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정의 (Definition)
2.원인(Etiology)및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임상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
4.진단적 검사 (Diagnostic neasure)
5.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case study
ll.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5.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6. Medication
7. 간호과정 적용
2.원인(Etiology)및병태 생리 (Pathophysiology)
3.임상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
4.진단적 검사 (Diagnostic neasure)
5.치료 및 간호 (Treatment & nursing)
case study
ll.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5.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6. Medication
7.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il
경구
#1일1~1.5g
수술전후
아미노산보급
pethidine
(demerol)
경구
#1일35~50mg
격렬한동통시
중증호흡억제
bisaco요
경구
#1일1T
급.만성 변비
복통
구토장폐색
구역질
7. 간호과정 적용
사정
주관적 자료
“아...괜찮아요?괜찮을까요? 불안하다...”
불확실한 결과에 대한 염려와 두려움과 불안
객관적 자료
지지체계 부족하다
찡그린얼굴 표정이며 불안함과 신경질적이다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와 친밀감 형성이 이루어진다.
대상자의 말투와 감정표현이 24시간내에 안정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안정을 되は고 상황적 위기를 잘 대처한다.
대상자의 불안수준을 나타내는 말투와 행동이 줄어든다.
간호중재
계획
1.대상자가 느낌이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2.관심있는 태도로 대상자의 말을 경청한다.
3.대상자의 불안수준을 사정한다.
4.갈등,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을 확인한다.
5.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중재
1.대상자와 친밀감형성을 위해 관심을 보였다.
2.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경청하였다.
3.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되물어보며불안 수준을 사정하였다.
4.대상자가 불안을 느끼는 원인을 물어보았다.(지식부족, 경제적문제등의 원인)
5.대상자에게 자궁내막염의 주의점에대하여 올바른정보와 그에관한 주의점들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의 감정표현이 안정되었다.
-대상자의 지지체계가 형성되고 자궁내막염의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였다.
사정
주관적 자료
“아파서 잠이 오지 않고, 잠을 자더라도 깊게 못자서 작은소리에도 잘께요 “
“밤에 통증 때문에 잠을 잘 못자서 한시간 정도라도 자야지 덜피곤해요 “
객관적 자료
수면제를 요구.
간호진단
통증과 관련된 수면부족
간호목표
목표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는 용인을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수면을 증진하는 방법을 3~4개의 방법을 알고 말할수 있다.
대상자는 수면 중 깨지 않고 잘 잤다고 말한다.
대상자는 수면제의 부작용을 알고 말할수 있다.
간호중재
계획
1.환자와 함께 수면을 증진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2.수면 전 조용한 음악감상 또는 즐길 수 있는 기타의 조용한 활동을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권한다.
3.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료는 최소 취침 4시간 전에 피한다.
4.적절한 불빛 온도 환기를 확보한다
5.소음을 최소화 시킨다
6.수면제는 최후의 수단으로 이용한다.(항히스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낮 동안 졸리기 때문)
7통증을 완하 하기 위해서 취침전 진통제를 복용한다.
중재
1.수면전 조용한 음악감상 또는 즐길수 있는 기타의 조용한 활동을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권장한다.
2.수면조명을 제외하고 다 소등해 주었다.
3.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해 수면 중인 병실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4.수면제의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해주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통증과 방문객 들이라고 했다.
-대상자는 수면을 증진시키는 3가지의 방법을 말할수 있다.
-대상자는 밤에 1번만 깼지만 잘 잔 것 같다고 말하였다.
-수면제의 부작용에 대해 이해하며, 수면제 복용을 줄이 겠다고 말하였다
사정
주관적 자료
“어떻게 관리하면좋을까요?...”
객관적 자료
궁금한게 많아서 계속물어봄
간호진단
질병에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목표
자가 간호 방법과 처방된 치료법에 대한 이해 정도를 말로 표현한다.
간호중재
계획
1.대상자 지식수준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갖고 있는 장애와 치료법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사정한다.
2.대상자에게 현재 진단, 예후, 치료방안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중재
1. 현재 갖고 있는 장애와 치료법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사정하였다.
2.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에 참여자가 되도록 힘을 북돋아주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잘듣고 실행하였다.
