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목차
제칠십삼회 전절동포단련사의 극강녕홍천왕복종
청사통속연의 73회 절강동쪽에 전투에서 포단련이 죽고 강녕을 이긴 홍천왕은 종족을 멸망시키다.
제칠십사회 승친왕중계상구 증대수설모제적
청사통속연의 74회 승친왕이 계책에 맞아 죽어 증대수는 꾀를 써서 적을 제압했다
제칠십오회 궤하방연도분찬 폐적수항장승관
청사통속연의 75회 황하제방이 터져 연 무리가 나눠 도망치고 적을 죽이고 처음 항복한 장수는 관직이 승진되다
청사통속연의 73회 절강동쪽에 전투에서 포단련이 죽고 강녕을 이긴 홍천왕은 종족을 멸망시키다.
제칠십사회 승친왕중계상구 증대수설모제적
청사통속연의 74회 승친왕이 계책에 맞아 죽어 증대수는 꾀를 써서 적을 제압했다
제칠십오회 궤하방연도분찬 폐적수항장승관
청사통속연의 75회 황하제방이 터져 연 무리가 나눠 도망치고 적을 죽이고 처음 항복한 장수는 관직이 승진되다
본문내용
이보수부주
하늘 아버지는 이미 죽었다고 생각해 보호해내지 못했다.
國得了此隘, 遂得合圍。
국전득료차애 수득합위
증국전은 이 험지를 얻어 곧 합동포위했다.
鮑超又攻克句容、金壇, 長毛潰走江西, 鮑超會合楊岳斌水師, 同追長毛, 向江西而去。
포초우공극구용 금단 장모궤주강서 포초회합양악빈수사 동추장모 향강서이거
포초는 또 구용과 금단을 공격해 이겨 장모군을 같이 추격해 강서를 향하여 갔다.
彭玉麟又移駐九江。
팽옥린우이주구강
팽옥린이 또 구강으로 이동 주둔했다.
廷恐國勢孤, 令李鴻章助攻江寧。
청정공국전세고 극령이홍장조공강녕
청나라 조정은 증국전의 기세가 고립될까 두려워 이홍장을 빨리 시켜 강녕 공격을 돕게 했다.
看官!想曾國自進攻江寧以後, 費了無數心血, 吃了無數辛苦, 得把江寧城團團圍住, 此時功成八九, 偏有人出來分功, 非但國不願, 就是國部下諸將士, 也是沒一個情願!
간관 니상증국번자진공강녕이후 비료무수심혈 흘료무수신고 재득파강녕성단단위주 차시공성팔구 편유인출래분공 비단국전불원 취시국전부하제장사 야시몰일개정원니
心血 [xnxue]①온 힘과 정신 ②지성과 정력
情愿 [qingyuan] ①진심으로 원하다 ②의지 ③달게 받다 ④의향
여러분 보시오! 당신 생각에 증국전은 강녕을 진격한 이후로 셀수 없는 힘과 정신을 낭비해 셀수 없는 고생을 겪어 겨우 강녕성을 단단히 포위하여 8,9할 성공을 하다가 어떤 사람이 공로를 나누러 오니 증국전이 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국전 부하의 여러 장사도 한명도 달게 원치 않았다!
李鴻章本是國藩保薦, 自然不欲奪國功勞, 只推說有病在身, 延久不至, 將輪船經費五十萬兩, 撥充國營餉。
이홍장본시국번보천 자연불욕탈국전공로 지추설유병재신 연구부지 장윤선경비오십만량 발충국전영향
推 [tushu] ①변명하다 ②추론(推論)하다 ③핑계를 대다
充 [bchng] ①충당하다 ②일부를 지출하여 충당하다
延久 [yanji] 오래 끌다
이홍장은 본래 증국번이 보증천거하니 자연 증국전 공로를 빼앗으려고 하지 않고 단지 질병에 걸려 오래되었다고 핑계를 대고 윤선의 경비 50만량을 증국전 군영식량으로 충당했다.
國復鼓勵將士, 攻克龍膊子山陰堅壘, 這壘比鍾山還要堅固, 長毛叫作地保城。
국전부고려장사 공극용박자산음견루 저루비종산환요견고 장모규작지보성
증국전이 다시 장사를 격려하여 용박자산 위 단단한 망루를 공격해 이 망루는 종산에 비교해 더 견고하여 장모군은 지보성이라고 불렀다.
(天也不保, 地也不保, 洪天王不死何待?)
