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Case Study
문헌고찰
1. 무릎의 기본구조와기능
2. 골절의 정의
3. 골절의 분류
4. 골절의 증상
5. 골절의 진단
6. 골절의 치료
7. 골절의 합병증
간호사정
1.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2. 일반적 사항
3. 건강력
4. 신체검진
5. 약물
6. 진단 검사
간호과정
핵심기본간호술 성취 여부
결론 및 실습후 소감
문헌고찰
1. 무릎의 기본구조와기능
2. 골절의 정의
3. 골절의 분류
4. 골절의 증상
5. 골절의 진단
6. 골절의 치료
7. 골절의 합병증
간호사정
1.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2. 일반적 사항
3. 건강력
4. 신체검진
5. 약물
6. 진단 검사
간호과정
핵심기본간호술 성취 여부
결론 및 실습후 소감
본문내용
다. 이때 뼈 양쪽에 있는 골 피질을 통과하여 안전하게 고정시켜야만 한다.
고정기구는 골절부위 위쪽을 절개하여 삽입하며 수술 후에 부목을 일시적으로 사용하여 부종이 가라 앉을 때까지 환부를 지지한다. 그 후에 석고붕대를 감는다. 삽입된 금속류는 환자의 반응에 따라 골절이 완전히 유합된 후에 의사가 결정하여 제거한다.
※ 수술용 스미스 피터슨 못 고정 방법
대퇴경부 골절을 내부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수술용못(nail)을 삽입ㅎ산다. 특히 대퇴 경부는 골유합의 실패율이 높고 또 골절 치유 기간도 길기 때문에 Smith-Peterson 이 고안한 못을 삽입한다. 이 못이 대전자부밑과 대퇴경부위로 그리고 대퇴두부 쪽으로삽입된다. 특히 대퇴경부위로 그리고 대퇴두부 쪽으로 삽입된다. 특히 대퇴경부의 골절은 유합이 잘 안되고 또 노인에게 흔히 발생되므로 장기적 침상 안정에 따른 합병증 발생이 많으므로 이와 같은 골수강 내부 방법이 적용된다.
③ 석고 붕대와 견인 장치
(3) 재활 및 기능 회복
장기간의 고정시기를 지나 골절이 치유되면 근육과 관절의 기능이 저하되므로 다음과 같이 기능을 회복 시킨다.
·상지기능: 손으로 쥐는 것, 드는 것, 치는 것, 미는 것 등의 기능과 수근 관절의 운동과 척 골관절의 운동을 촉진하고 견 관절의 운동기능을 회복한다.
·하지운동: 기립운동을 시작하면서 보행을 훈련한다. 이때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부목, 보 행기, 목발, 지팡이 등을 사용한다.
·관절운동: 고정 직후부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한다.
·근육운동: 등척성(isometric) 운동과 등장성(isotonic) 운동을 실시한다.
7.골절의 합병증
골절의 합병증은 다친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 환자의 전신 상태, 연령, 외상의 종류 및 정도, 다친 후 환자 관리, 치료 방법의 선정, 치료자의 능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은 전신적 합병증과 국소적 합병증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신적 합병증으로 쇼크, 출혈 합병증, 지방 색전증, 급성 호흡 장애 증후군, 혈전 색전증, 가스 괴저, 파상풍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으로 신속하고 전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심한 외상, 고령, 환자의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전신적 합병증에 대해 충분한 경계가 필요하다. 국소적 합병증으로 신경, 혈관의 손상 외 골수염, 구획 증후군, 반사성 교감 신경 이영양증, 사지 변형 및 단축, 관절 강직, 습관성 탈구, 외상 후 관절염, 무혈성 괴사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철을 이용해 무릎 고정한 수술><아이스팩>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2015년 5/27 ~ 5/8일 까지 본 학생은 광주병원 6병동(OS)에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와의 면담, 신체검진과 문진, 환자의 chart, 관련 문헌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과정
1. 간호사정
이 름:이 혜 O 연 령:57세 성 별:F
입원일:2015.4.25 사정일 2015.4.27 정보제공자:본인
진단명 :Rt patella fx D/L
OP:ORLF c TBW, cannulated screw
2) 대상자의 건강력
(1) 성장발달과업
: 중년기 - 가정을 잘 꾸려 가고 있으며, 자식을 낳고 키워가며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고 한다.
(2) 가족력(고혈압,당뇨,유전질환,결핵,간염 등)
: 부, 모 HTN(+) DM(+)
(3) 과거력(Past history : 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약물복용 등)
: ① 좌측 견관절 와순 선 후방 병증 및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경험:Acromioplasty
(4) 현병력(Present illness)
Imp : ① RT patella fx
빨래를 걷다가 전기줄에 넘어져 무릎이 탈구됫다.
