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투석(PD)간호(복막투석 정의, 복막투석 종류, 복막투석 적응증, 복막투석 합병증, 복막투석 간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막투석(PD)간호(복막투석 정의, 복막투석 종류, 복막투석 적응증, 복막투석 합병증, 복막투석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 PD) 목차
1. 복막투석 정의
2. 복막투석의 원리와 종류
3. 복막투석의 종류
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chronic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② 다중백 연속성 보행성 복막투석(Multi-bag continuous ambulatory PD, MB-CAPD)
③ 자동화된 복막투석 (Automated PD, APD)
④ 연속성 주기 복막투석(continuous cycling peritoneal dialysis, CCPD)
⑤ 간헐적 복막투석(IPD: intermittent peritoneal dialysis)
⑥ 야간 복막투석(nocturnal peritoneal dialysis)
⑦ 주기성 복막투석(tidal peritoneal dialysis)
4. 복막투석 카테터
5. 복막투석의 적응증
(1) 단기 복막 투석(Short-Term Peritoneal Dialysis)
(2) 장기 복막투석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6. 복막투석의 합병증
⓵ 복막염(peritonitis)
⓶ 통증
⓷ 삽입구와 복부 터널의 감염(Exit site and tunnel infection)
⓸ 불충분한 투석액 흐름
⓹ 카테터 관련 합병증
⓺ 고지질혈증 발생
⓻ 투석액의 누출(dialysate leakage)
7. 복막투석방법, 절차
(1) 복막투석방법
(2) 복막투석 절차
8. 복막투석환자 간호
(1) 환자사정
(2) 환자와 가족교육
(3) 간호진단과 중재
1) 투석 시 영양관리
2) 체액균형 조절
3) 투석 시 감염예방
4) 복막 투석 시 비효율적 호흡예방
5) 복막 투석 시 자가 간호에 대한 교육
6) 장기간의 투석 치료 시 심리간호
9. 복막투석의 올바른 식사법

본문내용

입원은 그람음성균 감염과 혐기성 세균 감염, 농녹균 감염, 곰팡이 감염, 그리고 중독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 한에서 한다. 일차적인 치료는 광범위 항생제를 사용하며 황색포도알균과 그람음성균이 적용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항생제 치료는 복강에서 배양한 균에 따라 더욱 정밀하게 선택될 수 있다. 만약 복막염이 해결되지 않거나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복막염이 있다면 원인균이 카테터에 잠복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며 감염을 근절하기 위하여 카테터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복막염이 해결되기까지 혈액투석이 필요하며 새로운 복막투석 카테터를 삽입할 수 있다. 카테터관 감염은 복막염을 일으키거나 국소적인 감염으로 카테터에만 제한되어 존재할 수 있다. 복막투석중인 환자들은 16 환자달마다 1번의 관감염을 경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관감염의 증가는 부적절한 카테터 관리와 테이프, 드레싱으로 인한 출구 주변부 피부의 자극, 그리고 카테터에 과한 긴장으로 인한 바깥쪽 dacron 커프의 돌출과 관련되어 있다. 만약 출구 주변부와 관에 비 화농성 발적이 있다면 관감염은 과산화수소나 포비돈 요오드와 같은 국소적인 방법으로 치료될 수 있다. 전신항생제 뿐만 아니라 국소항생제 연고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만약 화농성 병변이 있다면 관감염을 근절하기는 매우 어려울 수 있다. 성공하는 사례가 드물기는 하지만 어떤 이들은 관 감염의 치료를 돕기 위해 바깥쪽 dacron 커프를 제거하기도 한다. 어떤 환자는 tenckhoff 카테터를 안착한 후에 복막이 두꺼워 지는 것을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복막의 과여과 능력의 손실을 일으킨다. 복막 기능 이상의 특징으로 복막의 투과도 증가와 이로 인한 투석물의 빠른 흡수 그리고 그에 따른 적절한 투석을 위해 필요한 삼투압 증감률의 변화 등이 있다. 용질의 운반은 그대로이지만 물의 전달은 일어나지 않는다. 이 현상은 투석용액에 아세트산염을 사용하여 생겼을 수도 있다. 치료로는 복강 내 내재 시간의 단축과 유량의 증가, 그리고 일간 내재시간의 제거 등이 있다. 