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항성시차에 의한 별의 거리 측정
2. 별의 등급과 거리측정
3. 별의 파장등급과 거리
4. 성간 적색화와 소광
2. 별의 등급과 거리측정
3. 별의 파장등급과 거리
4. 성간 적색화와 소광
본문내용
해 나타나는 것으로 성간 물질은 빛을 흡수하여 보다 긴 파장의 빛으로 재방출하는데 이는 광원에서 흘러나오는 빛을 더욱 어둡게 보이게 한다. 여기서 색초과(color excess)량은 관측된 색지수에서 고유 색지수를 뺀 값으로 표현할 수 있다.
성간 적색화 효과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측광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색지수 하나로는 성간 소광 때문에 별의 온도를 제대로 추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성간 적색화 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써 성간물질과 티끌이 있지만, 지구 대기에 의한 시상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대기 밖의 별의 플럭스를 라고 하고, 지상에서의 별의 플럭스를 , 그리고 대기의 광학적 깊이를 라고 할 경우, 아래와 같은 식을 쓸 수 있다.
별의 고도를 , 별의 천정거리를 라고 하면, 파장에 따른 광학적 깊이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공기질량(air mass)으로 나타낸다. 그렇다면, 등급과 광학적 깊이에 관한 식을 유도해보도록 하자.
의 식이 만족된다. 여기서 로 놓는데, 여기서 는 소광계수이다. 즉, 색등급에 관한 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고로 성간 소광에 의한 별의 등급의 증가량은 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로 나타낼 수 있다. 보통 청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광원의 파장이 짧다면 산란의 정도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보통 어느 별의 고유 색지수는 B등급과 V등급의 절대등급의 차이로 나타낸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식을 쓸 수 있다.
여기서, 이므로 의 식이 성립된다. 또한, 의 식이 만족되므로, 의 식이 만족된다.
성간 적색화 효과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이상의 파장대에서의 측광이 필요하다. 그 이유는 색지수 하나로는 성간 소광 때문에 별의 온도를 제대로 추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여기서 성간 적색화 효과를 유발하는 것으로써 성간물질과 티끌이 있지만, 지구 대기에 의한 시상효과도 무시할 수 없다. 대기 밖의 별의 플럭스를 라고 하고, 지상에서의 별의 플럭스를 , 그리고 대기의 광학적 깊이를 라고 할 경우, 아래와 같은 식을 쓸 수 있다.
별의 고도를 , 별의 천정거리를 라고 하면, 파장에 따른 광학적 깊이는 아래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는 공기질량(air mass)으로 나타낸다. 그렇다면, 등급과 광학적 깊이에 관한 식을 유도해보도록 하자.
의 식이 만족된다. 여기서 로 놓는데, 여기서 는 소광계수이다. 즉, 색등급에 관한 식은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고로 성간 소광에 의한 별의 등급의 증가량은 로 나타내는데 여기서 로 나타낼 수 있다. 보통 청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광원의 파장이 짧다면 산란의 정도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보통 어느 별의 고유 색지수는 B등급과 V등급의 절대등급의 차이로 나타낸다.
그렇다면, 아래와 같이 식을 쓸 수 있다.
여기서, 이므로 의 식이 성립된다. 또한, 의 식이 만족되므로, 의 식이 만족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