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성 궤양 환자를 치료 중이다. 이 때 적용 가능할 핵심기본 간호술을 추론하여 작성하고, 적용한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성 궤양 환자를 치료 중이다. 이 때 적용 가능할 핵심기본 간호술을 추론하여 작성하고, 적용한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에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하였는가?
2. 대상자의 상황에 적합한 핵심기본 간호술을 올바르게 제시하였는가?
3. 해당 핵심기본 간호술의 절차 및 방법을 올바르게 설명하였는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인간호학 조별과제
소화성 궤양
제출자
소화성 궤양 환자를 치료 중이다. 이 때 적용 가능할 핵심기본 간호술을 추론하여 작성하고, 적용한 이유에 대해서도 함께 서술하시오.
1. 대상자에 상황을 올바르게 인식하였는가?
2. 대상자의 상황에 적합한 핵심기본 간호술을 올바르게 제시하였는가?
3. 해당 핵심기본 간호술의 절차 및 방법을 올바르게 설명하였는가?
★ 소화성 궤양 (Peptic ulcer)
상부 위장관 표면에 생긴 궤양을 총칭하는 용어. 위궤양과 십이지장 궤양을 포함
십이지장 궤양(duodenal ulcer)이 위궤양(gastric ulcer)보다 흔하다
만성위궤양 : 위장의 유문부 근처 소만부에서 흔히 발생
1) 원인
(1) Helicobacter pylori 감염 : 만성위염과 소화성 궤양을 유발
(2)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사용 : 점막 손상, 위궤양 발생. 궤양 발생 위험은 50세 이전에는 낮으나 60세 이상에서는 급속히 증가
(3) 기타
유전적 소인 : 가족력
혈액형 : O형에서 호발
흡연 : 궤양의 빈도, 합병증, 재발, 사망률 등과 강한 상관관계
알코올 : 위점막 표면을 직접 자극, 급성위염을 유발
식이와 스트레스 : 차, 커피, 콜라, 우유, 향신료 등이 모두 산의 분비를 자극
2) 병태생리
정상적으로 위벽은 위점막 방어인자가 있어 자가소화되지 않도록 보호되며, 위점막의 표면에는 재생되는 세포가 많아 약 3일마다 새롭게 재생된다.
점막방어인자 파괴 요인
(1) H.pylori : 요소분해효소(enzyme urease)를 생성, 염증을 일으켜 위점막이 다른 유독 물질에 쉽게 손상
(2) 궤양 촉진제(아스피린, 항염증성 소염제) :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방해, 정상적인 점막의 투과성을 증가
(3) 지용성 세포독성제 : 장벽을 통과하여 점막방어인자를 파괴
(4) 미주신경반응 : 여러 요인(예:정서적 요인)에 의해 자극 받아 염산을 과다 분비, 점막방어인자를 변화시킴
3) 임상증상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의 비교 ★★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부위
표재성 : 둥글거나 원추형
침투성
해부학적 위치
위전정부
십이지장점막 1~2cm
위액분비
감소 (식용깜소)
증가 (식욕왕성)
성별
여성
남성, 폐경기 여성에게 증가
호발 연령
50~60세
35~45세
고위험집단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집단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은 지단
(★)임상증상
식사 1~2시간 후 통증
식사와 식사 중간: 위가 비거나 알칼리가 소모 시 통증 재발, 한밤중에 통증(hungry pain)
천공성궤양의 경우 음식섭취 후 통증 증가, 제산제는 도움이 안됨
상복부 중앙, 등에서 타는 듯한 작열감(burning pain), 갉아내는 듯한(gnaw pain), 누르는 듯한 통증 -> 음식이나 알칼리를 섭취하면 염산이 중화되므로 통증 완화
오심, 구토, 체중 감소
경우에 따라 오심, 구토
유문부의 근육경련이나 기계적 폐쇄 때문에 오심과 구토가 생김. 심한 통증 후에 나타나고 위 내용물을 토하면 완화
재발률
높음
높음
합병증
출혈, 천공(perforation), 폐색(obsrtuction), 난치
출혈(궤양이 혈관 침식 시), 천공, 폐색, 변비(식이와 약물 때문에)
4) 진단검사
바륨연하검사(상부 위장관 촬영술)
내시경검사 : 가장 정확한 검사. 위장과 십이지장을 직접 시진하여 염증성 변화와 궤양을 확인, 촬영. 조직표본을 채취하여 암세포와 H.pylori균의 유무를 검사. H.pylori균에 노출된 경우 혈청검사에서 특이적 IgG 항체가 나타남
신체검진 : 통증, 상복부 압통(tenderness), 복부팽만감(abd distension)을 확인
잠혈반응검사 : 출혈이 있는 경우 출혈이 멈춘 후 15일까지는 양성으로 나올 수 있음
위액분석검사 : 무산증(achlorhydria)과 Zollinger Ellsion 증후군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
요소호흡검사(urea breath test) : H.pylori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
5) 치료
① 일차적으로 증상 완화
② H.Pylori 감염 제거
③ 출혈, 천공, 폐색과 같은 합병증 예방
(1) 약물요법
- 대부분의 소화성궤양은 약물요법이 효과적으로, 목표는 H.pylori 감염을 75~90%까지 제거 하는 것
- 표군화된 약물요법 : 2개의 항생제와 1개의 양성자 펌프 억제제를 10~14일간 투여
① 제산제 Antacids : 위산을 중화
약물
용량
간호
Magnesium hydroxide with
Aluminum hydroxide(복합제)
(Maalox, Mylanta)
경구: 50~80mEq
식후 1시간과 3시간(산도가 가장 높이 올라감), 취침 시 복용
투약 2시간 이내에는 다른 약을 주지 않음
신진활의 병력 확인
울혈성심부전 병력 확인
설사 관찰
Aluminum hydroxide (Amphojel)
(알루미늄 제제)
경구: 50~80mEq
식후 1시간과 3시간, 취침 시 복용
투약 2시간 이내에는 다른 약을 주지 않음
변비 관찰
변비가 있는 경우 마그네슘 제산제로 바꿈
신부전 대상자에게 사용
장기간 복용 시 인과 결합하여 인을 배출=>골다공증 유발
magnesium hydroxide(마그네슘 제제)
dirrhea(설사)유발
② 위산분비억제제
- H2 수용체 길항제 :H2 수용체는 위, 자궁, 기관지 근육의 벽세포, T림프구 등에서 발견되며, 길항제는 위벽 세포에서 산 분비를 억제한다.
ㆍCimetidine(Tagamet, Tagatin) : 식사 시와 취침 전에 구강으로 투여. 궤양성 통증을 완화하고 제산제의 요구를 감소, 부작용은 간 기능장애, 혼돈
ㆍRanitidine(Zantac, Curan) : cimetidine보다 효과가 크고 부작용도 적다. 1일 2회 복용.
ㆍFamotidine(Pepcid, Gaster) : 제산제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제산제와 동시 투여 가능
- 양성자 펌프억제제 : 위산 생성에 필요한 수소이온, 포타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7.06
  • 저작시기201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53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