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우 절골술이나 인공관절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절골술은 체중 부하를 다른 쪽으로 옮겨 주어 통증의 경감 및 관절염의 진행을 막아 주는 방법으로 주로 60세 이하의 젊은 연령에서 시도해 볼 수 있다. 인공관절 수술에는 전치환술과 부분치환술이 있는데, 부분적인 연골 손상이라면 \'부분치환술\'을 시도할 수 있다.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보다 절개 부위가 작아 출혈이 적고 감염 위험성이 적으며 뼈 손상도 많지 않다. 또한 문제의 부위만 치료하기 때문에 입원기간도 짧고 수술 후 2~3일이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치환술은 60세 이상의 고령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관절의 모든 연골 및 뼈의 일부를 제거하여 새로운 관절을 만들어 주는 방법이고, 결과가 검증된 방법이다. 평균적으로 인공관절의 수명은 10~15년 정도 되기 때문에 인공관절치환술은 가능한 늦게 하는 것이 좋다.
이어 그는 \"자전거타기와 수중에어로빅 등이 무난한 관절 강화운동이며, 일단 관절 주변의 인대와 근육이 튼튼해지면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어 통증도 경감되고 부상위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양반다리로 앉거나 걸레질을 하는 등 무릎을 굽히는 일을 삼가고, 과체중이 되지 않도록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고문헌>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57517&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합리적 근거>
객관적 자료 : CPM운동을 하면서 얼굴을 찡그림
Lt. knee 열감
근육통 호소
주관적 자료 : “CPM운동 할 때 한쪽을 하면 꼭 다른 쪽도 같이 아파”
“다리를 필 땐 그래도 괜찮은데 구부릴 때가 뻐근하게 아파”
“왼쪽 뒷다리는 아직도 쓰려”
진단
번호
장기목표 : 통증사정 점수가 0이라고 말한다.
단기목표 : 7일 이전에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NRS: 3점)
#1
<간호계획>
①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② 굴절운동을 하기 30분전에 냉요법을 실시한다.(진통효과, 종창감소, 강직완화)
③ 이완요법을 실시한다.(골격근의 긴장감소, 통증감소)
④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⑤ 적절한 보조기구의 사용 효과와 사용법을 설명해준다.
<간호수행>
① 통증정도를 사정하였다.(휴식시/운동시)(10/15-7점/8점, 10/17-5점/7점, 10/20-3점/4점, 11/1-2점/2점)
② CPM 운동 하기 전에 ice bag을 환자에게 대 주었다. (10/17~10/24)
③ 통증 부위에 ice bag을 환자에게 대 주었다.
-통증 시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환자가 관심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들어주고 적절한 반응을 해주어 통증에 대한 생각을 전환시키도록 도와주었다.
④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약했다.
⑤ walker의 사용법과 효과를 설명해 주었다
<간호평가>
장기 : 통증점수 2점 - 운동할 때 아직은 쑤시는 통증이 약하게 남아있다고 함.
단기 : 통증점수 3점 - 수술하고 나왔을 때 보다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함.
진단
번호
간호진단 :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1
<간호진단에 대한 이론적 근거>
무릎관절운동치료기 \'CPM\'은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지속적이고 수동적인 운동을 통해 관절의 기능을 보다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운동 의료기기이다. 무릎관절의 각도가 0~140˚까지 가능하며, 쉬운 사용방법과 더불어 리모컨트롤을 장착해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아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돼 가볍고 견고하다. 적용범위로는 무릎관철 전치환술(인공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마취 관절 조작술, 관절경 유착물 번연 절연술, 관절 연골 미세 골절 등이 있다.
한편 KIMES 2013(www.kimes.kr)은 국내외의 우수한 의료기기 및 병원 설비를 전시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 의학기술 발전,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과 수출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KIMES 2013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각종 의료 서비스, 진단용기기, 검사용기기, 한방기기, 의료정보시스템, 물리치료기, 제약관련기기, 수술장비, 응급장비, 동물용 의료장비 등 의료 산업 관련 제품들을 총망라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597476&Branch_ID=kr&rssid=naver&mn_name=news
<합리적 근거>
객관적 자료 : CPM하기를 거부하심
elevation 기계를 하지 않음
주관적 자료 : “이거는 왜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어”
“이거 하면 더 아픈데 왜 해야되 나 안할려”
“맨날 의사양반이 내다리를 꺾어서 죽겠어”
진단
번호
장기목표 : 운동 범위가 증가함을 보인다.(CPM 운동 범위가 115‘ 이상)
단기목표 : 교육 후 대상자는 잘못되게 알고 있거나 불이행 하고있는 것이 없어진다.
(CPM운동, 물리치료, 탄력스타킹, elevation을 이행함)
#2
<간호계획>
① 계속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② 재활운동 방법을 설명한다.
③ 탄력스타킹을 계속 신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④ 수술 후 leg elevation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 CPM운동을 하루에 2번 30분씩 하게 한다.
