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p1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p1
Ⅱ. 본론∙∙∙∙∙∙∙∙∙∙∙∙∙∙∙∙∙∙∙∙∙∙∙∙∙∙∙∙∙∙∙∙∙∙∙∙p1
- 문헌고찰∙∙∙∙∙∙∙∙∙∙∙∙∙∙∙∙∙∙∙∙∙∙∙∙∙∙p1-8
- 간호사정∙∙∙∙∙∙∙∙∙∙∙∙∙∙∙∙∙∙∙∙∙∙∙∙∙p8-13
- 간호과정∙∙∙∙∙∙∙∙∙∙∙∙∙∙∙∙∙∙∙∙∙∙∙∙∙p14-15
Ⅲ. 결론∙∙∙∙∙∙∙∙∙∙∙∙∙∙∙∙∙∙∙∙∙∙∙∙∙∙∙∙∙∙∙∙∙∙p16
- 느낀점∙∙∙∙∙∙∙∙∙∙∙∙∙∙∙∙∙∙∙∙∙∙∙∙∙∙∙∙∙p16
- 참고문헌∙∙∙∙∙∙∙∙∙∙∙∙∙∙∙∙∙∙∙∙∙∙∙∙∙∙∙p16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p1
Ⅱ. 본론∙∙∙∙∙∙∙∙∙∙∙∙∙∙∙∙∙∙∙∙∙∙∙∙∙∙∙∙∙∙∙∙∙∙∙∙p1
- 문헌고찰∙∙∙∙∙∙∙∙∙∙∙∙∙∙∙∙∙∙∙∙∙∙∙∙∙∙p1-8
- 간호사정∙∙∙∙∙∙∙∙∙∙∙∙∙∙∙∙∙∙∙∙∙∙∙∙∙p8-13
- 간호과정∙∙∙∙∙∙∙∙∙∙∙∙∙∙∙∙∙∙∙∙∙∙∙∙∙p14-15
Ⅲ. 결론∙∙∙∙∙∙∙∙∙∙∙∙∙∙∙∙∙∙∙∙∙∙∙∙∙∙∙∙∙∙∙∙∙∙p16
- 느낀점∙∙∙∙∙∙∙∙∙∙∙∙∙∙∙∙∙∙∙∙∙∙∙∙∙∙∙∙∙p16
- 참고문헌∙∙∙∙∙∙∙∙∙∙∙∙∙∙∙∙∙∙∙∙∙∙∙∙∙∙∙p16
본문내용
자의 결혼생활이나 가족기능에 위협이 있을 때 또는 가족 상황이 우울증을 악화시킬 때 시도된다.
② 조증
- 환자들은 흔히 가족들 중에 공격적, 가학적, 성공적인 사람과 치료자를 동일시하여 흔히 의도적으로 치료자로 하여금 자신을 거부하게끔 부정적 감정을 유발시키므로 치료자는 매우 조심하여야 한다.
- 양극성 환자의 정신 치료적 목적은 자포자기적 우울증이나 복수하는 듯 한 과잉행동에 의지하지 않고 이별이나 고독감에 직면할 수 있는 선에 이르게 하는데 있다. 필요하면 가족치료도 시도해 볼 수 있다.
(4) 기타치료
① 전기경련치료(electroconvulsive therapy : ECT)
- 심한 우울증 환자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치료수단이며 특히 ‘내인성’우울증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 병세가 더 심하고 망상적인 경우 삼환계 항우울제보다 치료효과가 좋다.
- 자살위험이 있는 우울증 응급환자에게도 첫 치료시도로서 고려해야 한다.
-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약물을 잘 견디지 못하는 환자, 상태가 심해서 즉각 효과를 보아야 할 때, ECT치료가 시도된다.
② 기타
- 수면조작
전통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우울증 환자에게 수면박탈이나 수면위상전진이 효과를 나타내는 수가 있다. 특히 부분적 수면박탈의 경우도 주요 우울증의 2/3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 광선치료
계절성 정동장애는 일광과 관계가 있다. 이들은 대개 비전형적 증상을 나타내며 항우울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이 환자들에게 몇 시간 동안 밝은 인공광을 조사하면 신속하게 좋아진다는 연구가 있다.
