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코오롱스포츠 브랜드 소개
(1) 코오롱스포츠 기업개요
(2) 코오롱스포츠 경영이념
(3) 코오롱스포츠 제품라인분석
2. 아웃도어 시장상황분석
(1) 아웃도어시장의 성장
(2) 아웃도어 브랜드상황 분석
3. 코오롱스포트 BCG매트릭스 분석
4. 코오롱스포츠 가치사슬분석
5. 코오롱스포츠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6. 코오롱스포츠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7.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8. 코오롱스포츠 향후전략제안
9. 결론 및 나의의견
(1) 코오롱스포츠 기업개요
(2) 코오롱스포츠 경영이념
(3) 코오롱스포츠 제품라인분석
2. 아웃도어 시장상황분석
(1) 아웃도어시장의 성장
(2) 아웃도어 브랜드상황 분석
3. 코오롱스포트 BCG매트릭스 분석
4. 코오롱스포츠 가치사슬분석
5. 코오롱스포츠 SWOT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6. 코오롱스포츠 STP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7.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4P전략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8. 코오롱스포츠 향후전략제안
9. 결론 및 나의의견
본문내용
을 가진 사업단위로서 대체로 현금젖소에 속하였던 사업단위에 대하여 투자를 중단하고 적극적으로 자금을 회수하는 전략을 취할 경우에 이동한 사업 단위들이다. 더 이상 시장을 지속시킬 이유가 없으며 철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럭셔리
시장규모가 패션시장 전체 점유율 중 8~9%대로 낮지만 성장, 성장률이 높아 problem child로 보인다. 그러나 중장년층의 패션소비가 점차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down aging의 성향을 보여 전체적 소비 감소가 예상된다. 또한 국내 명품시장이 확대되면서 백화점을 레버리지로 이용한 명품업체들이 지방백화점에까지 적극적으로 입점하여 채널의 증가로서 일어난 성장률이기 때문에, 명품업계의 호황으로 판단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problem child와 dog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성복
최근 성장률, 하락세를 보이나 시장점유율이 아직 높다. 중장년층의 down aging trend에 따라 여성복의 구매 감소가 이어져 점점 시장 점유율이 낮아지고 있으며, 신세대 여성들의 패션 트렌드 변화로 인하여 여성 정장의 구매 감소로 인하여 점차 하향 안정화 될 것으로 보인다.
-남성복
신세대에는 스포티즘 열풍이 불어 많은 구매층이 스포츠, 아웃도어 제품군으로 이동하였고, 여성복과 같이 중장년층의 down aging 트렌드로 인하여 중장년 브랜드 선점효과
가 소멸되어 앞으로도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 같다.
-캐주얼
최근 3개년 CAGR(Compound Annual Grow Rate, 연 평균 성장률) 약 9퍼센트로 전체적 평가는 아웃도어와 스포츠에 밀려 성장률이 약간 미흡하지만,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중간 이상 규모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복, 여성복으로부터의 소비층 이동으로 인하여 앞으로의 전망이 나쁘지 않습니다.
-스포츠
신세대의 패션 트렌드 변화, 중장년층의 남성, 여성복으로부터의 이동으로 인하여 앞으로도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아웃도어
직장인들의 주 5일제 확산과 더불어 신세대 소비층의 아웃도어 패션 선호와 중장년층의 Down aging 트렌드가 합쳐져 매우 많은 소비층이 남성복, 여성복에서 이동하였고 증가하는 소비층까지 흡수하여 앞으로도 매우 큰 성장 폭을 보여줄 것 같다.
-골프
시장 규모도 매우 적은데다가 성장률도 -28.6퍼센트로 점점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 골프인구가 2008년 140만 명에서 2012년 310만 명으로 2배 이상 늘었지만 골프웨어 시장은 아직 확대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점차 시장이 작아지고 있다. 앞으로도 시장이 확대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dog로 판단된다.
-유아동복
이전의 출산율 저하, 불경기 등으로 인해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현재 출산 장려 정책, 유아동복의 고급화로 인하여 새로운 소비의 창출이 예상되나, 단기적으로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잡화
3개년 CAGR이 약 20퍼센트로서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여성의 패션잡화(신발 등)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앞으로도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 예상된다.