천야불보 지야불보 홍천왕불사하대
하늘도 보장을 못하고 땅도 보호를 못하는데 홍천왕은 죽지 않고 무엇을 기다리는가?
地保城得手, 就在城上造起臺, 日發大射擊城中。
지보성득수 취재성상조기포대 일발대포사격성중
지보성을 손에 넣으면 성위에 포대를 건조하여 낮에 대포를 성안에 쏘아보냈다.
可憐城中糧草早, 饑民, 天王府內, 供給蔥菜白菜, 幾與黃金同價。
가련성중양초조절 기민오오 천왕부내 공급총부채복백채 기여황금동가
[ao’ao]①아이고 아이고 ②와와 ③엉엉 ④와글와글
가련한 성안에 식량과 풀이 조기에 끊겨 굶주린 백성이 아이고 하며 천왕부안에 파, 부추, 채소, 무, 배추가 공급됨이 거의 황금과 같은 가격이었다.
始而米盡, 繼之以豆;豆盡, 繼之以麥;
시이미진 계지이두 두진 계지이맥
처음 쌀이 떨어져 콩으로 계속먹었다. 콩이 다 떨어지니 보리를 먹었다.
麥盡, 繼之以熟地薏米黃精, 或牛, 羊, , 犬, , 鴨等物。
맥진 계지이숙지의미황정 혹우 양 저 견 계 압등물
보리가 다 떨어져 숙지황, 율무, 황정으로 계속하거나 혹 소, 양, 돼지, 개, 닭, 오리등의 물건으로 대신했다.
復盡, 用苧根草根, 調糖蒸熟, 糊成藥丸一般, 取了一個美名, 稱作甘露療饑丸, (還想騙人。) 名目雖好, 無濟實事。
부진 용저근초근 조당증숙 호성약환일반 취료일개미명 칭작감로요기환 명목수호 무제실사
다 떨어지며 모시뿌리나 풀뿌릴르 사용해 설탕에 섞어 쪄 익혀 약환처럼 풀로 만들어 한 좋은 이름을 취하길 감로요기환이라고 하나(다시 사람을 속일 생각을 한다) 이름은 비록 좋지만 실제 일에 도움이 안되었다.
這班饑民, 夜間私自城, 出來就食, 嗣後長毛也禁止不住, 白日裏亦城而出。
저반기민 야간사자추성 출래취식 사후장모야금지부주 백일리역추성이출
이런 무리 굶주린 백성은 야간에 사적으로 성을 줄 타고 내려와 음식을 먹으러 나와 이 뒤로 장모군은 금지해내지 못하고 대낮에도 또 성에 밧줄을 걸로 나갔다.
到同治三年五月, 洪天王不得苦, 仰藥自盡。
도동치삼년오월 홍천왕애부득고 앙약자진
不得 ibude 不得;不能近
仰 [yngyao]독약을 먹다
동시 3년 5월에 홍수전 천왕은 고통에 다가가지 않으려고 독약을 마시고 자진했다.
洪仁發、仁達等, 擁立幼主福卽位, 年紀不過十五六齡。
홍인발 인달등 옹립유주복전즉위 년기불과십오육령
(귀막이 옥 전; -총14획; tian)
홍인발과 홍인달등은 어린 군주 홍복전을 옹립해 즉위하게 하니 나이가 15, 16세에 불과했다.
國聞這消息, 飭軍士輪流苦攻, 連鑿地道三十餘穴, 俱被城內堵住。
국전문저소식 칙군사윤류고공 연착지도삼십여혈 구피성내도주
증국전은 이런 소식을 듣고 군사에게 칙령으로 고생스럽게 공격하게 하니 연달아 땅굴을 30여혈을 파서 모두 성안에서 막았다.
復由國部將李臣典, 率吳宗國等, 從敵極密處, 重開地道。
부유국전부장이신전 솔오종국등 종적포극밀처 중개지도
다시 증국전의 부장인 이신전은 오종국등을 인솔하고 적 대포의 지극히 비밀스런 곳에서 거듭 땅굴을 팠다.
至六月十六日, 地道告成, 國懸不次之賞, 嚴退後之誅. 安放引線, 用火燃着。
지유월십육일 지도고성 국전현불차지상 엄퇴후지주 안방인선 용화연착
不次 [buci]①순서나 상례(常例)에 의하지 않은 ②특별한
安放 [nfang] ① (일정한 장소에) 두다 ② 안무(安撫)하다 ③ 놓다 ④ 안전하게 놓다
引 [ynxian]①신관 ②촉매 ③매개자 ④바늘
6월 16일에 이르러서 땅굴이 성공을 고하여 증국전은 특별한 상금을 걸어 후퇴를 한 죄를 엄밀히하고 도화선을 두고 불로 태웠다.