2.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인적사항
이름 : 정OO 나이 : 35세 (만 34세) 성별 : F
학력 : 고등학교 졸업 직업 : 무직 종교 : 기독교
습관 (술/담배) : 없음 취미 : 성경읽기
결혼상태 : 미혼 경제상태 : 하
입원경로 : 자의입원 정보제공자 : 본인
2) 현병력
주호소
- “힘이없어, 쉬고싶어요.”
- “피곤해요 밤에 잠을 잘 못자서 낮에 좀 자는 편이에요.”
- “남자들이 무서워 그때 당한 것 때문에 가까이 하기 두려워요”
- “좋은 사람 만나서 결혼해야지 남자들 많이 만나보고, 주변에 내가 아는 높으신 사장님들이 많아 나가서 만나볼거에요.”
- “사람 많은곳에 있으면 정신없고 많이 불안해”
입원동기
정OO님은 고등학교 졸업 후 20살 중반에 성폭행을 당해 발병하게 됨. 현재 입원 동기는 가출하여 남자를 만나 성관계를 하며 돌아다니다 부모님의 신고로 경찰에 의해 행적을 찾아 부모님의 권유로 휴식을 위해 자의입원하게 됨.
3) 과거병력
(1)정신질환 병력
① 20대 중반 성폭행 이후 발병해 전대병원에 1년 입원
② 2012년 목포세안병원에 1년 입원
③ 2015년 6월
④ 2015년 6월 19일 ~ 본원에 자의입원
(2)신체질환 병력 - 없음
4) 약물(남용) 사용력 : -
5) 개인 발달력
(1) 출생력 및 유아기
- 목포에서 태어나 위로 오빠와 아래로 남동생이 있다.
- “어린시절은 잘 기억안나는데 귀여웠어요.”
(2) 학령전기/학령기
- “남자같이 자랐어요. 못생겼지”
(3) 청소년기
- 간호조무사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
- “간호조무사가 되고싶었어요”
(4) 성인기
- 동네 병원에서 간호조무사로 몇 주 동안 일함.
- 20대 중반 성폭행을 당해 발병했다.
6) 가족력(3대)
- 정신적 가족력은 없다.
- 미혼인 오빠가 평소 잘 챙겨주시며 광주에 직장을 가지고 있다.
-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입원하게 됨.
7) 정신성적 이력
① 가출해 남자를 만나 성관계를 가짐.
② 2015년 임신중절 수술을 했다.
8) 정신상태검사 (Mental Status Examination)
General description
전반적 외모
- 정상적인 표준체형 이며 몸과 머리 등 외모는 전체적으로 청결한
상태이다.
- 얼굴표정 : 대화중에 웃으시나 평소 걱정스러운 표정을 보이심
- 태도 : 매우 협조적이며 눈을 마주보고 이야기 한다.
- 행동 : 매번 산책을 다녀오시고 여러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 언어 : normal voice tone, normal speed
Speech
언어
- 목소리 톤과 속도는 보통이며 약물복용으로인해 다소 어눌한 발음을 보이기도 함.
Mood/affect
정서/기분
평소 약간 침울한 듯한 표정을 짓고 있으나 대화를 하며 미소를 짓고 활기를 찾는다.
Thought
사고
- 사고과정의 장애가 관찰되지 않고 사고는 논리적으로 잘 이루어짐.
perception
지각
현재는 환각이 없으심.
Sensorium/
cognition
감각/인지
- 의식 Alert함.
Judgement
판단력
- 판단능력 양호함.
insight
병식
- 자신의 병에 대한 정확한 인식 있음.
Reliability
신뢰도
- 신뢰도 높음.
- 면담 내용과 EMR의 정보가 정확히 일치한다.
9) 심리사회적 사정
-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 성경을 읽는다.
- 인간관계 : 원활함
- 신념/가치 : 기독교
- 직업과 일 : 무직
10) 신체사정
- 식사
아침
점심
저녁
일반식
일반식
일반식
- 배설
매일 대변을 체크한다.
대변양상 양호하다.
- 알러지 : 없음
- 약물부작용 : 없음
11) 임상적 검사 결과
- 소변검사, 생화학 검사, 생화학검사에서 이상 소견 없음
12)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약물치료
약품명
용량
효능/효과
부작용
OLANZAPINE TAB 10mg
-단독요법: 10-15mg/day.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5mg씩 늘려 용량 조절. 최대 20mg/day.
