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유기재료
1) 목재
2) 방수재료
3) 벽지, 커튼, 카펫
나. 무기재료
1) 점토질 재료
2) 석재
3) 미장 재료
4) 유리 및 유리 제품
5) 단열 및 흡음 재료
6) 방화, 내화재료
7) 기타 재료
다. 금속 재료
1) 못과 나사못
2) 목조용 이음 철물
3) 창호용 철물
4) 창호재
라. 합성수지 재료
1) 합성수지
2) 도장
3) 접착제 및 퍼티, 코킹제
1) 목재
2) 방수재료
3) 벽지, 커튼, 카펫
나. 무기재료
1) 점토질 재료
2) 석재
3) 미장 재료
4) 유리 및 유리 제품
5) 단열 및 흡음 재료
6) 방화, 내화재료
7) 기타 재료
다. 금속 재료
1) 못과 나사못
2) 목조용 이음 철물
3) 창호용 철물
4) 창호재
라. 합성수지 재료
1) 합성수지
2) 도장
3) 접착제 및 퍼티, 코킹제
본문내용
위한 착색재, 방수급결방동계면 활성을 위해 사용되는 혼합재가 있다.
라) 각종 미장재료의 소개
(1) 회반죽
회반죽은 소석회, 모래, 여물, 해초풀 등을 섞어 만든 미장용 반죽을 말하며, 흙손으로 발라 경화시 미화하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보다 견고성이 떨어지고, 비내수성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백색 바탕이기 때문에 착색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2) 석고 플라스터
(가) 혼합석고 플라스터
혼합석고 플라스터는 소석고에 소석회,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점토 등의 혼화제와 기타 접착제, 아교질재 등을 혼합한 플라스터를 말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물, 모래 여물 등을 혼입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나) 보드용 석고 플라스터
보드용 석고 플라스터는 레디 믹스트 제품이며 물과 골재를 혼합하면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착성이 좋기에, 석고보드 붙임면이나 기타 모르타르, 콘트리트 면 등에 초벌바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3) 크림용 석고 플라스터
순석고 플라스터라고도 하며, 소석고와 현장에서 생석회 크림을 혼합한 플라스터를 말한다. 이는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고 대개는 혼합석고 플라스터로 대치된다.
(4) 경석고 플라스터
킨즈 시멘트라고도 불리는 경석고 플라스터는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다시한번 특별한 화학처리를 하여 만든 것이다. 이는 경화 후 아주 단단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석고계 플라스터 중 가장 경질이며, 습윤시 팽창이 크다는 성질이 있고, 산성을 나타내므로 철부에 녹막이칠을 하는 등 절연조치가 필요하다. 경석고 플라스터는 표면강도가 크고 광택이 있기에 벽바름 재료, 바닥바름 재로로 사용된다.
이외 인조석 바름, 현장 테라스 바름, 리신 바름, 러프 코트, 모조석 등의 미장재료가 있다.
4) 유리 및 유리 제품
유리는 현대 건축에 있어 철강, 시멘트와 함께 3대 요소로 꼽히며, 채광, 환기, 디자인 및 시각적 효과를 얻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14세기경 창유리가 제조되었으며 16세기 이후 거울 및 판유리가 발명되면서부터 건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산업혁명기에 유리산업 역시 공업화되었으며, 20세기 이후부터는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시장의 요구에 따라 많은 종류의 유리가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유리의 결점을 보완하고 용도의 다변화에 따라 특수 유리제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 유리의 분류
유리는 성분에 따라 소다석회 규산염 유리, 붕규산염 유리, 인산염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으로 나뉘고, 형태에 따라 판유리, 병유리, 식기유리, 유리면(glass wool), 유리섬유(glass fiber), 전구유리, 판유리, 브라운관 유리등으로 나뉜다. 또한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건축용 유리제품, 전기 및 전가제품용 유리, 의료용 유리, 이화학용 유리, 식기용 유리, 자동차용 유리 등으로 구분이 된다. 그밖에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도 있으며, 특수유리로는 반사유리, 스팬드럴 유리, 방탄유리 등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나) 유리의 성분
유리의 주원료는 규산과 산화알칼리이다. 규산은 유리의 71~73%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규사 또는 규석을 적당하게 부순 분말을 사용하고 있다. 산화알칼리는 유리의 14~16%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등이 있고, 그 이외에도 용융을 촉진시키는 반응촉진제, 유리중의 가스를 신속히 배출시키는 청등제, 산화제, 착색제, 유탁제 등이 있다.
다) 유리의 성질
유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2~6.3이며, 보통 유리는 2.5정도이다. 납, 아연, 바륨, 알루미나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면 비중이 커진다. 모스경도로 환산시 유리의 경도는 약 6 정도인데, 일반적으로 유리 안에 알칼리가 많으면 경도가 감소하고, 알칼리 토금속류가 포함될 때는 경도가 증가한다. 건축용 유리는 연질 유리이며, 납유리는 특히 더 연하고, 칼리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는 경질 유리이다.
