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유방암(breast cancer) 목차
1. 유방암의 유형
① 유방상피내암종(DCIS, ductal carcinoma in situ)
② 침윤유관암종(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③ 침윤소엽암종(infiltrating lobular carcinoma)
④ 수질암종(medullary carcinoma)
⑤ 점액암종(mucinous carcinoma)
⑥ 관암종(duct carcinoma)
⑦ 염증암종(inflammatory carcinoma)
⑧ 파제트병(paget’s disease)
2. 위험인자
3. 임상증상
4. 사정과 진단결과
① 유방자가검진(breast self-examination, BSE)
② 유방촬영술(mammography)
③ 유선조영술(galactography)
④ 초음파 촬영술(ultrasonography)
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⑥ 유방 생검
5. 병기(stage)
6. 예후
7. 외과적 관리
① 변형근치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tectomy)
② 전유방절제술(total mastectomy)
③ 유방보존치료(breast conservation treatment)
④ 감시림프절생검(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
8. 수술 전 간호중재
① 수술적 치료에 관한 교육제공과 준비
② 공포와 불안경감 및 대처능력의 향상
③ 의사결정 능력의 향상
9. 수술 후 간호중재
① 통증과 불편함 경감
② 수술 후 감각관리
③ 긍정적인 신체상의 촉진
④ 긍정적인 조정과 대처의 촉진
⑤ 성기능의 개선
⑥ 합병증의 감시와 관리
⑦ 대상자의 자가 관리 교육
10.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11. 화학요법 (chemotherapy)
12. 호르몬요법 (hormonal therapy)
13. 남성 유방암
1. 유방암의 유형
① 유방상피내암종(DCIS, ductal carcinoma in situ)
② 침윤유관암종(Infiltrating ductal carcinoma)
③ 침윤소엽암종(infiltrating lobular carcinoma)
④ 수질암종(medullary carcinoma)
⑤ 점액암종(mucinous carcinoma)
⑥ 관암종(duct carcinoma)
⑦ 염증암종(inflammatory carcinoma)
⑧ 파제트병(paget’s disease)
2. 위험인자
3. 임상증상
4. 사정과 진단결과
① 유방자가검진(breast self-examination, BSE)
② 유방촬영술(mammography)
③ 유선조영술(galactography)
④ 초음파 촬영술(ultrasonography)
⑤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⑥ 유방 생검
5. 병기(stage)
6. 예후
7. 외과적 관리
① 변형근치유방절제술(modified radical matectomy)
② 전유방절제술(total mastectomy)
③ 유방보존치료(breast conservation treatment)
④ 감시림프절생검(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
8. 수술 전 간호중재
① 수술적 치료에 관한 교육제공과 준비
② 공포와 불안경감 및 대처능력의 향상
③ 의사결정 능력의 향상
9. 수술 후 간호중재
① 통증과 불편함 경감
② 수술 후 감각관리
③ 긍정적인 신체상의 촉진
④ 긍정적인 조정과 대처의 촉진
⑤ 성기능의 개선
⑥ 합병증의 감시와 관리
⑦ 대상자의 자가 관리 교육
10.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11. 화학요법 (chemotherapy)
12. 호르몬요법 (hormonal therapy)
13. 남성 유방암
본문내용
oxorubicin에 의한 심근 독성
- anthracyclin계 항암 항생제인 doxorubicin과 daunorubicin은 급성 및 지연성 심근 독성을 유발한다. 300mg/m²이상의 doxorubicin 치료를 받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dexrazoxane을 심근 독성 예방 목적으로 사용한다.
