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문구의 ‘우리 동네’
2. 두 명의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인물의 이야기 요약 및 분석
1) 김씨
2) 황씨
3. 감상문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이문구의 ‘우리 동네’
2. 두 명의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인물의 이야기 요약 및 분석
1) 김씨
2) 황씨
3. 감상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두 연작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두 명(연작소설 두 편)을 골라, 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등을 비교하여 분석한 후 감상을 쓰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문구의 ‘우리 동네’
2. 두 명의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인물의 이야기 요약 및 분석
1) 김씨
2) 황씨
3. 감상문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이문구의 우리 동네는 농촌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우리 동네는 근대성으로 인해 인간미가 사라져버린 농촌을 다루고 있다. 전통적인 농촌의 생활 모습을 잃고, 도시화로 인해 인간미가 느껴지지 않는 농촌의 모습을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우리 동네는 작자의 실제 생활에서 터득한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작가 자신의 농촌 체험을 토대로 당시 농촌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농민들과 이농민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켜 놓았다. 우리 농촌은 60년대 이후 정부의 저곡가, 저임금 정책으로 인해 값싼 노동력을 도시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였으며, 기업은 정부의 보호 아래 저임금, 고강도, 장시간 노동 등으로 노동력을 착취하였다. 결국 젊은 층의 인구가 대거 도시노동자로 빠져 나가면서 이농민들은 도시빈민으로 전락하여 도시에 빈민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문구의 농촌소설은 도시화, 산업화에 의해 농촌 사회가 변하기 시작하고, 자본주의적 산업화로 인해 소득 불평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되었던 당시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두 연작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두 명(연작소설 두 편)을 골라, 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등을 비교하여 분석한 후 감상을 서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이문구의 ‘우리 동네’
「우리동네」는 1977년 11월「우리동네 김씨」를 시작으로 81년「우리동네 조씨」까지 아홉편의 단편으로 엮여있다. 각 단편마다 김씨, 리씨, 최씨, 정씨, 류씨, 강씨, 장씨, 조씨, 황씨 등 성씨를 따서 인물을 설정해 놓은 작품이다. 「우리동네」는 인물 하나하나를 표제로 내세우고 있는데 인물들을 중심으로 놀미라는 한 농촌 마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1970년대 말 급격한 근대화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문구는「우리동네」연작을 처음 발표했던 1977년 경기도 화성의 한 농촌 부락으로 거처를 옮겨 삼년 동안 농민들 속에서 살았다. 작가의 체험은「관촌수필」과 「해벽」에서와 같은 농촌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에도 잘 반영되어 있지만「우리동네」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작품은 농촌의 전통 생활방식에 기반을 두고 살아가는 농민들의 삶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2. 두 명의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인물의 이야기 요약 및 분석
1) 김씨
김승두가 주인공인「우리동네 김씨」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농민들 사이에 일어난 물 분쟁이 묘사된다.
정부와 농민의 대립은 불신을 형성하고 개인과 집단 간의 불화로 번지면서 인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작품 속에서 정부에 대한 불신관계는 농민들에게 근대화의 부정적인 관점을 형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농촌공동체를 이루는 인간관계에 악영향을 가져왔다. 정부의 이기적인 농업정책은 농민을 위한다는 명목 하에 농민들의 경제적 상황까지 구속한다. 농민들이 가져야 할 권리까지 박탈해 버려 피해는 농민들 몫이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압박은 농민들의 전통적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근대화로 인해 농촌의 두드러진 변화는 사람들 간의 인심이 각박해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부의 권력 행사에 퇴색되는 관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네 것 내 것 없이 살아온 과거와는 달리 자기 것을 지키려는 강한 의지와 나부터 잘살고 보자는 이기적인 삶의 방식이 자리하면서 이웃 간의 정이 넘치는 관계는 묻혀간다.
“어떤 정신나간 것이 저 비싼 호스를 내돌인다데? 뵈는 디다 두구두 안 빌려주는게 연장이구, 부앳짐에 오리구 한 가지씩 장만허는게 시간살인디……구만 디적그리구 싸게 가봐. 언내는 죙일 잠만 잔다네. 깼으면 도지게 울어 패겄다.” (「우리동네」김씨12쪽)
위에는 농촌의 불신이 어느 정도 깊어졌는지에 대한 상황이 잘 묘사되어있다. 이문구의「우리동네」는 이웃 간에 갈등을 통해 소통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농촌이 도시화 되어가면서 농민들도 사회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심은 소통 관계의 문제로 정보전달 매체 역할을 하는 TV가 유입된다. 놀미 부락에도 TV가 집집마다 들어오면서 본래의 의도와 달리 가족ㆍ이웃끼리 의사소통 단절을 가져왔다.