-대상자는 현재 진단, 예후, 치료방안에대해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사정
주관적 자료
“입맛이 없어서 밥 먹기가 싫네요
객관적 자료
식판의 1/3 정도 밖에 먹지 않았다
간호진단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결핍의 위험성
간호목표
식욕이 증진되어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한다
대상자 입에 맞는 음식을 우선으로 준다
간호중재
계획
1.식사전 구강 청결히 한다
2.식사량 조절후 조금씩 자주 드린다
3.식사를 계속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영양결핍의 위험성 설면한다
중재
1.식사하기 전에 이를 닦도록한다
2.환자의 입맞에 맞는 반찬을 준다
3. 음식을 남기고 싶을때는 조금 이따 식사 하시라고 한다
간호평가
처음에는 건강을 위해 억지로 드시다가 점점 입맛을 되찾을 려고 한다
사정
<주관적 자료
“많이 아파요 진통제좀 주세요..”
객관적 자료
얼굴을 찡그린 채 전혀 거동 없이 침상에 계속 누워있으셨다
통증 사정 척도 10점 만점에 7점으로 대답 하셨다
간호진단
급성통증
간호목표
목표
통증 사정 척도 10점 만점에 3점 이하를 표현한다
간호중재
계획
1.압박감을 줄여준다.
2.올바른 자세를 취할수
있도록 격려한다
3.온 찜질을 적용한다.
4.대상자가 안정을 느끼도록 한다.
신체적,심리적안정을
증진시키고 통증을 유발
하는 활동은 피하도록
교육시킨다
5.필요시 처방에 다른 약물을 투여한다.
중재
1.무릎 압박감을 덜어준다.
2.올바른 자세를
취하게 도와주고
교육하였다.
3.골반 기관으로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열 같은 비 약물적 요법을 제공함 (국소적, 근육긴장완화로 통증경감효과가 있다.)
4.대상자가 안정을 느끼도 록 지지와 격려를 해주었고 통증을 유발시키는 활동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5.진통제를 처방하여 주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잘듣고 실행하였다.
-NPS척도가 3으로 내려갔다.
※ 실습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자신을 평가하시기 바랍니다.
항 목
매우 잘했음
잘했음
보통
다소 부족
매우 부족
1. 대상자 및 그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2.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였다.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습에 올바르게 적용하였다.
4. 실습의 목적을 이해하고 성취하였다.
5. 실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였다.
‘’
경구
#1일1~1.5g
수술전후
아미노산보급
pethidine
(demerol)
경구
#1일35~50mg
격렬한동통시
중증호흡억제
bisaco요
경구
#1일1T
급.만성 변비
복통
구토장폐색
구역질
7. 간호과정 적용
사정
주관적 자료
“아...괜찮아요?괜찮을까요? 불안하다...”
불확실한 결과에 대한 염려와 두려움과 불안
객관적 자료
지지체계 부족하다
찡그린얼굴 표정이며 불안함과 신경질적이다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불안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와 친밀감 형성이 이루어진다.
대상자의 말투와 감정표현이 24시간내에 안정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안정을 되は고 상황적 위기를 잘 대처한다.
대상자의 불안수준을 나타내는 말투와 행동이 줄어든다.
간호중재
계획
1.대상자가 느낌이나 생각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2.관심있는 태도로 대상자의 말을 경청한다.
3.대상자의 불안수준을 사정한다.
4.갈등, 불안을 유발하는 상황을 확인한다.
5.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중재
1.대상자와 친밀감형성을 위해 관심을 보였다.
2.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경청하였다.
3.대상자가 말하는 것을 되물어보며불안 수준을 사정하였다.
4.대상자가 불안을 느끼는 원인을 물어보았다.(지식부족, 경제적문제등의 원인)
5.대상자에게 자궁내막염의 주의점에대하여 올바른정보와 그에관한 주의점들을 교육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의 감정표현이 안정되었다.
-대상자의 지지체계가 형성되고 자궁내막염의 올바른 지식을 습득하였다.
사정
주관적 자료
“아파서 잠이 오지 않고, 잠을 자더라도 깊게 못자서 작은소리에도 잘께요 “
“밤에 통증 때문에 잠을 잘 못자서 한시간 정도라도 자야지 덜피곤해요 “
객관적 자료
수면제를 요구.
간호진단
통증과 관련된 수면부족
간호목표
목표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는 용인을 말할 수 있다.
대상자는 수면을 증진하는 방법을 3~4개의 방법을 알고 말할수 있다.
대상자는 수면 중 깨지 않고 잘 잤다고 말한다.
대상자는 수면제의 부작용을 알고 말할수 있다.
간호중재
계획
1.환자와 함께 수면을 증진 방법에 대하여 논의한다.