12. 호르몬요법 (hormonal therapy)
호르몬 수용체 양성종양이 있는 여성에게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의 사용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수용체의 측정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유방암의 약 2/3sms 성장을 위한 에스트로겐에 의존하며, 에스트로겐이 결합되어 있는 핵 수용체에 의해서 표현된다. 그래서 그들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이다. 이와 비슷하게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표현하는 종양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PR+), 호르몬요법은 수용체에 결합된 에스트로겐과 경쟁하는 약제나 에스트로겐의 생산을 막는 약제를 함께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ER+이거나 PR+인 종양은 호르몬요법에 굉장히 크게 반응하며, ER-와 PR-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한 예후를 보인다. 폐경전이나 폐경기 여성들에게 비호르몬 의존성 병변일 경우가 높은 반면, 폐경 후 여성에게는 호르몬 의존성 병변인 경우가 높은 편이다. 전통적으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타목시펜은 폐경 전후의 유방암 여성들의 초기 호르몬치료제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폐경전 여성의 주요 치료제로 남아있다.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체로서 타목시펜은 에스트로겐 길항제나 에스트로겐 수용체로서 영향력을 미친다. 유방에서의 길항작용으로 에스트로겐으로 하여금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므로, 종양성장이 억제된다. 타목시펜은 폐경 여성의 혈액 지질프로파일과 골무기질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궁내막조직과 혈액응고과정에도 작용을 하여, 자궁내막암과 혈전색전증의 발생빈도가 증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방암을 가진 대부분의 여성에게 타목시펜의 이점은 위험보다 크다.
아로테이스억제제는 폐경후 여성의 호르몬관리에 중요한 요소이다. 대부분의 폐경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순환은 대개 부신 안드로겐안드로스테디온에서 에스트로겐으로의 전환과 테스토스테론에서 에스트라디올로의 전환에서 유래된다. 아로마테이스억제제는 효소 아로마테이스의 전환수행을 차단하므로써 말초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의 순환수준을 감소시킨다. 임상실험은 아로마테이스억제제가 타목시펜보다 무병생존율에서 우위에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아로마테이스억제제를 초기 보조치료(타목시펜을 2-3년 받은후, 타목시펜을 5년 받은 후 아로마테이스억제제를 5년 받았을 경우)로 받은 환자들은 상당한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마테이스억제제가 유방암의 장기치료와 초기 유방암의 추후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방암치료를유방암치료를 위한 보조 호르몬 요법의 역효과
치료제
역효과 및 부작용
선택적 에스트로겐수용체 조절체
Tamoxifen(nolvadex)
안면홍조, 질건조증/분비물/출혈, 불규칙한 생리, 오심, 정서변화, 자궁내막암 위험성 증가, 혈전색전성 문제의 위험성 증가(심부정맥혈전증, 표재성혈전염, 폐혈전)
아로마테이스억제제
anastrozole(arimidex)
근골격계 증상( 관절염, 근육통, 관절통)
letrozole(femara)
골다공증의 위험성 증가, 골절, 오심, 구토
exemestane(aromasin)
안면홍조, 피로, 정서변화
위한 보조호르몬요법의 역효과이다.
유방암치료를 위한 보조호르몬의 부작용 관리이다.
유방암의 보조호르몬요법 부작용 관리
안면홍조
통기성 있는 옷을 여러겹 입는다.
카페인이나 향신료를 포함한 음식은 피한다.
숨쉬기 운동을 한다.(일정한 속도의 호흡을 유지)
약물치료(비타민E, 항우울제)나 침술을 고려한다.
질 건조증
질 보습크림을 매일 사용한다.
성교시에 질 윤활제를 사용한다.
오심과 구토
무 자극식(bland diet)을 섭취한다.
오후에 약물치료를 시도한다.
근골격계의 증상
추천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복용한다.
따뜻하게 목욕을 한다.
자궁내막암의 위험
불규칙한 출혈이 있었을 경우, 부인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요청한다.
혈전색전성 질환의 위험
하지에 발적이나 부종, 압통이 있거나 예기치 않은 숨참이 있을 때 보고한다.
골다공증 또는 골절의 위험
기저선 골밀도 스캔을 받는다.
규칙적으로 웨이트 운동을 한다.
칼슘보충제와 비타민D를 복용한다.
Bisphophonate(예: alendronate) 또는 calcitonin을 처방 받은대로 섭취한다.
