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정의
2)심폐소생술(CPR)의 단계
3)심폐소생술 과정
4)심폐소생술시 사용 약물
5)심폐소생술의 중단
6)심폐소생술의 합병증
2. 본론
1)정의
2)심폐소생술(CPR)의 단계
3)심폐소생술 과정
4)심폐소생술시 사용 약물
5)심폐소생술의 중단
6)심폐소생술의 합병증
본문내용
경색 확대, 부정맥, 서맥, 고혈압, 저혈압, 흉통, 심계 항진, 빈맥, 심근경색, 호흡곤란, 두통, 오심, 구토
⑤ 금기
- 중증의 고혈압, 중증 신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빈맥성 부정맥 , 비후성 신근병증 환 자
9. Lidocaine(Xylocaine)
① 분류
- Category I beta 항부정맥제
② 작용
- 자동성 감소, 심실 기외 수축 억제
- 회귀로를 통한 전도 억제
- 심실 세동 역치 증가
③ 적응증
- 심실 조기 수축, 심실 빈맥, 심실세동 : 뇌내압 상승이나 후두경련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미리 기도 내 삽관
④ 용량
- 심실 세동과 심실 빈맥:1.5mg/kg IV 또는 기도 내관 투약, 3-5분마다 반복하고 3mg/kg를 넘으면 안됨
- 심실 조기 수축과 심실 빈맥:1mg/kg IV 또는 기도 내 투약, 8-10분마다 0.5mg/kg 로 반복 투약, 3mg/kg를 넘으면 안됨
- IV infusion:1g/250ml D5W(4mg/ml)를 2-4mg/min(30-60 micro-gtts/min)로 투약
- 기관 삽관 전: 1.5mg/1kg IV, 90초 후에 삽관
10. Nitroglycerin(Tridil)
① 분류
-혈관 이완제
② 작용
- 혈관 평활근 이완, 혈관과 관상 동맥 확장, 정맥 귀환 감소
③ 적응증
- 협심증, 고혈압
④ 용량
- IV Infusion
*5-10㎍/min씩 증량
*최대용량:200㎍/min
⑤ 부작용
- 저혈압, 두통, 어지러움증 유발
- 니트로글리세린은 부드러운 플라스틱에 흡수됨: 유리병 사용
⑥ 금기
- 두부손상, 뇌출혈, 중증빈혈, 녹내장 환자
11. Procainamide(Pronestyl)
① 분류
- Category Ⅰa 항부정맥제
② 작용
-심실 조기 수축 억제, 회귀성 부정맥 억제, 심실 세동 역치 증가, 전도와 맥박수 감소, 약간의 수축력 저하, 강력한 말초 혈관 확장
③ 적응증
- Lidocaine에 반응이 없는 심실 조기 수축과 심실 빈맥
④ 용량
- IV push:100mg IV(20mg/min), 5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 17mg/kg초과 금지
- IV Infusion:1g/250ml D5W(4mg/ml)를 1-4mg/min(15-60 micro-gtts/min)로 투약
⑤ 부작용
- 저혈압, 서맥
⑥ 금기
- 3방실 차단, 디곡신 중독증
12. Propranolol(Inderal)
① 분류
- 비선택적으로 b교감 신경 차단
- class Ⅱ 항부정맥제
② 작용
- beta 1,2 교감신경 수용체의 교감 신경 자극 차단
③ 적응증
- 고혈압 조절관 심장 부정맥의 빠른 맥박수 억제
④ 용량
- IV push:0.5-3mg, 1mg/min으로 천천히 주입, 2분 후에 반복 사용
⑤ 부작용
- 기관지 경련, 저혈압, 심장 차단, 협심증 유발, 서맥, 울혈성 심부전, 현기증
- 고지혈증, 고칼륨혈증, 설사, 오심, 구토, 변비,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 허약감, 마비감
⑥ 금기
- 2-3도의 방실분리가 있는 환자
- 기관지 경련 기왕력자, 대사성 산증, 저혈압환자
13. Sodium Bicarbonate
① 분류
- 염기성제제
② 작용
-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킴, 완충작용
③ 적응증
- 산증
④ 용량
- 1mEq/kg IV, 반복 용량은 0.5mEq/kg로 매 10-15분마다 반복Ⅰ
⑤ 주의
- 같은 정맥으로 투약시 Catecholamines을 불활성화시킴, 동맥혈검사로 투약 결정
14. Verapamil(Calan, Isoptin)
① 분류
- CategoryIV 항부정맥제
② 작용
- 세포 내로 calcium 유입 억제, 전도 억제, 심방 자동성 억제, 맥박수 감소, 수축력 저하, 혈관 확장
③ 적응증
- 상심실성 빈맥
④ 용량
- IV:0.075-0.15mg/kg IV(천천히)
- 고령 환자:3-4분 동안 2mg을 넘지 않도록
- 최대 용량:10mg
⑤ 부작용
- 저혈압
⑥ 금기
- 울혈성 심부전
심폐소생술의 중단