유리의 강도는 두께, 성분, 열처리 여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산화칼슘, 규산,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유리는 그 강도가 크다. 압축강도의 경우 유리의 제품 형상, 성분, 성형법, 가력방향에 따라 각각 다르다. 유리의 열전도율은 대리석, 타일보다 작고 콘크리트의 1/2 정도이다. 유리의 성분 중 규산,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삼산화철 등은 열전도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유리는 온도차에 의해 파괴되는데, 2mm 두께의 유리의 경우 105℃, 3mm 두께의 유리의 경우 80~100℃, 5mm 두께의 유리의 경우 60℃정도에서 파괴된다. 그리고 보통유리는 740℃, 컬러 유리는 1000℃ 정도에서 연화된다.
깨끗한 창유리의 경우 흡수율은 2~5% 정도이고, 두께, 불순물의 양, 착색정도가 커질수록 흡수율도 커진다. 투과율의 경우 그 반대인데, 맑은 유리의 경우 최고 92%의 투과율을 자랑한다. 유리의 굴절률은 대개 1.5~1.9 사이이고, 납을 함유할 경우 더 높아진다. 보통 판유리의 경우 굴절률은 1.52 정도이다.
라) 유리의 종류와 용도
(1) 소다 석회 유리
소다유리 또는 보통 유리라고도 하며, 비교적 녹는점이 낮고, 산에 강하지만 내알칼리성, 내풍화성이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팽창률과 강도는 비교적 크고, 일반 건축용 유리, 유리병, 창유리로 사용된다.
(2) 칼라 석회 유리
칼라유리, 보헤미아 유리, 경질 유리라고도 하며, 녹는점이 높고 투명도가 우수하며, 기계적인 강도가 크고 내약품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값이 비싸다. 장식용 공예품이나 식기, 이화학용 기기나 모조 보석 등에 사용된다.
(3) 칼라연유리
연유리, 프린트 유리, 크리스털 유리 등으로도 불리고, 녹는점이 가장 낮고 산과 열에 약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비중, 굴절률, 분산율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그 특성 때문에 광학용 렌즈, 모조 보석류, 고급식기, 진공관 등에 사용된다.
(4) 붕규산유리
붕규산유리는 내열성이 크고 녹는점이 가장 높은 특성이 있다. 그 외에도 산에 견디는 성질, 절연성, 경도 등이 좋으며, 팽창률이 작다는 특징이 있다. 이화학용 내열기구, 내열식기, 유리섬유
라) 각종 미장재료의 소개
(1) 회반죽
회반죽은 소석회, 모래, 여물, 해초풀 등을 섞어 만든 미장용 반죽을 말하며, 흙손으로 발라 경화시 미화하는 효과를 가지게 한다. 일반 시멘트 모르타르보다 견고성이 떨어지고, 비내수성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백색 바탕이기 때문에 착색이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2) 석고 플라스터
(가) 혼합석고 플라스터
혼합석고 플라스터는 소석고에 소석회,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점토 등의 혼화제와 기타 접착제, 아교질재 등을 혼합한 플라스터를 말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물, 모래 여물 등을 혼입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나) 보드용 석고 플라스터
보드용 석고 플라스터는 레디 믹스트 제품이며 물과 골재를 혼합하면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착성이 좋기에, 석고보드 붙임면이나 기타 모르타르, 콘트리트 면 등에 초벌바름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3) 크림용 석고 플라스터
순석고 플라스터라고도 하며, 소석고와 현장에서 생석회 크림을 혼합한 플라스터를 말한다. 이는 특수한 경우에만 사용되고 대개는 혼합석고 플라스터로 대치된다.
(4) 경석고 플라스터
킨즈 시멘트라고도 불리는 경석고 플라스터는 고온소성의 무수석고를 다시한번 특별한 화학처리를 하여 만든 것이다. 이는 경화 후 아주 단단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석고계 플라스터 중 가장 경질이며, 습윤시 팽창이 크다는 성질이 있고, 산성을 나타내므로 철부에 녹막이칠을 하는 등 절연조치가 필요하다. 경석고 플라스터는 표면강도가 크고 광택이 있기에 벽바름 재료, 바닥바름 재로로 사용된다.
이외 인조석 바름, 현장 테라스 바름, 리신 바름, 러프 코트, 모조석 등의 미장재료가 있다.