13. 남성 유방암
유방암에서 남성 유방암이 차지하는 비율은 1%도 되지 않는다. 이병이 진단되는 시기의 평균연령은 67세이지만 이 질병은 유전자적 관계에 의해서 젊은 남성에게서도 일어날 수 있다. BRCA-2 유전자돌연변이는 남성유방암과도 관계가 있다. BRCA-2돌연변이를 가진 남성은 6.8%의 유방암 발생률을 가지고 있다. 우발적으로 일어난 남성유방암 경우의 위험인자로는 이하선염성 고환염, 방사선 노출, 클라인펠터증후군 등이 있다. 알코올 남용이나 기생충감염으로 인해 에스트로겐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간질환들도 남성유방암의 발생률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증상으로는 통증없는 유륜 아래의 종괴, 유두수축, 피가 섞인 유두분비물, 피부궤양이 있으며, 진단검사나 치료양식은 여성의 방법과 비슷하다. 남성의 유방암은 성격상 드물기 때문에 조기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다. 환자든 의사든 초기에는 남성유방암을 의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SLNB나 ALND를 이용한 전 유방절제술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암이 있는 여성에서 예후는 질병의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액와림프절의 포함여부가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남성의 유방암은 ER+일 가능성이 크며, 몇 가지 부작용이 있지만 주로 타목시펜으로 치료한다. 유방암이 주로 여성 질환이므로, 남성은 어떤 오명이 뒤따르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보건 전문가들은 남성 환자들의 요구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정보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성인간호학-군자출판사
최신임상간호매뉴얼-현문사
최신암환자간호-대한간호협회
- anthracyclin계 항암 항생제인 doxorubicin과 daunorubicin은 급성 및 지연성 심근 독성을 유발한다. 300mg/m²이상의 doxorubicin 치료를 받은 전이성 유방암 환자에게 dexrazoxane을 심근 독성 예방 목적으로 사용한다.
12. 호르몬요법 (hormonal therapy)
호르몬 수용체 양성종양이 있는 여성에게 고려될 수 있다. 이것의 사용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수용체의 측정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유방암의 약 2/3sms 성장을 위한 에스트로겐에 의존하며, 에스트로겐이 결합되어 있는 핵 수용체에 의해서 표현된다. 그래서 그들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이다. 이와 비슷하게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표현하는 종양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양성(PR+), 호르몬요법은 수용체에 결합된 에스트로겐과 경쟁하는 약제나 에스트로겐의 생산을 막는 약제를 함께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ER+이거나 PR+인 종양은 호르몬요법에 굉장히 크게 반응하며, ER-와 PR-보다 상대적으로 유리한 예후를 보인다. 폐경전이나 폐경기 여성들에게 비호르몬 의존성 병변일 경우가 높은 반면, 폐경 후 여성에게는 호르몬 의존성 병변인 경우가 높은 편이다. 전통적으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타목시펜은 폐경 전후의 유방암 여성들의 초기 호르몬치료제로 사용되어 왔고, 여전히 폐경전 여성의 주요 치료제로 남아있다.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체로서 타목시펜은 에스트로겐 길항제나 에스트로겐 수용체로서 영향력을 미친다. 유방에서의 길항작용으로 에스트로겐으로 하여금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므로, 종양성장이 억제된다. 타목시펜은 폐경 여성의 혈액 지질프로파일과 골무기질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자궁내막조직과 혈액응고과정에도 작용을 하여, 자궁내막암과 혈전색전증의 발생빈도가 증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방암을 가진 대부분의 여성에게 타목시펜의 이점은 위험보다 크다.
