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찰내용
-평가
-평가
본문내용
는 경향이 있다. 마음이 여린 편이며 잘못을 했을 때는 반성할 수 있는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
식습관
배변습관
수면습관
신체
언어
사회
관찰내용
간식시간이다. 과일간식이 나온다. 사과에 포크를 집어 넣고는 가만히 있는다. 우유를 먹기 시작한다. 우유를 다 먹은 후 정리한다. 서연이에게 “사과는 안 먹을거야?”물어보자 “네”라고 대답한다. 사과를 반으로 잘라서 먹어보라고 권유하자 한 개만 먹고 정리한다.
“화장실을 다녀오겠습니다” 말한 후 화장실로 향한다. 영아용 변기 안에 손을 넣고 물을 튕기며 놀고 있다. 교사의 중재에 멈춘 후 손을 씻고 나온다. 나오다가 뒤돌아서 신발정리를 한다.
이부자리에 누워 다리 한 쪽을 들고 놀고 있다. 자신의 앞에 자지 않고 있는 친구와 마주보고 누워 이야기하며 놀고 있다. 교사가 토닥이며 친구를 재워주자 서연이는 이제야 바로 누워 잠을 자려고 한다. 조금 뒤, 눈이 감기며 숙면을 취한다.
눈송이가 달린 장갑을 끼고 단 위에 올라가 껑충 내려온다. 손을 위에서 아래로 흔들며 “펄~펄~눈이 옵니다” 노래를 부른다. 장갑을 흔들며 한 바퀴 빙그르르 돈다. 우리 교실에 있는 눈을 찾아보며 활동한다.
겨울에 관련된 책을 보고 있다. 산타할아버지 그림이 나오자 “산타할아버지는 우는 친구에게 선물을 안주신대”라고 노래를 흥얼거린다. 무슨 선물을 받고 싶은지 물어보자 “음 나는 장화를 받고 싶어요 그리고 엄마가 우산도 사 주신다고 했어요”라고 말한다.
낮잠시간이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자 일어나기 싫어한다. 서연이에게 “어? 아빠오셨네?”라고 선의의 거짓말을 하자 벌떡 일어난다. 아빠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는 제자리에 앉아 고무줄과 머리삔을 교사에게 주며 묶어달라고 한다.
평가
밥, 반찬, 국은 편식이 거의 없지만 과일은 편식이 조금 있는 편이다. 편식이 있어도 교사의 권유에 한 개 정도는 먹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기특하다.
화장실을 배변훈련을 하러 가는 것이 아니라 물장난 하러 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화장실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자신과 더불어 자지 않는 친구가 있을 때 함께 놀이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낮잠시간에는 조용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제시해주며 인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신체활동을 할 때에 관련된 노래를 생각하며 놀이를 할 수 있고 즐거운 표정으로 활동하는 모습이 기특하다. 관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우리교실에 있는 눈을 찾아보도록 제시하였다.
교사의 질문을 인지하고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다. 자신이 아는 노래가 생각나면 다 부를 수 있으며 자신의 생각을 스스럼없이 말 하는 편이다.
낮잠을 깨울 때 간혹 잠투정을 부리기는 하지만, 아빠가 오셨다는 소리에 벌떡 일어나는 편이며 낮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아빠~하며 찾기도 하는 편이다. 낮잠에서 기분 좋게 일어날 수 있도록 신경쓰고 돌봐야겠다.
식습관
배변습관
수면습관
신체
언어
사회
관찰내용
간식으로 귤이 나왔다. 귤은 쳐다만 보고 있다. 먼저 우유를 다 마시고 난 후 “선생님 다 먹었어요”라고 외친다. 귤을 먹으라고 권유하자 빙글빙글 굴린다. 한 쪽만 까서 주자 천천히 나머지를 까기 시작한다. 귤을 다 까고 난 후 하나씩 먹기 시작한다.
하원하기 전 화장실을 다녀오라고 권유하자 “쉬 안마려워요”라고 거부한다. 조금 뒤 하원하기 10분 전에 “화장실 다녀오겠습니다” 말한 후 화장실을 다녀온다. 바지를 바르게 입혀주며 하원을 도왔다.
숙면을 취하며 자고 있다. 옆 친구가 꿈을 꾸었는지 울면서 일어난다. 서현이도 덩달아 잠에서 깨어 눈을 뜬다. 교사가 우는 친구를 달래주며 재워주자 서현이도 다시 눈을 감고 잠이 든다.
눈밭을 걸으며 뽁
식습관
배변습관
수면습관
신체
언어
사회
관찰내용
간식시간이다. 과일간식이 나온다. 사과에 포크를 집어 넣고는 가만히 있는다. 우유를 먹기 시작한다. 우유를 다 먹은 후 정리한다. 서연이에게 “사과는 안 먹을거야?”물어보자 “네”라고 대답한다. 사과를 반으로 잘라서 먹어보라고 권유하자 한 개만 먹고 정리한다.
“화장실을 다녀오겠습니다” 말한 후 화장실로 향한다. 영아용 변기 안에 손을 넣고 물을 튕기며 놀고 있다. 교사의 중재에 멈춘 후 손을 씻고 나온다. 나오다가 뒤돌아서 신발정리를 한다.