심폐소생술의 중단을 구체적인 시간으로 명시한 규정은 어디에도 없다. 단지 관행적으로 최선의 전문심장구조술을 30분 이상 지속하였는데도 회목의 증거(임상상, 심정도등 포함)가 조금도 없으면 중단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도 환자가족의 동의가 필요하다. 최근에 와서 잘 짜여진 소생술 팀에 의해서 연구가 진행되면서, 우수한 응급의료센터들을 중심으로 관행적 심폐소생술 지속시간 30분은 너무 길므로 20분 내지 심지어 15분까지 줄여애 한다고 주장들이 있다. 우수한 전문생명구조술을 시작한지 15분이내에 ROSC가 오지 않는 환자는 심정지의 원인의 소생가능성이 극히 낮은 경우이거나 이미 뇌허혈손상이 많이 진행되었으므로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지속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단, 30분 이상을 시행해 볼 수 있는 예의상황으로서 약물중동(심장 독성약물 : 칼슘 경로차단제, digoxin)에 의한 심정지이거나 저체온증이 동반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1.흉곽손상 : 늑골골절, 흉골골정, 쇄골골절, 늑골-연골 분리
흉부압박에 의해 가장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30~80%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올바른 압박법으로 예방가능한다. 흉곽골격의 경화가 심한 노인에서는 불가피한 경우도 있다
2. 흉강 내 장기손상 : 폐, 늑막, 심장, 혈관손상 기흉, 혈흉, 심장좌상, 폐좌상, 심낭압전
늑골골절과 같은 흉곽손상에 연관되어 2차적으로 대개 발생하며, 심장좌상의 경우 흉부압박을 받은 환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에게나 발생한다고 한다
3. 복강 내 장기손상 : 간, 위장 횡행결장, 비장 등의 좌상 및 파열상, 횡격막의 좌상 및 열상
흉골 하부 1/2을 정확히 압박하면 발생하지 않으며, 명치(검상돌기)부위를 누르거나 복부를 압박하였을 때 발생한다.
4. 골수색전증 혹은 지방색전증
흉골 및 늑골 내의 골수 혹은 지방의 유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조금씩은 언제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크기가 작아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
5. 흡인성 폐렴
위 내용물의 역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위산
⑤ 금기
- 중증의 고혈압, 중증 신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 빈맥성 부정맥 , 비후성 신근병증 환 자
9. Lidocaine(Xylocaine)
① 분류
- Category I beta 항부정맥제
② 작용
- 자동성 감소, 심실 기외 수축 억제
- 회귀로를 통한 전도 억제
- 심실 세동 역치 증가
③ 적응증
- 심실 조기 수축, 심실 빈맥, 심실세동 : 뇌내압 상승이나 후두경련의 가능성이 있는 환자는 미리 기도 내 삽관
④ 용량
- 심실 세동과 심실 빈맥:1.5mg/kg IV 또는 기도 내관 투약, 3-5분마다 반복하고 3mg/kg를 넘으면 안됨
- 심실 조기 수축과 심실 빈맥:1mg/kg IV 또는 기도 내 투약, 8-10분마다 0.5mg/kg 로 반복 투약, 3mg/kg를 넘으면 안됨
- IV infusion:1g/250ml D5W(4mg/ml)를 2-4mg/min(30-60 micro-gtts/min)로 투약
- 기관 삽관 전: 1.5mg/1kg IV, 90초 후에 삽관
10. Nitroglycerin(Tridil)
① 분류
-혈관 이완제
② 작용
- 혈관 평활근 이완, 혈관과 관상 동맥 확장, 정맥 귀환 감소
③ 적응증
- 협심증, 고혈압
④ 용량
- IV Infusion
*5-10㎍/min씩 증량
*최대용량:200㎍/min
⑤ 부작용
- 저혈압, 두통, 어지러움증 유발
- 니트로글리세린은 부드러운 플라스틱에 흡수됨: 유리병 사용
⑥ 금기
- 두부손상, 뇌출혈, 중증빈혈, 녹내장 환자
11. Procainamide(Pronestyl)
① 분류
- Category Ⅰa 항부정맥제
② 작용
-심실 조기 수축 억제, 회귀성 부정맥 억제, 심실 세동 역치 증가, 전도와 맥박수 감소, 약간의 수축력 저하, 강력한 말초 혈관 확장
③ 적응증
- Lidocaine에 반응이 없는 심실 조기 수축과 심실 빈맥
④ 용량