不到一刻, 驀地火發, 聲如霹靂, 轟開城垣二十餘丈。
부도일각 맥지화발 성여벽력 굉개성원이십여장
[hngki]①쫓아내다 ②몰아내다
15분이 안되어 갑자기 불이 발생하여 벼락같은 소리에 성담장 20여장이 무너져
하늘 아버지는 이미 죽었다고 생각해 보호해내지 못했다.
國得了此隘, 遂得合圍。
국전득료차애 수득합위
증국전은 이 험지를 얻어 곧 합동포위했다.
鮑超又攻克句容、金壇, 長毛潰走江西, 鮑超會合楊岳斌水師, 同追長毛, 向江西而去。
포초우공극구용 금단 장모궤주강서 포초회합양악빈수사 동추장모 향강서이거
포초는 또 구용과 금단을 공격해 이겨 장모군을 같이 추격해 강서를 향하여 갔다.
彭玉麟又移駐九江。
팽옥린우이주구강
팽옥린이 또 구강으로 이동 주둔했다.
廷恐國勢孤, 令李鴻章助攻江寧。
청정공국전세고 극령이홍장조공강녕
청나라 조정은 증국전의 기세가 고립될까 두려워 이홍장을 빨리 시켜 강녕 공격을 돕게 했다.
看官!想曾國自進攻江寧以後, 費了無數心血, 吃了無數辛苦, 得把江寧城團團圍住, 此時功成八九, 偏有人出來分功, 非但國不願, 就是國部下諸將士, 也是沒一個情願!
간관 니상증국번자진공강녕이후 비료무수심혈 흘료무수신고 재득파강녕성단단위주 차시공성팔구 편유인출래분공 비단국전불원 취시국전부하제장사 야시몰일개정원니
心血 [xnxue]①온 힘과 정신 ②지성과 정력
情愿 [qingyuan] ①진심으로 원하다 ②의지 ③달게 받다 ④의향
여러분 보시오! 당신 생각에 증국전은 강녕을 진격한 이후로 셀수 없는 힘과 정신을 낭비해 셀수 없는 고생을 겪어 겨우 강녕성을 단단히 포위하여 8,9할 성공을 하다가 어떤 사람이 공로를 나누러 오니 증국전이 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증국전 부하의 여러 장사도 한명도 달게 원치 않았다!
李鴻章本是國藩保薦, 自然不欲奪國功勞, 只推說有病在身, 延久不至, 將輪船經費五十萬兩, 撥充國營餉。
이홍장본시국번보천 자연불욕탈국전공로 지추설유병재신 연구부지 장윤선경비오십만량 발충국전영향
推 [tushu] ①변명하다 ②추론(推論)하다 ③핑계를 대다
充 [bchng] ①충당하다 ②일부를 지출하여 충당하다
延久 [yanji] 오래 끌다
이홍장은 본래 증국번이 보증천거하니 자연 증국전 공로를 빼앗으려고 하지 않고 단지 질병에 걸려 오래되었다고 핑계를 대고 윤선의 경비 50만량을 증국전 군영식량으로 충당했다.
國復鼓勵將士, 攻克龍膊子山陰堅壘, 這壘比鍾山還要堅固, 長毛叫作地保城。
국전부고려장사 공극용박자산음견루 저루비종산환요견고 장모규작지보성
증국전이 다시 장사를 격려하여 용박자산 위 단단한 망루를 공격해 이 망루는 종산에 비교해 더 견고하여 장모군은 지보성이라고 불렀다.
(天也不保, 地也不保, 洪天王不死何待?)
천야불보 지야불보 홍천왕불사하대
하늘도 보장을 못하고 땅도 보호를 못하는데 홍천왕은 죽지 않고 무엇을 기다리는가?
地保城得手, 就在城上造起臺, 日發大射擊城中。
지보성득수 취재성상조기포대 일발대포사격성중
지보성을 손에 넣으면 성위에 포대를 건조하여 낮에 대포를 성안에 쏘아보냈다.
