 대중시장부터 중간시장, 프레스티지 시장 및 프리미엄시장으로 크게 4개로 세분화하였다. 설화수의 시장 세분화는 인구통계학적분류로 연령과 소득수준을 기준으로 이루어졌고, 심리적 분류로 라이프 스타일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고 할 수있다. 그러한 근거로는 타켓시장으로 연령에 있어서 피부 노화가 시작되는 나이인 35세 이상으로 잡았고 소득에 있어서는 고소득층의 여성을 잡았기 때문이다. 심리적 분류로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는 자기 관리에 관심이 많고 품질을 우선으로 하며 동양적 웰빙 등 건강 관련 트렌드에 민감한 고객으로 잡았기 때문이다.
Targeting(표적시장선정) -> 설화수는 집중화전략에서 차별화전략으로 바꾸었다. { 마케팅원론 < 오세조, 박충환, 김동훈, 김영찬 > p.132 그림 5-6 }
설화수의 주 판매 타깃은 35세 이상인 여성을 위한 것이 였지만 점점 브랜드의 규모가 커지면서 설화수는 표적시장 선정전략을 집중화전략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바꾸었다. 남성, 메이크업, 헤어라인의 제품을 출시하고 더욱 탄탄한 제품으로 시장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다.이런 것이 가능 햇던 것은 무엇일까? 우리는 김익태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하고 싶다. 김익태 전문가는
‘빅 데이터(big data)를 활용한 타깃 마케팅’
(데이터를 활용해서 타킷층의 니즈를 정확히 분석하고 그것을 활용한 마케팅을 말한다.)’을 강조했다. 우리는 설화수 가 차별화 전략으로 바꾼 이유는 35세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 젊은나이의 세대들이 한방화장품을 원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설화수는 그것을 정확히 인식하고 제품기획으로 답해주었다고 본다. { CMN.이정아 기자 <마케팅 전문가들의 조언- 김익태 big data> }
Positioning(포지셔닝전략)
설화수는 상품을 둘러싼 문화적 맥락과 배경은 첨단 기술력보다 더 위력적이라는 데 주목하여 프랑스 , 미국, 일본 등 문화수출 대국의 브랜드에 대한 국내의 맹신을 타파하기 위한 키워드를 ‘우리 문화’에서 찾았다. 전통이라면 기업 이윤창출도구로만 생각하는 협소한 생각을 넘어 ‘우리 문화’라는 자부심을 바탕으로 서양의 입맛에 길들여져 있던 화장품에서 탈피해 ‘동양사상과 의학’에 근거한 전문 화장품을 개발하고 이를 수입 유명 화장품 브랜드와 경쟁하는 프리미엄 브랜드로 포지셔닝했다. 또한 이에 맞춘 홍보활동으로 중산층 고객이 이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판을 하게 되었다. { 설화수의 글로벌 전략 논문 <한국마케팅 저널 제9권 6월호> p.192, p193 <한상만, 배재현, 김소영 2007년 10월 > 교수논문 }
STP전략에 대한 우리의 생각
STP전략을 보면 설화수가 얼마나 유동적인 기업이라는 것을 알 수있다. 특히 표적시장 선장같은 경우에는 우리 조는 많은 의견을 서로 공유했다. 결론적으로 설화수는 집중화전략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바꾸었다는 결과를 알게 되었고 그 가운데 고객의 니즈도 과감히 받아드리는 기업의 자세에 놀랐다. 그리고 유동적인 기업의 활동으로 인해 설화수가 업계의 정상에 있다는 생각을 했다.
③설화수의 SWOT전략
강점
- 동양적인 한방화장품은 이미 포화된 세계 화장품시장에서 경쟁력이 있다.
- 명품 이미지로 인하여 모두가 쓰고 싶어하는 화장품. 퍼스트레이디가 쓰는 화장품으로 이미지를 잡았다.
약점
- 동양적인 한방화장품은 장점이자 약점도 될 수 있다. 세계에서 화장품시장을 볼 때 한방화장품은 모두가 알지 못한다. 하지만 홍보와 화장품의 성과만 인정 되지 못한다면 세계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다.
- 타 화장품에 비해 비싼 가격이지만 가격이상의 품질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기회요인
- 설화수는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는 저급 수입 한약재 문제나 멜라민 파동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기 위해 무조건 국내산 한방원료를 사용하고 있다. 천연화장품인 만큼 한방화장품은 화학화장품에 비하여 안전하다는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 해외시장에서 한방화장품과 천연화장품의 이미지가 좋아짐에 따라 설화수는 기회에 직면하게 되었다. 고객의 욕구에 발맞춰 설화수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하고 있다.
위험요인
- 한방화장품 시장의 선구자인 만큼 연구가 뒷받침 되지 못한다면 더 나은 화장품 라인을 생산 할 수 없게 된다. 위험요소들을 잘 구별하여 보관과 화장품 성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한방화장품은 양약을 바탕으로 하는 일반화장품보다 데이터가 부족함> { 한방화장품 산업동향 논문 <식품과학과 산업 6월호> p49,<정성근 , 이기원 2012년 (서울대학교 식품생명공학전공) }
4. 새로운 길을 여는 설화수
①기존 강세의 화장품 브랜드 VS 설화수
- 한방 화장품의 차별성 및 경쟁력
국내 시장에서 한방화장품은 로레알, 에스티로더, 크리스찬디올, 시슬리, 링콤, 샤넬, 시세이도 등과 같은 세계적인 글로벌 브랜드와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한방화장품은 기존 강세였던 화장품들과는 달리, 동양의 식물을 원료로 사용한다. 그리고 한방화장품의 경우 약재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복합처방을 사용하는데 반해 일반화장품은 효능 추출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서양의학적인 관점에서 표면적으로 대응한 것 이기 때문에, 한방화장품처럼 근본적인 케어 방법을 도출하긴 어렵다고 볼수 있다. 소비자들에겐 친숙하게 느껴지는 피부보약의 이미지가 일반화장품과는 차별화되는 중요한 소구 포인트이다.
<한방화장품과 일반화장품의 차이점>
한방화장품의 또 하나의 큰 특징이 주요 사용약재원료에 대해서 국내에서 재배된 약재를 사용하여 원료를 제조하고 이를 한방화장품에 사용한다는 것이다. 모든 한방화장품브랜드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특히 아모레퍼시픽의 경우 설화수를 포함한 모든 한방브랜드에서 국내재배 약재를 사용한다. 일본산 원료를 사용하는 미샤, 더페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