- IV push:100mg IV(20mg/min), 5분 간격으로 반복 투여, 17mg/kg초과 금지
- IV Infusion:1g/250ml D5W(4mg/ml)를 1-4mg/min(15-60 micro-gtts/min)로 투약
⑤ 부작용
- 저혈압, 서맥
⑥ 금기
- 3방실 차단, 디곡신 중독증
12. Propranolol(Inderal)
① 분류
- 비선택적으로 b교감 신경 차단
- class Ⅱ 항부정맥제
② 작용
- beta 1,2 교감신경 수용체의 교감 신경 자극 차단
③ 적응증
- 고혈압 조절관 심장 부정맥의 빠른 맥박수 억제
④ 용량
- IV push:0.5-3mg, 1mg/min으로 천천히 주입, 2분 후에 반복 사용
⑤ 부작용
- 기관지 경련, 저혈압, 심장 차단, 협심증 유발, 서맥, 울혈성 심부전, 현기증
- 고지혈증, 고칼륨혈증, 설사, 오심, 구토, 변비, 무과립구증, 혈소판 감소증
- 허약감, 마비감
⑥ 금기
- 2-3도의 방실분리가 있는 환자
- 기관지 경련 기왕력자, 대사성 산증, 저혈압환자
13. Sodium Bicarbonate
① 분류
- 염기성제제
② 작용
- 체액을 알칼리성으로 변화시킴, 완충작용
③ 적응증
- 산증
④ 용량
- 1mEq/kg IV, 반복 용량은 0.5mEq/kg로 매 10-15분마다 반복Ⅰ
⑤ 주의
- 같은 정맥으로 투약시 Catecholamines을 불활성화시킴, 동맥혈검사로 투약 결정
14. Verapamil(Calan, Isoptin)
① 분류
- CategoryIV 항부정맥제
② 작용
- 세포 내로 calcium 유입 억제, 전도 억제, 심방 자동성 억제, 맥박수 감소, 수축력 저하, 혈관 확장
③ 적응증
- 상심실성 빈맥
④ 용량
- IV:0.075-0.15mg/kg IV(천천히)
- 고령 환자:3-4분 동안 2mg을 넘지 않도록
- 최대 용량:10mg
⑤ 부작용
- 저혈압
⑥ 금기
- 울혈성 심부전
심폐소생술의 중단
심폐소생술의 중단을 구체적인 시간으로 명시한 규정은 어디에도 없다. 단지 관행적으로 최선의 전문심장구조술을 30분 이상 지속하였는데도 회목의 증거(임상상, 심정도등 포함)가 조금도 없으면 중단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 경우에도 환자가족의 동의가 필요하다. 최근에 와서 잘 짜여진 소생술 팀에 의해서 연구가 진행되면서, 우수한 응급의료센터들을 중심으로 관행적 심폐소생술 지속시간 30분은 너무 길므로 20분 내지 심지어 15분까지 줄여애 한다고 주장들이 있다. 우수한 전문생명구조술을 시작한지 15분이내에 ROSC가 오지 않는 환자는 심정지의 원인의 소생가능성이 극히 낮은 경우이거나 이미 뇌허혈손상이 많이 진행되었으므로 더 이상 심폐소생술을 지속하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단, 30분 이상을 시행해 볼 수 있는 예의상황으로서 약물중동(심장 독성약물 : 칼슘 경로차단제, digoxin)에 의한 심정지이거나 저체온증이 동반된 경우를 들 수 있다.
심폐소생술의 합병증
1.흉곽손상 : 늑골골절, 흉골골정, 쇄골골절, 늑골-연골 분리
흉부압박에 의해 가장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이며, 30~80%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올바른 압박법으로 예방가능한다. 흉곽골격의 경화가 심한 노인에서는 불가피한 경우도 있다
2. 흉강 내 장기손상 : 폐, 늑막, 심장, 혈관손상 기흉, 혈흉, 심장좌상, 폐좌상, 심낭압전
늑골골절과 같은 흉곽손상에 연관되어 2차적으로 대개 발생하며, 심장좌상의 경우 흉부압박을 받은 환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누구에게나 발생한다고 한다
3. 복강 내 장기손상 : 간, 위장 횡행결장, 비장 등의 좌상 및 파열상, 횡격막의 좌상 및 열상
흉골 하부 1/2을 정확히 압박하면 발생하지 않으며, 명치(검상돌기)부위를 누르거나 복부를 압박하였을 때 발생한다.
4. 골수색전증 혹은 지방색전증
흉골 및 늑골 내의 골수 혹은 지방의 유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거의 대부분의 환자에서 조금씩은 언제나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크기가 작아서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다.
5. 흡인성 폐렴
위 내용물의 역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위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