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A(cerebral vascular accident) = stroke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VA(cerebral vascular accident) = strok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원인
분류
1.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e)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2) 뇌거미막밑 출혈(자주막하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HA)
2. 허혈성 뇌혈관질환 (Ischemic stroke)
1)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3. 일과성 뇌허혈 발작증 (Transient cerebral ischemic attack)
임상증상
1. 반신마비 (Hemiplegia)
2. 경직 (spasticity)
3. 강직 (Rigidity)
4. 간대성 경련 (Cionus)
5. 실조 (Ataxia)
6. 행위상실증(실행증)(apraxia)
7. 기립성 저혈압 (Orthostatic hypotension)
8. 감각장애 (Sensory disorder)
9. 지각장애 (Perception deficit)
10. 인식불능증(실인증) (Agnosia)
11. 인지장애 (cognitive disorder)
12. 감정불안 (Emotional instability)
12. 감정불안 (Emotional instability)
13. 의사전달장애 (Communication disorder)
14. 어깨관절 부분탈구 (Shoulder subluxation)
15. 골다공증 및 골절 (Osteoporosis & fracture)
16. 말초신경손상 (Peripheral nerve injury)
17. 시야결손 (Visual field defect)
18. 무시 (Neglect)
19. 방광 및 배변장애 (Bladdre and bowel dysfuntion)
20 통증 (Pain)
21. 발작 (Seizures)
22. 삼킴장애 (Dysphagia)
23. 욕창 (Decubitus ulcer, bed sores)
-참고문헌

본문내용

C.V.A(cerebral vascular accident) = stroke
정의
뇌로 가는 뇌혈관의 이상이 생겨 뇌 조직에 지속적으로 산소, 포도당의 공급부족으로 뇌 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신경학적 장애(이상)을 말함.
원인
뇌출혈(hemorrhagic) : 고혈압, 심장질환, 당뇨, 동정맥기형, 동맥류 등에 기인.
뇌경색(infaction) : 혈전(thrombosis)-혈관내에 피딱지(혈전)가 생겨 그 자리가 막히는 경우
. 색전(emborism)-동맥경화 혈관이나 심장에서 떨어져 나온 피떡(혈전이나 콜레스테롤 덩어리)이 혈관을 타고 돌아 다니다가 뇌혈관을 막는 경우.
분류
1.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e)
출혈은 머리뼈 골절과 외상 등으로 인하여 중간뇌막동맥(Middle meningeal artery)의 파열로 머리뼈 내면과 경질막(dura matter) 사이에 생긴 혈종을 형성하는 경질막바깥 출혈(epidural Hemorrhage, EDH), 알코올중독(alcoholism), 간질(epilepsy) 등의 원인으로 대뇌겉질의 정맥혈관과 정맥굴(venous sinus)을 연결하는 연결정맥(bridging vein)의 파열이 되는 경질막아래 출혈(subdural Hemorrhage. SDH), 대부분 동맥류(aneurysm)의 파열로 재출혈이 높은 거미막밑 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SAH), 고혈압(hypertension), 뇌동맥류(aneurysm), 동정맥기형(arterivenous malfomation, ATM)과 연관되어 뇌실질내에 출혈로 인한 혈종이 발생하는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E), 그리고 뇌실내에 출혈이 발생하는 뇌실 출혈(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로 구분할 수 있다.
뇌출혈은 보통 6시간 정도면 출혈이 정지되는데, 출혈은 경색에 비하여 혼수상태와 사망률이 높고 증상의 회복도 경색보다 시간이 더 길다.
평균 발병 나이는 혈전성 뇌졸중보다는 낮으며 특별히 호발연령은 없으나 보통 50대와 60대에서 많이 발생하고, 남성이 여성보다 발생 빈도가 약간 높다. 출혈은 수면 시 발병은 적고 활동 중에 많이 발병한다. 뇌 조직내로 빠져나와 흡수된 혈액은 수주 및 수개월에 걸쳐 제거되는데 뇌부종의 절정기는 뇌출혈이 1~2주째이고 뇌경색은 4~5일이며 그 이후 서서히 사라진다.
고혈압성 뇌출혈의 발생 빈도 부위는 기저핵과 시상부에서 37%를 보이고 있고, 관자엽 21%, 이마엽 15%, 마루엽과 튀통수엽 15%, 소뇌 8%, 다리뇌 4% 순으로 발생.
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
① 뇌겉질밑 출혈
뇌겉잘맡 출혈(뇌피질하 출혈, subcortical Hemorrhage)은 고혈압과 작은 혈관 기형이 동반된 경우 자주 발생. 출혈이 있는 경우 출혈부위에 따라 국소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뇌겉질부는 팔 및 다리의 운동, 감각, 언어, 시야 등의 중추역할을 하므로 관련된 장애가 발생. 출혈된 혈액은 대부분 뇌겉질을 통해 거미막밑 공간으로 들어감.
② 조가비핵 출혈
조가비핵 출혈(피각 출혈, putamem Hemorrhage)은 뇌출혈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뇌출혈이며 속섬유막(내포, intrnal capsule) 주위에 많이 발병. 조가비핵 부위에 출혈 또는 혈종이 있으면 병변의 반대쪽 팔 및 다리의 마비, 지각장애, 얼굴마비, 말더듬증, 언어상실증, 팔 및 다리 약화, 양쪽 눈은 마비된 팔 및 다리의 반대측으로 편위됨. 처음에는 바빈스키 징후가 한쪽에만 양성으로 나타나다가 나중에는 양쪽 모두 양성반응을 보인다.
뒤쪽 병변에는 경미한 마비, 감각 편측시야결손(hemianopia), 반대측 안구추적운동의 장애(impaired visual pursuit to the opposite side), 베르니케형 언어상실증(Wernike\'s aphasia, 왼쪽병변), 질병인식불능증(anosognosia, 오른쪽 병변)등이 보임. 뇌실로 출혈이 진행되면 뇌줄기장애를 동반하여 혼수와 생명에 대한 위험성이 높다.
③ 시상 출혈
시상 출혈(thalamic Hemorrhage)은 시상 부위에 출혈이 있으면 편측에 운동장애보다 감각장애가 심하고, 편측의 팔과 다리에 부전마비가 나타남. 편측에 입체감각장애, 시상통증, 이상감각 및 감각과민, 깊은 감각의 소실, 극소동공 및 호너증후군(horner syndrome)이 나타남.
④ 다리뇌 출혈
다리뇌는 사이뇌의 하나로 해부학저으로 뇌의 모든 신경이 지나는 곳이기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09.07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8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