정복을 하고 광주 병원에 오셨다.
OP : 정복중
1) 대상자의 건강양상
(1) 교환
순환
신경 : 신경계변화/증상 무
GCS점수 (E:4 M: 6 V:5 ) 총점 : 점15
지남력 의식수준: 정상
사람 유 시간 유 장소 유
심장 : 심장박동 ECG BP 130/80mmHg
말초 : 맥박 76 부종 유(RT patella) 청색증 무
피부통합성
욕창 무 발적 무
타박상 유 열상 무 좌상 유
반흔이나 수술상처 유 국소부종 유(RT patella) 소양감 유(석고붕대 주위)
피부 : 습기 없음 색깔 정상(수술부위 발적) 광택 있음
병변부위 RT patella fx
산소
호흡곤란 무 호흡수 20 리듬 규칙적
깊이 깊음
기침 무 객담 무 기구사용 무
신체조절
림프절 팽창 무 부위 무 체온 36.5(액와)
영양
식습관(발병 및 입원 전·후의 변화)
회수 3회 기호식품 과일
알러지 무 식욕변화 수술 후 감소
오심,구토 무 구강상태 건조
의치 무
키 162cm 몸무게 58kg
배설
배변습관 1회/1일 배변의변화 없음
배뇨습관 4~5회/일 배뇨의변화 없음
(2) 의사소통
한글독해력 유 언어장애 무
삽관상태 무
의사소통장애와 관련된 신체적 손상 무
(3) 관계형성
역할
형제관계 자녀수 학력 고졸
가정에서의 역할 모
(4) 가치
삶에 있어서 가장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
(대답하지않고 미소)
종교 없음
(5) 선택
대처
본인의 문제해결방법 참는다
가족의 문제해결방법 옆에 있어준다 .
참여
현재의 치료법 이행 잘 이행하고 계심.
(6) 기동
운동
기구사용 cast 무 braces 무
traction 무 crutches 무
일상활동 장애 유
운동습관 -
골격자세 right leg부동 대칭성 비정상 보행 불가능
외형 외소함.
근육 근력 약함 모양 - 운동 -
휴식 수면시간 규칙적이지 않다. 수면보조수단 무
여가 여가활동 남편과 이야기 사회활동
자가간호 일상활동 : 독자적 부분 의존적 남편
특수요구 걷지 못해 여간 불편하다
(7) 지각
자아개념
내 자신이 좋다고 느낍니까? 네
타인에게 나를 설명한다면?사회성이 좋은 사람이다.
질병, 수술로 인해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걷지못해 스트레스를 받는다.
일상생활 제한됨.
감각/지각
시각장애 무 안경 책읽을
고정기구는 골절부위 위쪽을 절개하여 삽입하며 수술 후에 부목을 일시적으로 사용하여 부종이 가라 앉을 때까지 환부를 지지한다. 그 후에 석고붕대를 감는다. 삽입된 금속류는 환자의 반응에 따라 골절이 완전히 유합된 후에 의사가 결정하여 제거한다.
※ 수술용 스미스 피터슨 못 고정 방법
대퇴경부 골절을 내부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수술용못(nail)을 삽입ㅎ산다. 특히 대퇴 경부는 골유합의 실패율이 높고 또 골절 치유 기간도 길기 때문에 Smith-Peterson 이 고안한 못을 삽입한다. 이 못이 대전자부밑과 대퇴경부위로 그리고 대퇴두부 쪽으로삽입된다. 특히 대퇴경부위로 그리고 대퇴두부 쪽으로 삽입된다. 특히 대퇴경부의 골절은 유합이 잘 안되고 또 노인에게 흔히 발생되므로 장기적 침상 안정에 따른 합병증 발생이 많으므로 이와 같은 골수강 내부 방법이 적용된다.
③ 석고 붕대와 견인 장치
(3) 재활 및 기능 회복
장기간의 고정시기를 지나 골절이 치유되면 근육과 관절의 기능이 저하되므로 다음과 같이 기능을 회복 시킨다.
·상지기능: 손으로 쥐는 것, 드는 것, 치는 것, 미는 것 등의 기능과 수근 관절의 운동과 척 골관절의 운동을 촉진하고 견 관절의 운동기능을 회복한다.
·하지운동: 기립운동을 시작하면서 보행을 훈련한다. 이때 보행을 보조하기 위해 부목, 보 행기, 목발, 지팡이 등을 사용한다.
·관절운동: 고정 직후부터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동적, 능동적 운동을 한다.
·근육운동: 등척성(isometric) 운동과 등장성(isotonic) 운동을 실시한다.