可憐城中糧草早, 饑民, 天王府內, 供給蔥菜白菜, 幾與黃金同價。
가련성중양초조절 기민오오 천왕부내 공급총부채복백채 기여황금동가
[ao’ao]①아이고 아이고 ②와와 ③엉엉 ④와글와글
가련한 성안에 식량과 풀이 조기에 끊겨 굶주린 백성이 아이고 하며 천왕부안에 파, 부추, 채소, 무, 배추가 공급됨이 거의 황금과 같은 가격이었다.
始而米盡, 繼之以豆;豆盡, 繼之以麥;
시이미진 계지이두 두진 계지이맥
처음 쌀이 떨어져 콩으로 계속먹었다. 콩이 다 떨어지니 보리를 먹었다.
麥盡, 繼之以熟地薏米黃精, 或牛, 羊, , 犬, , 鴨等物。
맥진 계지이숙지의미황정 혹우 양 저 견 계 압등물
보리가 다 떨어져 숙지황, 율무, 황정으로 계속하거나 혹 소, 양, 돼지, 개, 닭, 오리등의 물건으로 대신했다.
復盡, 用苧根草根, 調糖蒸熟, 糊成藥丸一般, 取了一個美名, 稱作甘露療饑丸, (還想騙人。) 名目雖好, 無濟實事。
부진 용저근초근 조당증숙 호성약환일반 취료일개미명 칭작감로요기환 명목수호 무제실사
다 떨어지며 모시뿌리나 풀뿌릴르 사용해 설탕에 섞어 쪄 익혀 약환처럼 풀로 만들어 한 좋은 이름을 취하길 감로요기환이라고 하나(다시 사람을 속일 생각을 한다) 이름은 비록 좋지만 실제 일에 도움이 안되었다.
這班饑民, 夜間私自城, 出來就食, 嗣後長毛也禁止不住, 白日裏亦城而出。
저반기민 야간사자추성 출래취식 사후장모야금지부주 백일리역추성이출
이런 무리 굶주린 백성은 야간에 사적으로 성을 줄 타고 내려와 음식을 먹으러 나와 이 뒤로 장모군은 금지해내지 못하고 대낮에도 또 성에 밧줄을 걸로 나갔다.
到同治三年五月, 洪天王不得苦, 仰藥自盡。
도동치삼년오월 홍천왕애부득고 앙약자진
不得 ibude 不得;不能近
仰 [yngyao]독약을 먹다
동시 3년 5월에 홍수전 천왕은 고통에 다가가지 않으려고 독약을 마시고 자진했다.
洪仁發、仁達等, 擁立幼主福卽位, 年紀不過十五六齡。
홍인발 인달등 옹립유주복전즉위 년기불과십오육령
(귀막이 옥 전; -총14획; tian)
홍인발과 홍인달등은 어린 군주 홍복전을 옹립해 즉위하게 하니 나이가 15, 16세에 불과했다.
國聞這消息, 飭軍士輪流苦攻, 連鑿地道三十餘穴, 俱被城內堵住。
국전문저소식 칙군사윤류고공 연착지도삼십여혈 구피성내도주
증국전은 이런 소식을 듣고 군사에게 칙령으로 고생스럽게 공격하게 하니 연달아 땅굴을 30여혈을 파서 모두 성안에서 막았다.
復由國部將李臣典, 率吳宗國等, 從敵極密處, 重開地道。
부유국전부장이신전 솔오종국등 종적포극밀처 중개지도
다시 증국전의 부장인 이신전은 오종국등을 인솔하고 적 대포의 지극히 비밀스런 곳에서 거듭 땅굴을 팠다.
至六月十六日, 地道告成, 國懸不次之賞, 嚴退後之誅. 安放引線, 用火燃着。
지유월십육일 지도고성 국전현불차지상 엄퇴후지주 안방인선 용화연착
不次 [buci]①순서나 상례(常例)에 의하지 않은 ②특별한
安放 [nfang] ① (일정한 장소에) 두다 ② 안무(安撫)하다 ③ 놓다 ④ 안전하게 놓다
引 [ynxian]①신관 ②촉매 ③매개자 ④바늘
6월 16일에 이르러서 땅굴이 성공을 고하여 증국전은 특별한 상금을 걸어 후퇴를 한 죄를 엄밀히하고 도화선을 두고 불로 태웠다.
不到一刻, 驀地火發, 聲如霹靂, 轟開城垣二十餘丈。
부도일각 맥지화발 성여벽력 굉개성원이십여장
[hngki]①쫓아내다 ②몰아내다
15분이 안되어 갑자기 불이 발생하여 벼락같은 소리에 성담장 20여장이 무너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