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학습개요
2. 학습목표
3. 학습자료 및 재료
4. 도입
5. 수업전개
6. 교사가 사전에 직접 쓴 감상문을 읽어준다.
7. 평가
참고문헌
1. 학습개요
2. 학습목표
3. 학습자료 및 재료
4. 도입
5. 수업전개
6. 교사가 사전에 직접 쓴 감상문을 읽어준다.
7.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도 저속하여
내 몸통을 뚫고 가는 바람 소리가 짐승 같구나
슬픔은 왜 독인가
희망은 어찌하여 광기인가
뺨 때리는 눈보라 속에서 흩어진 백만 대열을 그리는
나는 죄 짓지 않으면 알 수 없는가
가면 뒤에 있는 길은 길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 앞에 꼭 한 길이 있었고, 벼랑으로 가는 길도 있음을
마침내 모든 길을 끊는 눈보라, 저녁 눈보라,
다시 처음부터 걸어오라, 말한다
1. 학습개요
가) 대 단원명 : 시의 이해
나) 소 단원명 : 황지우의 ‘눈보라’
다) 대상 학년 :?
라) 학습시기 : x월 x일
마) 학습시간 ; 1시간
2. 학습목표
· “시를 언어에서 출발하지 말고 시적인 것에서 출발하도록 한다.”를 이해시킨다.
· 시를 감상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제시한다.
· 다양한 감상방법에서 자신이 원하는대로 감상문을 쓸 수 있다.
3. 학습자료 및 재료
· 프린트물
4. 도입
가) 시에 대한 관심들을 유도해본다.
나) 시를 써본 학생이 있는지 질문한다.
다) 이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다.
5. 수업전개
가. 시란 무엇인가
- 학생들에게 질문해서 각자의 대답을 칠판에 적는다.
나. 마르셀 뒤샹의 <샘>이란 작품을 보여준다.
· 참고로 이 작품은 변기를 갖다놓고 <샘>이라 명명한 것임.
- 학생들의 반응을 본다.
- 뒤샹의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듣는다.
다. 뒤샹의 작품을 예로 일상의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 시인이 언어와 대결하고 순응하면서 언어를 정교하게 부리는 것만이 천직이 아님을 강조한다.
- 시는 언어 예술이라고 불리나 정작 시를 만드는 것은 언어를 부리는 능력보다는 현실을 관찰하는 눈(시적인 것을 발견하는 눈)에 있음을 이해시킨다.
- 학생들의 일상적인 생활이 곧 시가 될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라. 시가 시적인 것으로 구체적 법칙없이 다양하게 쓰여질 수 있다면 그것을 감상하는 방법도 다양하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 경험으로 시읽기
- 역사적으로 시 읽기
- 이미지로 시 읽기
- 언어로 시 읽기
- 연상 단상으로 시 읽기
- 이 밖에도 학생들의 의견을 적어놓는다.
마. 황지우의 ‘눈보라’를 교사가 낭독한다.
- 학생들에게 대략적인 느낌을 발표시킨다.
- 각자 시를 읽고 떠오르는 단어들을 적어보도록 한다.
6. 교사가 사전에 직접 쓴 감상문을 읽어준다.
<감상문>
이 시의 서정적 자아는 아마도 산중의 절을 찾아 산을 오르는 모양이다. 평탄한 대지위에 불쑥
내 몸통을 뚫고 가는 바람 소리가 짐승 같구나
슬픔은 왜 독인가
희망은 어찌하여 광기인가
뺨 때리는 눈보라 속에서 흩어진 백만 대열을 그리는
나는 죄 짓지 않으면 알 수 없는가
가면 뒤에 있는 길은 길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 앞에 꼭 한 길이 있었고, 벼랑으로 가는 길도 있음을
마침내 모든 길을 끊는 눈보라, 저녁 눈보라,
다시 처음부터 걸어오라, 말한다
1. 학습개요
가) 대 단원명 : 시의 이해
나) 소 단원명 : 황지우의 ‘눈보라’
다) 대상 학년 :?
라) 학습시기 : x월 x일
마) 학습시간 ; 1시간
2. 학습목표
· “시를 언어에서 출발하지 말고 시적인 것에서 출발하도록 한다.”를 이해시킨다.
· 시를 감상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음을 제시한다.
· 다양한 감상방법에서 자신이 원하는대로 감상문을 쓸 수 있다.
3. 학습자료 및 재료
· 프린트물
4. 도입
가) 시에 대한 관심들을 유도해본다.
나) 시를 써본 학생이 있는지 질문한다.
다) 이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다.
5. 수업전개
가. 시란 무엇인가
- 학생들에게 질문해서 각자의 대답을 칠판에 적는다.
나. 마르셀 뒤샹의 <샘>이란 작품을 보여준다.
· 참고로 이 작품은 변기를 갖다놓고 <샘>이라 명명한 것임.
- 학생들의 반응을 본다.
- 뒤샹의 작품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을 듣는다.
다. 뒤샹의 작품을 예로 일상의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 시인이 언어와 대결하고 순응하면서 언어를 정교하게 부리는 것만이 천직이 아님을 강조한다.
- 시는 언어 예술이라고 불리나 정작 시를 만드는 것은 언어를 부리는 능력보다는 현실을 관찰하는 눈(시적인 것을 발견하는 눈)에 있음을 이해시킨다.
- 학생들의 일상적인 생활이 곧 시가 될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라. 시가 시적인 것으로 구체적 법칙없이 다양하게 쓰여질 수 있다면 그것을 감상하는 방법도 다양하다는 것을 인지시킨다.
- 경험으로 시읽기
- 역사적으로 시 읽기
- 이미지로 시 읽기
- 언어로 시 읽기
- 연상 단상으로 시 읽기
- 이 밖에도 학생들의 의견을 적어놓는다.
마. 황지우의 ‘눈보라’를 교사가 낭독한다.
- 학생들에게 대략적인 느낌을 발표시킨다.
- 각자 시를 읽고 떠오르는 단어들을 적어보도록 한다.
6. 교사가 사전에 직접 쓴 감상문을 읽어준다.
<감상문>
이 시의 서정적 자아는 아마도 산중의 절을 찾아 산을 오르는 모양이다. 평탄한 대지위에 불쑥
키워드
추천자료
7차 과학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및 6차 교육과정과의 비교
7 차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및 6차교육과정과의 비교
7차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 수학과 평가 및 6차 교육과정과의 비교
[교육학]국문과 레슨플랜 - 중학국어 1-2 4단원 시의세계
국어 지도안 (7학년(중1) 국어 1학기 1. 문학의 즐거움)
<교육방법및 교육공학>성교육 학습지도안(성병-에이즈)
[교수학습이론과매체]유아교육에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활용방안에 대해 논하고 좋은 소프트웨...
기악지도(기악교육, 기악학습, 기악수업)의 의의와 계획, 기악지도(기악교육, 기악학습, 기악...
협동학습 학습지도안(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다항식의 곱셈과 나눗셈, 다항식의 곱셈과 나눗...
미분과 적분 교수학습 이론(수학교육과정 및 교재연구 제5장 내용정리)
[생활과학과(가정복지)] 유아교육과정3)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통합 교육과정의 개념 및 배경,...
[유아교육개론D]유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 교수학습매체와 교재교구에 대하여 보고 ...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의 이론적 배경, 교육목표, 교육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및 교사의 역할...
유아교육개론 E형 유아교육의 교수학습원리와 시설 및 환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