이부자리에 누워 다리 한 쪽을 들고 놀고 있다. 자신의 앞에 자지 않고 있는 친구와 마주보고 누워 이야기하며 놀고 있다. 교사가 토닥이며 친구를 재워주자 서연이는 이제야 바로 누워 잠을 자려고 한다. 조금 뒤, 눈이 감기며 숙면을 취한다.
눈송이가 달린 장갑을 끼고 단 위에 올라가 껑충 내려온다. 손을 위에서 아래로 흔들며 “펄~펄~눈이 옵니다” 노래를 부른다. 장갑을 흔들며 한 바퀴 빙그르르 돈다. 우리 교실에 있는 눈을 찾아보며 활동한다.
겨울에 관련된 책을 보고 있다. 산타할아버지 그림이 나오자 “산타할아버지는 우는 친구에게 선물을 안주신대”라고 노래를 흥얼거린다. 무슨 선물을 받고 싶은지 물어보자 “음 나는 장화를 받고 싶어요 그리고 엄마가 우산도 사 주신다고 했어요”라고 말한다.
낮잠시간이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자 일어나기 싫어한다. 서연이에게 “어? 아빠오셨네?”라고 선의의 거짓말을 하자 벌떡 일어난다. 아빠가 없는 것을 확인하고는 제자리에 앉아 고무줄과 머리삔을 교사에게 주며 묶어달라고 한다.
평가
밥, 반찬, 국은 편식이 거의 없지만 과일은 편식이 조금 있는 편이다. 편식이 있어도 교사의 권유에 한 개 정도는 먹으려고 노력하는 모습이 기특하다.
화장실을 배변훈련을 하러 가는 것이 아니라 물장난 하러 가는 경우가 간혹 있다. 화장실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
자신과 더불어 자지 않는 친구가 있을 때 함께 놀이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낮잠시간에는 조용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제시해주며 인지시켜 줄 필요가 있다.
신체활동을 할 때에 관련된 노래를 생각하며 놀이를 할 수 있고 즐거운 표정으로 활동하는 모습이 기특하다. 관찰력을 높일 수 있도록 우리교실에 있는 눈을 찾아보도록 제시하였다.
교사의 질문을 인지하고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다. 자신이 아는 노래가 생각나면 다 부를 수 있으며 자신의 생각을 스스럼없이 말 하는 편이다.
낮잠을 깨울 때 간혹 잠투정을 부리기는 하지만, 아빠가 오셨다는 소리에 벌떡 일어나는 편이며 낮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아빠~하며 찾기도 하는 편이다. 낮잠에서 기분 좋게 일어날 수 있도록 신경쓰고 돌봐야겠다.
식습관
배변습관
수면습관
신체
언어
사회
관찰내용
간식으로 귤이 나왔다. 귤은 쳐다만 보고 있다. 먼저 우유를 다 마시고 난 후 “선생님 다 먹었어요”라고 외친다. 귤을 먹으라고 권유하자 빙글빙글 굴린다. 한 쪽만 까서 주자 천천히 나머지를 까기 시작한다. 귤을 다 까고 난 후 하나씩 먹기 시작한다.
하원하기 전 화장실을 다녀오라고 권유하자 “쉬 안마려워요”라고 거부한다. 조금 뒤 하원하기 10분 전에 “화장실 다녀오겠습니다” 말한 후 화장실을 다녀온다. 바지를 바르게 입혀주며 하원을 도왔다.
숙면을 취하며 자고 있다. 옆 친구가 꿈을 꾸었는지 울면서 일어난다. 서현이도 덩달아 잠에서 깨어 눈을 뜬다. 교사가 우는 친구를 달래주며 재워주자 서현이도 다시 눈을 감고 잠이 든다.
눈밭을 걸으며 뽁
추천자료
영유아 성장 신체적 발달과 보육프로그램(영아, 유아의 인지, 언어, 사회성 발달에 따른 연령...
발달의 원리 5세~7세 신체, 인지 ,언어,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되는 놀이
아동의 연령별 발달단계 특징(도표 정리) - 신체발달, 전체운동발달, 미세운동발달, 인지발달...
보육경험과 아동발달 (신체,인지,사회,정서)
영유아 성장 신체적 발달과 보육프로그램(영아, 유아의 인지, 언어, 사회성 발달에 따른 연령...
보육경험이 영유아의 신체, 인지, 사회, 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간략히 요약하세요
보육학개론 - 영유아 발달과 교육(발달의 개념과 단계, 발달의 원리, 아동발달 영역-신체발달...
3~5세 유아의 신체, 인지, 사회, 정서적 발달과 관련하여 수립할 수 있는 안전교육 목표를 설...
[아동안전관리 공통] 1. 3~5세 유아의 신체, 인지, 사회·정서적 발달과 관련 수립할 수 있...
아동기의 발달적 특성(아동발달의 특성) - 아동기의 신체발달, 운동발달, 언어발달, 정서발달...
[아동발달] 영아기 발달적 특성(영아기의 신체 및 운동발달, 지적발달, 언어발달, 정서 및 사...
아동발달) 유아기 발달적 특성(유아의 발달 특성) - 유아기의 신체-운동발달, 지적발달, 언어...
학령전기(3세~6세) 아동의 성장발달 특성(학령전기 아동의 신체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사...
유아기 발달특성(유아기의 신체성장, 운동발달, 인지발달, 언어발달, 심리사회성 발달, 심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