복막 경화증 역시 일어날 수 있으며 이런 환자에서는 적절한 투석이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복막투석을 포기할 수밖에 없다. 이런 환자에게서 두꺼워진 복막 흉터가 발생하여 복부 내 장기를 덮게 된다. 그 결과, 투석을 위한 표면적이 줄어들게 된다. 아직 원인은 알지 못하나 반복되는 복막염의 발작이나 아세트산염, 고삼투압성 투석용액, 혹은 투석물의 특정한 물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과정은 장 폐색과 창자꼬임이 발생할 경우에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 합병증의 예방이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떠한 것도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7. 복막투석방법, 절차
(1) 복막투석방법
- 복막투석을 위한 수술 전에 환자는 질병과 치료의 목적, 복막 투석과정이나 치료에 대한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서 미리 알고 준비해야 한다. 수술 승낙서를 받고 방광과 장을 비우도록 한다. 수술방법은 투석액을 주입하기 위한 반영구적인 복강 카테터(tenckhoff catheter)를 수술을 통해 복강내 삽입하는 것이다. 카테터 삽입은 대부분 국소마취하에 수술실에서 시행하며 이상적인 삽입부위는 비교적 혈관분포가 적고 근막의 저항이 적은 배꼽주변 약 3~5cm가 적당하다. 수술직후 곧바로 복막투석을 시작하며 카테터내 혈액응고로 인한 폐쇄를 막기 위해 헤파린을 투여한다. 복강 카테터에는 2개의 dacron cuff가 붙어 있다. 카테터를 삽입한지 1~2주가 지나면 섬유아세포(fibroblasts)와 혈관들이 커프 주변에 자라서 카테터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투석액 누출과 세균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술 후 복막투석을 위해 우선 복강내에 삽입된 복강 카테터와 주입관을 연결한다. 투석백을 교환하는 절차는 주입관을 통해 복강 내에 1~2l의 투석액(dialysate)을 주입한 후 일정시간동안(10~20분에 걸쳐 중력을 이용해 복강 안으로 주입) 저류시킨 다음 다시 체외로 배액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교환조작에는 1회 30~40분이 소요되며 투석액의 주입과 배액은 중력의 힘에 의해 이루어진다. 투석액은 중력에 의해 체내에서 빠져나와 배액주머니로 들어간다. 복막에서 흘러나온 투석액에는 과도한 수분과 전해질, 첸에 축적되었던 질소성 노폐물 등이 포함되어 있다. 배출된 투석액을 복막 삼출액(peritoneal effluent)이라 부른다. 3단계 과정(주입,저류,배출)의 과정을 한 번의 복막 투석 교환으로 간주한다. 복막투석의 횟수와 빈도는 임상증상과 검사결과에 따라 의사가 처방한다. 투석액 주입 전에 투석액을 체온정도로 가온함으로서 복막혈관 확장에 따른 물질 교환을 촉진하고 추위로 인한 불편감을 방지할 수 있다. 수술직후에는 투석액을 소량 주입하지만 점차 양을 늘려 성인은 대략 2l 정도 주입하게 된다.
(2) 복막투석 절차
복막투석 필요 물품
투석투입 세트(1회용, 폐쇄계)
처방된 복막투석액
처방된 보조약물
국소마취제
중심정맥압 측정기구
심전도
봉합세트
멸균장갑
피부소독
복막투석 절차
동의서 작성을 확인한다.
투석 전과 24시간 마다 체중을 측정한다.(검사 초기의 체중을 기준으로 매일 체중을 평가한다)
v/s check 한다.
방광을 비우게 한다.(복막으로 탐침을 삽입할 때 천공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튜브를 투석액으로 통과 시킨다.(복막강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예방한다. 공기는 복부 불편감과 배액곤란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앙와위로 편안한 체위를 취하게 한다. 환자와 의료팀은 마스크를 착용한다.
<의사가 수행- 복막강 도관의 삽입방법을 요약한 것>
복부를 수술 시와 같이 준비하고, 피부와 피하조직을 국소 마취한다.
배꼽 아래 복부를 3~5cm 절개한다.
절개부위에 stylet을 끼운 탐침을 삽입하거나, 얇은 stylet관을 경피적으로 삽입한다.
탐침을 삽입한 후 환자의 머리를 들게 한다. (복부근육을 팽팽하게 하고 복강내 기관의 손상없이 탐침이 쉽게 관통한다.)
복막이 천자 되었을 때, 탐침을 골반의 좌측면을 향하여 삽입한다. stylet을 제거하고, 탐침을 통해 도관을 삽입하여 자리를 잡는다. 자
  • 가격4,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6.08.05
  • 저작시기2016.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