7.골절의 합병증
골절의 합병증은 다친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 환자의 전신 상태, 연령, 외상의 종류 및 정도, 다친 후 환자 관리, 치료 방법의 선정, 치료자의 능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은 전신적 합병증과 국소적 합병증으로 크게 구별된다. 전신적 합병증으로 쇼크, 출혈 합병증, 지방 색전증, 급성 호흡 장애 증후군, 혈전 색전증, 가스 괴저, 파상풍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으로 신속하고 전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 심한 외상, 고령, 환자의 전신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전신적 합병증에 대해 충분한 경계가 필요하다. 국소적 합병증으로 신경, 혈관의 손상 외 골수염, 구획 증후군, 반사성 교감 신경 이영양증, 사지 변형 및 단축, 관절 강직, 습관성 탈구, 외상 후 관절염, 무혈성 괴사 등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철을 이용해 무릎 고정한 수술><아이스팩>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2015년 5/27 ~ 5/8일 까지 본 학생은 광주병원 6병동(OS)에 입원 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와의 면담, 신체검진과 문진, 환자의 chart, 관련 문헌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간호과정
1. 간호사정
이 름:이 혜 O 연 령:57세 성 별:F
입원일:2015.4.25 사정일 2015.4.27 정보제공자:본인
진단명 :Rt patella fx D/L
OP:ORLF c TBW, cannulated screw
2) 대상자의 건강력
(1) 성장발달과업
: 중년기 - 가정을 잘 꾸려 가고 있으며, 자식을 낳고 키워가며 만족스러운 삶을 살고 있다고 한다.
(2) 가족력(고혈압,당뇨,유전질환,결핵,간염 등)
: 부, 모 HTN(+) DM(+)
(3) 과거력(Past history : 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약물복용 등)
: ① 좌측 견관절 와순 선 후방 병증 및 유착성 관절낭염
수술경험:Acromioplasty
(4) 현병력(Present illness)
Imp : ① RT patella fx
빨래를 걷다가 전기줄에 넘어져 무릎이 탈구됫다.
정복을 하고 광주 병원에 오셨다.
OP : 정복중
1) 대상자의 건강양상
(1) 교환
순환
신경 : 신경계변화/증상 무
GCS점수 (E:4 M: 6 V:5 ) 총점 : 점15
지남력 의식수준: 정상
사람 유 시간 유 장소 유
심장 : 심장박동 ECG BP 130/80mmHg
말초 : 맥박 76 부종 유(RT patella) 청색증 무
피부통합성
욕창 무 발적 무
타박상 유 열상 무 좌상 유
반흔이나 수술상처 유 국소부종 유(RT patella) 소양감 유(석고붕대 주위)
피부 : 습기 없음 색깔 정상(수술부위 발적) 광택 있음
병변부위 RT patella fx
산소
호흡곤란 무 호흡수 20 리듬 규칙적
깊이 깊음
기침 무 객담 무 기구사용 무
신체조절
림프절 팽창 무 부위 무 체온 36.5(액와)
영양
식습관(발병 및 입원 전·후의 변화)
회수 3회 기호식품 과일
알러지 무 식욕변화 수술 후 감소
오심,구토 무 구강상태 건조
의치 무
키 162cm 몸무게 58kg
배설
배변습관 1회/1일 배변의변화 없음
배뇨습관 4~5회/일 배뇨의변화 없음
(2) 의사소통
한글독해력 유 언어장애 무
삽관상태 무
의사소통장애와 관련된 신체적 손상 무
(3) 관계형성
역할
형제관계 자녀수 학력 고졸
가정에서의 역할 모
(4) 가치
삶에 있어서 가장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
(대답하지않고 미소)
종교 없음
(5) 선택
대처
본인의 문제해결방법 참는다
가족의 문제해결방법 옆에 있어준다 .
참여
현재의 치료법 이행 잘 이행하고 계심.
(6) 기동
운동
기구사용 cast 무 braces 무
traction 무 crutches 무
일상활동 장애 유
운동습관 -
골격자세 right leg부동 대칭성 비정상 보행 불가능
외형 외소함.
근육 근력 약함 모양 - 운동 -
휴식 수면시간 규칙적이지 않다. 수면보조수단 무
여가 여가활동 남편과 이야기 사회활동
자가간호 일상활동 : 독자적 부분 의존적 남편
특수요구 걷지 못해 여간 불편하다
(7) 지각
자아개념
내 자신이 좋다고 느낍니까? 네
타인에게 나를 설명한다면?사회성이 좋은 사람이다.
질병, 수술로 인해 이러한 것들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
걷지못해 스트레스를 받는다.
일상생활 제한됨.
감각/지각
시각장애 무 안경 책읽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