- 병용요법(lithium 또는 valproate와): 10mg/day.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5mg씩 늘려 용량 조절. 최대 20mg/day.
- 정신분열병
- 양극성 장애: 양극성 장애 1형과 관련된 조증 및 혼재 삽화의 치료, 올란자핀 투여로 조증 증상에 반응을 보인 환자들에 있어서 양극성 장애의 재발 예방, 양극성장애 I형과 관련된 우울삽화의 급성 치료
졸음, 불면, 어지러움, 두통, 피로, 변비. 체중증가, 식욕 증가, 소화불량, 구강 건조증, 흉
② 조증
- 환자들은 흔히 가족들 중에 공격적, 가학적, 성공적인 사람과 치료자를 동일시하여 흔히 의도적으로 치료자로 하여금 자신을 거부하게끔 부정적 감정을 유발시키므로 치료자는 매우 조심하여야 한다.
- 양극성 환자의 정신 치료적 목적은 자포자기적 우울증이나 복수하는 듯 한 과잉행동에 의지하지 않고 이별이나 고독감에 직면할 수 있는 선에 이르게 하는데 있다. 필요하면 가족치료도 시도해 볼 수 있다.
(4) 기타치료
① 전기경련치료(electroconvulsive therapy : ECT)
- 심한 우울증 환자에 대하여 매우 중요한 치료수단이며 특히 ‘내인성’우울증에 대하여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다.
- 병세가 더 심하고 망상적인 경우 삼환계 항우울제보다 치료효과가 좋다.
- 자살위험이 있는 우울증 응급환자에게도 첫 치료시도로서 고려해야 한다.
-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 약물을 잘 견디지 못하는 환자, 상태가 심해서 즉각 효과를 보아야 할 때, ECT치료가 시도된다.
② 기타
- 수면조작
전통적 치료에 반응이 없는 우울증 환자에게 수면박탈이나 수면위상전진이 효과를 나타내는 수가 있다. 특히 부분적 수면박탈의 경우도 주요 우울증의 2/3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 광선치료
계절성 정동장애는 일광과 관계가 있다. 이들은 대개 비전형적 증상을 나타내며 항우울제에 잘 반응하지 않는다. 이 환자들에게 몇 시간 동안 밝은 인공광을 조사하면 신속하게 좋아진다는 연구가 있다.
2.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인적사항
이름 : 정OO 나이 : 35세 (만 34세) 성별 : F
학력 : 고등학교 졸업 직업 : 무직 종교 : 기독교
습관 (술/담배) : 없음 취미 : 성경읽기
결혼상태 : 미혼 경제상태 : 하
입원경로 : 자의입원 정보제공자 : 본인
2) 현병력
주호소
- “힘이없어, 쉬고싶어요.”
- “피곤해요 밤에 잠을 잘 못자서 낮에 좀 자는 편이에요.”
- “남자들이 무서워 그때 당한 것 때문에 가까이 하기 두려워요”
- “좋은 사람 만나서 결혼해야지 남자들 많이 만나보고, 주변에 내가 아는 높으신 사장님들이 많아 나가서 만나볼거에요.”
- “사람 많은곳에 있으면 정신없고 많이 불안해”
입원동기
정OO님은 고등학교 졸업 후 20살 중반에 성폭행을 당해 발병하게 됨. 현재 입원 동기는 가출하여 남자를 만나 성관계를 하며 돌아다니다 부모님의 신고로 경찰에 의해 행적을 찾아 부모님의 권유로 휴식을 위해 자의입원하게 됨.
3) 과거병력
(1)정신질환 병력
① 20대 중반 성폭행 이후 발병해 전대병원에 1년 입원
② 2012년 목포세안병원에 1년 입원
③ 2015년 6월
④ 2015년 6월 19일 ~ 본원에 자의입원
(2)신체질환 병력 - 없음
4) 약물(남용) 사용력 : -
5) 개인 발달력
(1) 출생력 및 유아기
- 목포에서 태어나 위로 오빠와 아래로 남동생이 있다.
- “어린시절은 잘 기억안나는데 귀여웠어요.”
