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A+받은 자료입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A+받은 자료입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 고찰
(1)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1. 정의 (Definition)
2. 병태생리 & 원인
3. 증상
4. 진단& 검사
5. 치료 (Treatment)
6. 간호 (nursing)
7. 경과/합병증
8. 예방방법
(2) 후측방고정술 posterolateral fusion

Ⅱ. 본 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사정
(2) 객관적 자료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목록
(1) 경과 기록
3. 전체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ray 확인>
X-ray 확인후 BOTI 1 ample 처받받아 투여함 - 낙상후 출혈로 인해 혈전생성예방차원
<2016/05/02>
9 : 00 <낙상후 출형예방 약물 처방>
x -ray 상 이전과 차이는 없지만 충격이 가해졌을 것이다 - 설명함
I/O Check (1850/1365)
H-vac 양상 확인함
BOTI (혈전용해제) 1 ample mix 하여 주자함
보조기 착용 후 서는 연습만 하도록 격려함 (보행x)
보호자 항상 상주하도록 주의 줌
18 : 30 <보호자 면담-낙상교육>
아들 (보호자) 병동 도착함
보호자에게 낙상위험성과 낙상에 대하여 교육함
24시간 대상자(환자)옆에 상주하도록 교육함
간병인 고용하는것에 대하여 권유 - 아들이 간병인은 쓸 수 없다고 함 ( 거절 )
(수술하고 10일간은 아들(가족)이 환자 돌보기로 했다함 )
<2016/05/03>
17 : 45 <지남력 상실, 피부 병변 발생>
“여기가 어딘지 모르겠어”- 장소에 대한 지남력 없음
양팔 피부 병변보임 군데군데 발적 관찰됨 (3-4일 전부터 증상이 있었다고 함
항스타민제 투여함
구강출혈 있음 (아랫입술부위, 간헐적, 보통, 틀니착용중)
낙성위험성으로 간병인 apply함
<2015/05/04>
09 : 56 < 보행장애로 파킨슨 검사 시행 , 보행장애 >
환자가 걷기나 서기가 잘 안됨을 확인함
서있을때도 다리 흔들거리며 불안정히 서있음을 확인함
p/e함 환자 양쪽 다리 올리라는 말에 다리올림
MRI F/U 해보고 신경과협진 (파킨슨검사 시행) 의뢰함
양팔 Skin lesion으로 협진의뢰함
3. 간호과정 적용
1.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간호진단
#1 기동성 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이론적 근거
낙상은 모든 연령의 사람에게 발생할 수 있지만 특히 79세이상의 노인에게는 가장 큰 사고의
원인이다. 낙상은 65세이상,기록된 낙상력,, 시력 또는 균형감각의 손상,보행 혹은 자세의 변화
체위성 저혈압, 느린 반응시간, 기동성장애, 낯선 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다
보건의료시설과 가정의 환경적 위험에 대한 관차과 낙상의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관심이 계속 되어야 한다. 간호사들은 낙상 위험이 높은 환자를 확인하고, 그 사정 내용을 기록하고 그들의 안전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적절한 중재를 할 책임이 있다.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료
“다리에 힘이 없어”
객관적 자료
스스로 보행하지 못함
16년 5월 1일 14:30분 낙상발생함
16년 4월 26일 Posterolateral fusion 후측방고정술 함
수술이후 회복 속도가 느림
보호자가 24시간 상주중이지 않음
전신쇠약감을 호소함
<낙상 위험 환자 평가>
3개월 이내 낙상경험 : 없음( ) 있음 ( √ )
2차적 진단(부진단) : 없음( √ ) 있음( )
사용하고 있는 활동보조기구 : 없음( ) 침상안정( )Crutch/지팡이/walker/휠체어( √ )
걸음걸이/이동 : 정상/침상이동/부동 ( ) 허약감( √ ) 장애가 있음 ( )
의식/정신상태 : 본인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 )
본인의 기능수준을 과대 평가 하거나 잊어버림( √ )
총점 : 25점 (저위험군)
8년동안 지팡이를 사용하여 보행하여 보조도구 없이 보행이 불안정함
간호 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5/9일까지 낙상발생위험요인을 인지하고 2가지 이상 구두로 설명할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시까지 낙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진단적 계획
1 .낙상요인 또는 낙상 유발 요인을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한다
치료적 계획
3. 대상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4. 대상자 침상에 낙상주의 표지판을 부착한다.
5. 2시간 마다 Rounding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한다
6. 투여중인 약물의 부작용을 확인한다.
7. 대상자의 신발상태를 확인함.
교육적 계획
8..대상자와 보호자에게 낙상예방에 대해 교육한다.
9. 대상자에게 보조기구 사용시 보행법을 교육한다
10. 대상자는 항상 보호자와 함께 있도록 격려한다.
11. 다급한 상황과 도움필요시 간호사를 부르도록 한다
12.저녁시간 이후 잠을 잘 때까지 수분섭취를 제한한다
13. 보호자에게 24시 대상자 곁에 상주하도록 교육한다
[ 이론적 근거 ]
1 .낙상의 위험이 있었던 상황을 파악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중재를 계획할 수 있다.
2. 대상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낙상발생의 원인을 찾아 낙상발생위험를 감소 시킬 수 있다.
3. 내려져 있는 side rail , 미끄러운 바닥 같은 환경은 낙상을 일으킬 위험이 높다.
4. 낙상표지판을 부착함으로써 모든 의료진과 환자들에게 낙상위험이 있음을 알린다.
5. 2시간 마다 Rounding하여 환자 상태를 파악과 낙상발생요소를 제거 할 수 있다.
6. 약물의 부작용으로 어지러움이 발생되는지 확인하여 위험요인을 찾아 위험을 감소 시킬수 있다.
7. 미끄러운 신발은 환자가 넘어질 위험이 크다
8. 취침전 화장실을 다녀오고, 병실침대 바퀴를 항상 고정시키고, 자주 사용하는 물품을 환자 가까운 곳에 두도록 하고 여러 가지 예방교육을 실시하여 낙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9. 보행기 사용시 적절한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숙지 시킴으로 낙상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10. 환자가 혼자 있는 시간을 감소시키므로 낙상발생률
이 감소된다
11. 간호사에게 도움을 요청하도록 하는 것과 늦은밤 화장실 이용 자제하기와, 24시간 보호자가 상주해 있는 것 보다 낙상발생 위험을 감소 시킬 수 있다.
.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보행능력을 사정함
(-보호자 없이 독립적으로 걷지못하는 상태임)
2 침상에서의 체위조절능력을 사정함
- 체위조절이 가능하나 매우 힘겨워 보이는 상태임
- 빈혈로 인한 어지러움이 있는지 Hct,Hg 수치 확인함
Hb
13.2
11.0
13.1
12.7▼
Hct
38▼
32▼
38▼
12.7▼
치료적 수행
3. 손상을 일으키거나 유발시키는 대상자의 환경을바꿈
- Side rail을 항상 올려줌
- 병실 침대바퀴 고정시킴.
- 야간에도 낮은 조명을 켜 놓음
- 자주 사용하는 물품은 환자 가까운 곳에 둠
- 침상주변의 낙상위험 발생요인(전선, 물건 등)을 제거함
- 넘어지지
  • 가격3,500
  • 페이지수30페이지
  • 등록일2016.05.25
  • 저작시기201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28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