아로테이스억제제는 폐경후 여성의 호르몬관리에 중요한 요소이다. 대부분의 폐경기 여성의 에스트로겐 순환은 대개 부신 안드로겐안드로스테디온에서 에스트로겐으로의 전환과 테스토스테론에서 에스트라디올로의 전환에서 유래된다. 아로마테이스억제제는 효소 아로마테이스의 전환수행을 차단하므로써 말초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의 순환수준을 감소시킨다. 임상실험은 아로마테이스억제제가 타목시펜보다 무병생존율에서 우위에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아로마테이스억제제를 초기 보조치료(타목시펜을 2-3년 받은후, 타목시펜을 5년 받은 후 아로마테이스억제제를 5년 받았을 경우)로 받은 환자들은 상당한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마테이스억제제가 유방암의 장기치료와 초기 유방암의 추후관리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유방암치료를유방암치료를 위한 보조 호르몬 요법의 역효과
치료제
역효과 및 부작용
선택적 에스트로겐수용체 조절체
Tamoxifen(nolvadex)
안면홍조, 질건조증/분비물/출혈, 불규칙한 생리, 오심, 정서변화, 자궁내막암 위험성 증가, 혈전색전성 문제의 위험성 증가(심부정맥혈전증, 표재성혈전염, 폐혈전)
아로마테이스억제제
anastrozole(arimidex)
근골격계 증상( 관절염, 근육통, 관절통)
letrozole(femara)
골다공증의 위험성 증가, 골절, 오심, 구토
exemestane(aromasin)
안면홍조, 피로, 정서변화
위한 보조호르몬요법의 역효과이다.
유방암치료를 위한 보조호르몬의 부작용 관리이다.
유방암의 보조호르몬요법 부작용 관리
안면홍조
통기성 있는 옷을 여러겹 입는다.
카페인이나 향신료를 포함한 음식은 피한다.
숨쉬기 운동을 한다.(일정한 속도의 호흡을 유지)
약물치료(비타민E, 항우울제)나 침술을 고려한다.
질 건조증
질 보습크림을 매일 사용한다.
성교시에 질 윤활제를 사용한다.
오심과 구토
무 자극식(bland diet)을 섭취한다.
오후에 약물치료를 시도한다.
근골격계의 증상
추천된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를 복용한다.
따뜻하게 목욕을 한다.
자궁내막암의 위험
불규칙한 출혈이 있었을 경우, 부인과 전문의에게 상담을 요청한다.
혈전색전성 질환의 위험
하지에 발적이나 부종, 압통이 있거나 예기치 않은 숨참이 있을 때 보고한다.
골다공증 또는 골절의 위험
기저선 골밀도 스캔을 받는다.
규칙적으로 웨이트 운동을 한다.
칼슘보충제와 비타민D를 복용한다.
Bisphophonate(예: alendronate) 또는 calcitonin을 처방 받은대로 섭취한다.
13. 남성 유방암
유방암에서 남성 유방암이 차지하는 비율은 1%도 되지 않는다. 이병이 진단되는 시기의 평균연령은 67세이지만 이 질병은 유전자적 관계에 의해서 젊은 남성에게서도 일어날 수 있다. BRCA-2 유전자돌연변이는 남성유방암과도 관계가 있다. BRCA-2돌연변이를 가진 남성은 6.8%의 유방암 발생률을 가지고 있다. 우발적으로 일어난 남성유방암 경우의 위험인자로는 이하선염성 고환염, 방사선 노출, 클라인펠터증후군 등이 있다. 알코올 남용이나 기생충감염으로 인해 에스트로겐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간질환들도 남성유방암의 발생률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증상으로는 통증없는 유륜 아래의 종괴, 유두수축, 피가 섞인 유두분비물, 피부궤양이 있으며, 진단검사나 치료양식은 여성의 방법과 비슷하다. 남성의 유방암은 성격상 드물기 때문에 조기 발견되는 경우가 드물다. 환자든 의사든 초기에는 남성유방암을 의심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치료는 SLNB나 ALND를 이용한 전 유방절제술로 구성되어 있다. 유방암이 있는 여성에서 예후는 질병의 단계에 따라 달라진다. 액와림프절의 포함여부가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이다. 남성의 유방암은 ER+일 가능성이 크며, 몇 가지 부작용이 있지만 주로 타목시펜으로 치료한다. 유방암이 주로 여성 질환이므로, 남성은 어떤 오명이 뒤따르는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보건 전문가들은 남성 환자들의 요구에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이고, 정보와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참고문헌)
성인간호학현문사
성인간호학수문사
성인간호학-군자출판사
최신임상간호매뉴얼-현문사
최신암환자간호-대한간호협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