(2) 학령전기/학령기
- “남자같이 자랐어요. 못생겼지”
(3) 청소년기
- 간호조무사가 되기 위해 노력했다.
- “간호조무사가 되고싶었어요”
(4) 성인기
- 동네 병원에서 간호조무사로 몇 주 동안 일함.
- 20대 중반 성폭행을 당해 발병했다.
6) 가족력(3대)
- 정신적 가족력은 없다.
- 미혼인 오빠가 평소 잘 챙겨주시며 광주에 직장을 가지고 있다.
- 부모님과 함께 살고 있다 입원하게 됨.
7) 정신성적 이력
① 가출해 남자를 만나 성관계를 가짐.
② 2015년 임신중절 수술을 했다.
8) 정신상태검사 (Mental Status Examination)
General description
전반적 외모
- 정상적인 표준체형 이며 몸과 머리 등 외모는 전체적으로 청결한
상태이다.
- 얼굴표정 : 대화중에 웃으시나 평소 걱정스러운 표정을 보이심
- 태도 : 매우 협조적이며 눈을 마주보고 이야기 한다.
- 행동 : 매번 산책을 다녀오시고 여러 교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 언어 : normal voice tone, normal speed
Speech
언어
- 목소리 톤과 속도는 보통이며 약물복용으로인해 다소 어눌한 발음을 보이기도 함.
Mood/affect
정서/기분
평소 약간 침울한 듯한 표정을 짓고 있으나 대화를 하며 미소를 짓고 활기를 찾는다.
Thought
사고
- 사고과정의 장애가 관찰되지 않고 사고는 논리적으로 잘 이루어짐.
perception
지각
현재는 환각이 없으심.
Sensorium/
cognition
감각/인지
- 의식 Alert함.
Judgement
판단력
- 판단능력 양호함.
insight
병식
- 자신의 병에 대한 정확한 인식 있음.
Reliability
신뢰도
- 신뢰도 높음.
- 면담 내용과 EMR의 정보가 정확히 일치한다.
9) 심리사회적 사정
- 스트레스와 대처기술 : 성경을 읽는다.
- 인간관계 : 원활함
- 신념/가치 : 기독교
- 직업과 일 : 무직
10) 신체사정
- 식사
아침
점심
저녁
일반식
일반식
일반식
- 배설
매일 대변을 체크한다.
대변양상 양호하다.
- 알러지 : 없음
- 약물부작용 : 없음
11) 임상적 검사 결과
- 소변검사, 생화학 검사, 생화학검사에서 이상 소견 없음
12)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약물치료
약품명
용량
효능/효과
부작용
OLANZAPINE TAB 10mg
-단독요법: 10-15mg/day.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5mg씩 늘려 용량 조절. 최대 20mg/day.
- 병용요법(lithium 또는 valproate와): 10mg/day. 24시간 이상의 간격으로 5mg씩 늘려 용량 조절. 최대 20mg/day.
- 정신분열병
- 양극성 장애: 양극성 장애 1형과 관련된 조증 및 혼재 삽화의 치료, 올란자핀 투여로 조증 증상에 반응을 보인 환자들에 있어서 양극성 장애의 재발 예방, 양극성장애 I형과 관련된 우울삽화의 급성 치료
졸음, 불면, 어지러움, 두통, 피로, 변비. 체중증가, 식욕 증가, 소화불량, 구강 건조증, 흉
키워드
추천자료
양극성 장애에 정의와 증상 그리고 치료방법
[사회과학] 양극성 장애(조울증)에 대한 조사
양극성장애에대한정신보건복지연구
조울증과 섭식장애
[논문] 조울증 케이스
조울증의 진단 및 치료 - 영화 미스터 존스(Mr. Jones) 를 중심으로
조울증[1]
MDD (major depressive disorder) 주요우울장애 케이스 스터디
[정신건강론] 기분장애 - 우울증 & 조울증(양극성 장애)
[정신간호학][depressive disorder][우울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조증&양극성장애...
[이상심리학] 기분장애 (Mood Disorder)
기분장애 (mood disorder) - 기분장애 종류, 우울증, 불안장애, 양극성장애, 자살 원인, 치료...
기분장애 (氣分障碍 mood disorder) - 기분장애 종류, 우울증, 불안장애, 양극성장애, 자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