“도냐 개냐 덤벙대지 말구, 이 얘기를 헐라걸랑 듣구 허슈. 나는 또랑 물을 썼건, 이랄머리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이문구의 ‘우리 동네’
2. 두 명의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인물의 이야기 요약 및 분석
1) 김씨
2) 황씨
3. 감상문
Ⅲ.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이문구의 우리 동네는 농촌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우리 동네는 근대성으로 인해 인간미가 사라져버린 농촌을 다루고 있다. 전통적인 농촌의 생활 모습을 잃고, 도시화로 인해 인간미가 느껴지지 않는 농촌의 모습을 부각시키고 있는 것이다. 우리 동네는 작자의 실제 생활에서 터득한 체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작가 자신의 농촌 체험을 토대로 당시 농촌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있으며, 농민들과 이농민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형상화시켜 놓았다. 우리 농촌은 60년대 이후 정부의 저곡가, 저임금 정책으로 인해 값싼 노동력을 도시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였으며, 기업은 정부의 보호 아래 저임금, 고강도, 장시간 노동 등으로 노동력을 착취하였다. 결국 젊은 층의 인구가 대거 도시노동자로 빠져 나가면서 이농민들은 도시빈민으로 전락하여 도시에 빈민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이문구의 농촌소설은 도시화, 산업화에 의해 농촌 사회가 변하기 시작하고, 자본주의적 산업화로 인해 소득 불평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되었던 당시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두 연작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두 명(연작소설 두 편)을 골라, 등장인물의 특징과 갈등양상, 형상화방식 등을 비교하여 분석한 후 감상을 서술해 보겠다.
Ⅱ. 본론
1. 이문구의 ‘우리 동네’
「우리동네」는 1977년 11월「우리동네 김씨」를 시작으로 81년「우리동네 조씨」까지 아홉편의 단편으로 엮여있다. 각 단편마다 김씨, 리씨, 최씨, 정씨, 류씨, 강씨, 장씨, 조씨, 황씨 등 성씨를 따서 인물을 설정해 놓은 작품이다. 「우리동네」는 인물 하나하나를 표제로 내세우고 있는데 인물들을 중심으로 놀미라는 한 농촌 마을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1970년대 말 급격한 근대화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농촌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문구는「우리동네」연작을 처음 발표했던 1977년 경기도 화성의 한 농촌 부락으로 거처를 옮겨 삼년 동안 농민들 속에서 살았다. 작가의 체험은「관촌수필」과 「해벽」에서와 같은 농촌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들에도 잘 반영되어 있지만「우리동네」에 더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 작품은 농촌의 전통 생활방식에 기반을 두고 살아가는 농민들의 삶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2. 두 명의 등장인물을 선택하여 인물의 이야기 요약 및 분석
1) 김씨
김승두가 주인공인「우리동네 김씨」에서는 가뭄으로 인해 농민들 사이에 일어난 물 분쟁이 묘사된다.
정부와 농민의 대립은 불신을 형성하고 개인과 집단 간의 불화로 번지면서 인관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작품 속에서 정부에 대한 불신관계는 농민들에게 근대화의 부정적인 관점을 형성해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농촌공동체를 이루는 인간관계에 악영향을 가져왔다. 정부의 이기적인 농업정책은 농민을 위한다는 명목 하에 농민들의 경제적 상황까지 구속한다. 농민들이 가져야 할 권리까지 박탈해 버려 피해는 농민들 몫이 되었다. 이러한 경제적 압박은 농민들의 전통적 가치관을 변화시키고 인간관계에까지 영향을 주었다. 근대화로 인해 농촌의 두드러진 변화는 사람들 간의 인심이 각박해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정부의 권력 행사에 퇴색되는 관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네 것 내 것 없이 살아온 과거와는 달리 자기 것을 지키려는 강한 의지와 나부터 잘살고 보자는 이기적인 삶의 방식이 자리하면서 이웃 간의 정이 넘치는 관계는 묻혀간다.
“어떤 정신나간 것이 저 비싼 호스를 내돌인다데? 뵈는 디다 두구두 안 빌려주는게 연장이구, 부앳짐에 오리구 한 가지씩 장만허는게 시간살인디……구만 디적그리구 싸게 가봐. 언내는 죙일 잠만 잔다네. 깼으면 도지게 울어 패겄다.” (「우리동네」김씨12쪽)
위에는 농촌의 불신이 어느 정도 깊어졌는지에 대한 상황이 잘 묘사되어있다. 이문구의「우리동네」는 이웃 간에 갈등을 통해 소통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농촌이 도시화 되어가면서 농민들도 사회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러한 관심은 소통 관계의 문제로 정보전달 매체 역할을 하는 TV가 유입된다. 놀미 부락에도 TV가 집집마다 들어오면서 본래의 의도와 달리 가족ㆍ이웃끼리 의사소통 단절을 가져왔다.
“도냐 개냐 덤벙대지 말구, 이 얘기를 헐라걸랑 듣구 허슈. 나는 또랑 물을 썼건, 이랄머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