4) 유리 및 유리 제품
유리는 현대 건축에 있어 철강, 시멘트와 함께 3대 요소로 꼽히며, 채광, 환기, 디자인 및 시각적 효과를 얻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14세기경 창유리가 제조되었으며 16세기 이후 거울 및 판유리가 발명되면서부터 건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산업혁명기에 유리산업 역시 공업화되었으며, 20세기 이후부터는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시장의 요구에 따라 많은 종류의 유리가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유리의 결점을 보완하고 용도의 다변화에 따라 특수 유리제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 유리의 분류
유리는 성분에 따라 소다석회 규산염 유리, 붕규산염 유리, 인산염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으로 나뉘고, 형태에 따라 판유리, 병유리, 식기유리, 유리면(glass wool), 유리섬유(glass fiber), 전구유리, 판유리, 브라운관 유리등으로 나뉜다. 또한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건축용 유리제품, 전기 및 전가제품용 유리, 의료용 유리, 이화학용 유리, 식기용 유리, 자동차용 유리 등으로 구분이 된다. 그밖에 제조방법에 의한 분류도 있으며, 특수유리로는 반사유리, 스팬드럴 유리, 방탄유리 등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나) 유리의 성분
유리의 주원료는 규산과 산화알칼리이다. 규산은 유리의 71~73%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천연적으로 산출되는 규사 또는 규석을 적당하게 부순 분말을 사용하고 있다. 산화알칼리는 유리의 14~16%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에도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알루미나 등이 있고, 그 이외에도 용융을 촉진시키는 반응촉진제, 유리중의 가스를 신속히 배출시키는 청등제, 산화제, 착색제, 유탁제 등이 있다.
다) 유리의 성질
유리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2.2~6.3이며, 보통 유리는 2.5정도이다. 납, 아연, 바륨, 알루미나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면 비중이 커진다. 모스경도로 환산시 유리의 경도는 약 6 정도인데, 일반적으로 유리 안에 알칼리가 많으면 경도가 감소하고, 알칼리 토금속류가 포함될 때는 경도가 증가한다. 건축용 유리는 연질 유리이며, 납유리는 특히 더 연하고, 칼리석회 유리, 붕규산 유리는 경질 유리이다.
유리의 강도는 두께, 성분, 열처리 여하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산화칼슘, 규산, 알루미나 성분이 많은 유리는 그 강도가 크다. 압축강도의 경우 유리의 제품 형상, 성분, 성형법, 가력방향에 따라 각각 다르다. 유리의 열전도율은 대리석, 타일보다 작고 콘크리트의 1/2 정도이다. 유리의 성분 중 규산,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삼산화철 등은 열전도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유리는 온도차에 의해 파괴되는데, 2mm 두께의 유리의 경우 105℃, 3mm 두께의 유리의 경우 80~100℃, 5mm 두께의 유리의 경우 60℃정도에서 파괴된다. 그리고 보통유리는 740℃, 컬러 유리는 1000℃ 정도에서 연화된다.
깨끗한 창유리의 경우 흡수율은 2~5% 정도이고, 두께, 불순물의 양, 착색정도가 커질수록 흡수율도 커진다. 투과율의 경우 그 반대인데, 맑은 유리의 경우 최고 92%의 투과율을 자랑한다. 유리의 굴절률은 대개 1.5~1.9 사이이고, 납을 함유할 경우 더 높아진다. 보통 판유리의 경우 굴절률은 1.52 정도이다.
라) 유리의 종류와 용도
(1) 소다 석회 유리
소다유리 또는 보통 유리라고도 하며, 비교적 녹는점이 낮고, 산에 강하지만 내알칼리성, 내풍화성이 약하다는 특징이 있다. 팽창률과 강도는 비교적 크고, 일반 건축용 유리, 유리병, 창유리로 사용된다.
(2) 칼라 석회 유리
칼라유리, 보헤미아 유리, 경질 유리라고도 하며, 녹는점이 높고 투명도가 우수하며, 기계적인 강도가 크고 내약품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값이 비싸다. 장식용 공예품이나 식기, 이화학용 기기나 모조 보석 등에 사용된다.
(3) 칼라연유리
연유리, 프린트 유리, 크리스털 유리 등으로도 불리고, 녹는점이 가장 낮고 산과 열에 약하며, 가공이 용이하고 비중, 굴절률, 분산율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그 특성 때문에 광학용 렌즈, 모조 보석류, 고급식기, 진공관 등에 사용된다.
(4) 붕규산유리
붕규산유리는 내열성이 크고 녹는점이 가장 높은 특성이 있다. 그 외에도 산에 견디는 성질, 절연성, 경도 등이 좋으며, 팽창률이 작다는 특징이 있다. 이화학용 내열기구, 내열식기, 유리섬유
추천자료
현대건축의이해-르꼬르뷔지에를 통해서 살펴본 현대건축의 경향
친환경 건축
[건축][친환경]Japan Pavillion, Expo 2000 Hannover / Shigeru Ban
[건축][친환경]Japan Pavillion, Expo 2000 Hannover / Shigeru Ban
[목조건축]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구조, 목조건축(목조건축물)의 특징, 전통목조건축(목조건...
친환경 건축
LEED, 미래의 건축(저탄소 녹색성장의 친환경 건축들)
친환경 건축물 사례조사 및 기법
재료과학의 이해와 응용(자기적 성질)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친환경 건축
지열을 이용한 친환경 건축기술.pptx
친환경 건축 사례 - SK 케미칼 연구소
[건축학] 친환경 건축 사례조사(ecc) (도미니크 페로, EWHA CAMPUS Complex, 캠퍼스 밸리, EW...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