-이너웨어
대중들의 이너웨어에 대한 관심 증가와 지속되는 한파로 인하여 국내 이너웨어 시장의 규모가 약 1조 4000억대를 돌파했다. 또한 CPA의 이너웨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많은 브랜드를 론칭시킬 계획이여서 점점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4. 코오롱스포츠 가치사슬분석
구매물류, 생산 및 배송물류
코오롱 스포츠는 제품의 99%이상을 아웃소싱에 의해 생산하고 있다. 코오롱 스포츠가 생산을 전적으로 아웃소싱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아웃소싱은 비용절감이라는 최대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의류시장과 같은 매출액 증대의 한계를 느끼는 포화된 시장에서 코오롱 스포츠가 택할 대안은 비용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일 수밖에 없다. 두 번째 장점은 코오롱 스포츠는 공장을 건설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비를 변동비로 전환시켜 막대한 고정자본에 투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남는 자금으로 마케팅이나 판매망의 확보와 같은 다른 부분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세 번째는 의류시장과 같은 계절성이 높거나 주기적인 경기변동이 많은 사업에서 아웃소싱이 특히 유리하다는 점이다. 새로운 장비교체가 많고 시설능력을 계속 높여가야 할 경우 그런 하부구조에 계속 재투자를 할 필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네 번째는 아웃소싱을 채택함으로써 코오롱 스포츠는 가장 관심을 쏟아야 할 전략적 부문인 디자인과 품질 부분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 하여 최선의 시장가치가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웃소싱을 통하여 코오롱스포츠는 저렴한 원가를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마케팅 및 영업
코오롱 스포츠는 현재 4,50대에서 브랜드 선호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실제 제품 보유율도 30대 이상에서 코오롱 스포츠는 현재 1위이다. 아웃도어 웨어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품질과 기능성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50대에게 코오롱 스포츠의 브랜드 이미지는 높은 품질의 기능성이 있는 제품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코오롱 스포츠의 아웃도어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가 코오롱 스포츠의 경쟁우위임을 나타낸다.
등산복과 같은 아웃도어 웨어의 구매장소 선호도는 상설점이었다. 현재 코오롱 스포츠의 매출액 중 판매망별 구성비는 직영점 6.43%, 대리점 35.38%, 백화점 47.87%, 상설점 10.32%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코오롱 스포츠의 상설점 유통망의 비중이 타 브랜드보다 높다는 점이다. 상설점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을 잘 파악한 판매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망 역시 코오롱 스포츠의 경쟁우위이라고 할 수 있다.
5. 코오롱스포츠 SWOT분석
(1) Strength
-중 장년층의 강한 브랜드 충성도
-유통망이 넓고 영업력이 우수하다
-Salesman과 본사의 협력이 좋고 역량이 탁월하다
-효율적인 위탁구조
-생산구조상(아웃소싱) 효율이 좋고 비용낭비가 적다
-30여년간의 긴 history와 풍부한 경험으로 know-how가 축적
(2) Weakness
-잠재고객(20,30대
-럭셔리
시장규모가 패션시장 전체 점유율 중 8~9%대로 낮지만 성장, 성장률이 높아 problem child로 보인다. 그러나 중장년층의 패션소비가 점차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down aging의 성향을 보여 전체적 소비 감소가 예상된다. 또한 국내 명품시장이 확대되면서 백화점을 레버리지로 이용한 명품업체들이 지방백화점에까지 적극적으로 입점하여 채널의 증가로서 일어난 성장률이기 때문에, 명품업계의 호황으로 판단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problem child와 dog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여성복
최근 성장률, 하락세를 보이나 시장점유율이 아직 높다. 중장년층의 down aging trend에 따라 여성복의 구매 감소가 이어져 점점 시장 점유율이 낮아지고 있으며, 신세대 여성들의 패션 트렌드 변화로 인하여 여성 정장의 구매 감소로 인하여 점차 하향 안정화 될 것으로 보인다.
-남성복
신세대에는 스포티즘 열풍이 불어 많은 구매층이 스포츠, 아웃도어 제품군으로 이동하였고, 여성복과 같이 중장년층의 down aging 트렌드로 인하여 중장년 브랜드 선점효과
가 소멸되어 앞으로도 낮은 성장률을 보일 것 같다.
-캐주얼
최근 3개년 CAGR(Compound Annual Grow Rate, 연 평균 성장률) 약 9퍼센트로 전체적 평가는 아웃도어와 스포츠에 밀려 성장률이 약간 미흡하지만,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중간 이상 규모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남성복, 여성복으로부터의 소비층 이동으로 인하여 앞으로의 전망이 나쁘지 않습니다.