2.수면 전 조용한 음악감상 또는 즐길 수 있는 기타의 조용한 활동을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권한다.
3.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이나 음료는 최소 취침 4시간 전에 피한다.
4.적절한 불빛 온도 환기를 확보한다
5.소음을 최소화 시킨다
6.수면제는 최후의 수단으로 이용한다.(항히스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낮 동안 졸리기 때문)
7통증을 완하 하기 위해서 취침전 진통제를 복용한다.
중재
1.수면전 조용한 음악감상 또는 즐길수 있는 기타의 조용한 활동을 하는 습관을 가지도록 권장한다.
2.수면조명을 제외하고 다 소등해 주었다.
3.소음을 최소화 하기 위해 수면 중인 병실에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였다.
4.수면제의 부작용에 대하여 설명해주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통증과 방문객 들이라고 했다.
-대상자는 수면을 증진시키는 3가지의 방법을 말할수 있다.
-대상자는 밤에 1번만 깼지만 잘 잔 것 같다고 말하였다.
-수면제의 부작용에 대해 이해하며, 수면제 복용을 줄이 겠다고 말하였다
사정
주관적 자료
“어떻게 관리하면좋을까요?...”
객관적 자료
궁금한게 많아서 계속물어봄
간호진단
질병에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목표
자가 간호 방법과 처방된 치료법에 대한 이해 정도를 말로 표현한다.
간호중재
계획
1.대상자 지식수준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갖고 있는 장애와 치료법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사정한다.
2.대상자에게 현재 진단, 예후, 치료방안에 대해 정보를 제공한다.
중재
1. 현재 갖고 있는 장애와 치료법에 대한 이해 정도를 사정하였다.
2. 정보를 제공하고 대상자 스스로 자신의 건강관리에 참여자가 되도록 힘을 북돋아주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잘듣고 실행하였다.
-대상자는 현재 진단, 예후, 치료방안에대해 이해하고 말할 수 있다.
사정
주관적 자료
“입맛이 없어서 밥 먹기가 싫네요
객관적 자료
식판의 1/3 정도 밖에 먹지 않았다
간호진단
식욕저하와 관련된 영양결핍의 위험성
간호목표
식욕이 증진되어 음식을 남기지 않도록 한다
대상자 입에 맞는 음식을 우선으로 준다
간호중재
계획
1.식사전 구강 청결히 한다
2.식사량 조절후 조금씩 자주 드린다
3.식사를 계속 제대로 하지 않을 경우 영양결핍의 위험성 설면한다
중재
1.식사하기 전에 이를 닦도록한다
2.환자의 입맞에 맞는 반찬을 준다
3. 음식을 남기고 싶을때는 조금 이따 식사 하시라고 한다
간호평가
처음에는 건강을 위해 억지로 드시다가 점점 입맛을 되찾을 려고 한다
사정
<주관적 자료
“많이 아파요 진통제좀 주세요..”
객관적 자료
얼굴을 찡그린 채 전혀 거동 없이 침상에 계속 누워있으셨다
통증 사정 척도 10점 만점에 7점으로 대답 하셨다
간호진단
급성통증
간호목표
목표
통증 사정 척도 10점 만점에 3점 이하를 표현한다
간호중재
계획
1.압박감을 줄여준다.
2.올바른 자세를 취할수
있도록 격려한다
3.온 찜질을 적용한다.
4.대상자가 안정을 느끼도록 한다.
신체적,심리적안정을
증진시키고 통증을 유발
하는 활동은 피하도록
교육시킨다
5.필요시 처방에 다른 약물을 투여한다.
중재
1.무릎 압박감을 덜어준다.
2.올바른 자세를
취하게 도와주고
교육하였다.
3.골반 기관으로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기 위해 열 같은 비 약물적 요법을 제공함 (국소적, 근육긴장완화로 통증경감효과가 있다.)
4.대상자가 안정을 느끼도 록 지지와 격려를 해주었고 통증을 유발시키는 활동을 피하도록 교육하였다.
5.진통제를 처방하여 주었다.
간호평가
-대상자는 교육을 잘듣고 실행하였다.
-NPS척도가 3으로 내려갔다.
※ 실습한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자신을 평가하시기 바랍니다.
항 목
매우 잘했음
잘했음
보통
다소 부족
매우 부족
1. 대상자 및 그 가족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였다.
2. 대상자의 간호문제를 명확하게 파악하였다.
3.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실습에 올바르게 적용하였다.
4. 실습의 목적을 이해하고 성취하였다.
5. 실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열심히 하였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