-스포츠
신세대의 패션 트렌드 변화, 중장년층의 남성, 여성복으로부터의 이동으로 인하여 앞으로도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아웃도어
직장인들의 주 5일제 확산과 더불어 신세대 소비층의 아웃도어 패션 선호와 중장년층의 Down aging 트렌드가 합쳐져 매우 많은 소비층이 남성복, 여성복에서 이동하였고 증가하는 소비층까지 흡수하여 앞으로도 매우 큰 성장 폭을 보여줄 것 같다.
-골프
시장 규모도 매우 적은데다가 성장률도 -28.6퍼센트로 점점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 골프인구가 2008년 140만 명에서 2012년 310만 명으로 2배 이상 늘었지만 골프웨어 시장은 아직 확대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점차 시장이 작아지고 있다. 앞으로도 시장이 확대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여 단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dog로 판단된다.
-유아동복
이전의 출산율 저하, 불경기 등으로 인해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나 현재 출산 장려 정책, 유아동복의 고급화로 인하여 새로운 소비의 창출이 예상되나, 단기적으로는 낮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잡화
3개년 CAGR이 약 20퍼센트로서 매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여성의 패션잡화(신발 등)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앞으로도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 예상된다.
-이너웨어
대중들의 이너웨어에 대한 관심 증가와 지속되는 한파로 인하여 국내 이너웨어 시장의 규모가 약 1조 4000억대를 돌파했다. 또한 CPA의 이너웨어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많은 브랜드를 론칭시킬 계획이여서 점점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4. 코오롱스포츠 가치사슬분석
구매물류, 생산 및 배송물류
코오롱 스포츠는 제품의 99%이상을 아웃소싱에 의해 생산하고 있다. 코오롱 스포츠가 생산을 전적으로 아웃소싱을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아웃소싱은 비용절감이라는 최대의 장점을 갖고 있다. 의류시장과 같은 매출액 증대의 한계를 느끼는 포화된 시장에서 코오롱 스포츠가 택할 대안은 비용절감을 통한 생산성 향상일 수밖에 없다. 두 번째 장점은 코오롱 스포츠는 공장을 건설하지 않기 때문에 고정비를 변동비로 전환시켜 막대한 고정자본에 투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남는 자금으로 마케팅이나 판매망의 확보와 같은 다른 부분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세 번째는 의류시장과 같은 계절성이 높거나 주기적인 경기변동이 많은 사업에서 아웃소싱이 특히 유리하다는 점이다. 새로운 장비교체가 많고 시설능력을 계속 높여가야 할 경우 그런 하부구조에 계속 재투자를 할 필요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네 번째는 아웃소싱을 채택함으로써 코오롱 스포츠는 가장 관심을 쏟아야 할 전략적 부문인 디자인과 품질 부분에 회사의 역량을 집중 하여 최선의 시장가치가 창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아웃소싱을 통하여 코오롱스포츠는 저렴한 원가를 통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마케팅 및 영업
코오롱 스포츠는 현재 4,50대에서 브랜드 선호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실제 제품 보유율도 30대 이상에서 코오롱 스포츠는 현재 1위이다. 아웃도어 웨어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은 품질과 기능성을 가장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4,50대에게 코오롱 스포츠의 브랜드 이미지는 높은 품질의 기능성이 있는 제품이라는 의미이다. 이것은 코오롱 스포츠의 아웃도어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가 코오롱 스포츠의 경쟁우위임을 나타낸다.
등산복과 같은 아웃도어 웨어의 구매장소 선호도는 상설점이었다. 현재 코오롱 스포츠의 매출액 중 판매망별 구성비는 직영점 6.43%, 대리점 35.38%, 백화점 47.87%, 상설점 10.32%이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코오롱 스포츠의 상설점 유통망의 비중이 타 브랜드보다 높다는 점이다. 상설점에서 더 저렴하게 구매하기를 원하는 소비자의 니즈을 잘 파악한 판매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망 역시 코오롱 스포츠의 경쟁우위이라고 할 수 있다.
5. 코오롱스포츠 SWOT분석
(1) Strength
-중 장년층의 강한 브랜드 충성도
-유통망이 넓고 영업력이 우수하다
-Salesman과 본사의 협력이 좋고 역량이 탁월하다
-효율적인 위탁구조
-생산구조상(아웃소싱) 효율이 좋고 비용낭비가 적다
-30여년간의 긴 history와 풍부한 경험으로 know-how가 축적
(2) Weakness
-잠재고객(20,30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