(관절의 운동성 보존, 근육긴장도 유지, 선택한 근육군의 강화, 수술 후 합병증 예방)
- 보행을 위한 보조 기구를 적용시킨다.
(관절의 운동성 보존, 근육 긴장도 유지, 선택한 근육군의 강화, 수술 후 합병증 예방)
- 수술 후 운동방법을 설명한다.
<간호수행>
① 계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② 재활운동 방법을 설명했다.
③ 탄력스타킹을 계속 신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혈전성 정맥염 예방)
④ 수술 후 leg elevation.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수술한 다리의 상승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며 굴절강직 예방)
- CPM운동을 하루에 2번 30분씩 하게 했다.
- 보행을 위한 보조 기구를 적용시켰다.
-수술 후 운동 방법을 설명했다.
<간호평가>
장기 : 120‘까지 굴곡 됨.
단기 : CPM운동과 물리치료를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보다 절개 부위가 작아 출혈이 적고 감염 위험성이 적으며 뼈 손상도 많지 않다. 또한 문제의 부위만 치료하기 때문에 입원기간도 짧고 수술 후 2~3일이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치환술은 60세 이상의 고령에서 시행되는 것으로 관절의 모든 연골 및 뼈의 일부를 제거하여 새로운 관절을 만들어 주는 방법이고, 결과가 검증된 방법이다. 평균적으로 인공관절의 수명은 10~15년 정도 되기 때문에 인공관절치환술은 가능한 늦게 하는 것이 좋다.
이어 그는 \"자전거타기와 수중에어로빅 등이 무난한 관절 강화운동이며, 일단 관절 주변의 인대와 근육이 튼튼해지면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어 통증도 경감되고 부상위험도 줄일 수 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양반다리로 앉거나 걸레질을 하는 등 무릎을 굽히는 일을 삼가고, 과체중이 되지 않도록 신경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고문헌>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157517&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합리적 근거>
객관적 자료 : CPM운동을 하면서 얼굴을 찡그림
Lt. knee 열감
근육통 호소
주관적 자료 : “CPM운동 할 때 한쪽을 하면 꼭 다른 쪽도 같이 아파”
“다리를 필 땐 그래도 괜찮은데 구부릴 때가 뻐근하게 아파”
“왼쪽 뒷다리는 아직도 쓰려”
진단
번호
장기목표 : 통증사정 점수가 0이라고 말한다.
단기목표 : 7일 이전에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한다. (NRS: 3점)
#1
<간호계획>
① 통증정도를 사정한다.
② 굴절운동을 하기 30분전에 냉요법을 실시한다.(진통효과, 종창감소, 강직완화)
③ 이완요법을 실시한다.(골격근의 긴장감소, 통증감소)
④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⑤ 적절한 보조기구의 사용 효과와 사용법을 설명해준다.
<간호수행>
① 통증정도를 사정하였다.(휴식시/운동시)(10/15-7점/8점, 10/17-5점/7점, 10/20-3점/4점, 11/1-2점/2점)
② CPM 운동 하기 전에 ice bag을 환자에게 대 주었다. (10/17~10/24)
③ 통증 부위에 ice bag을 환자에게 대 주었다.
-통증 시 심호흡을 하도록 격려하였다.
-환자가 관심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 할 때 들어주고 적절한 반응을 해주어 통증에 대한 생각을 전환시키도록 도와주었다.
④ 의사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약했다.
⑤ walker의 사용법과 효과를 설명해 주었다
<간호평가>
장기 : 통증점수 2점 - 운동할 때 아직은 쑤시는 통증이 약하게 남아있다고 함.
단기 : 통증점수 3점 - 수술하고 나왔을 때 보다 통증이 많이 줄었다고 함.
진단
번호
간호진단 : 질병과 관련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이행
#1
<간호진단에 대한 이론적 근거>
무릎관절운동치료기 \'CPM\'은 스스로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지속적이고 수동적인 운동을 통해 관절의 기능을 보다 빠르게 회복시키기 위한 재활운동 의료기기이다. 무릎관절의 각도가 0~140˚까지 가능하며, 쉬운 사용방법과 더불어 리모컨트롤을 장착해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아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며, 알루미늄과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돼 가볍고 견고하다. 적용범위로는 무릎관철 전치환술(인공관절)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마취 관절 조작술, 관절경 유착물 번연 절연술, 관절 연골 미세 골절 등이 있다.
한편 KIMES 2013(www.kimes.kr)은 국내외의 우수한 의료기기 및 병원 설비를 전시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 의학기술 발전, 국내 의료기기 산업 발전과 수출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KIMES 2013은 이번 전시회를 통해 각종 의료 서비스, 진단용기기, 검사용기기, 한방기기, 의료정보시스템, 물리치료기, 제약관련기기, 수술장비, 응급장비, 동물용 의료장비 등 의료 산업 관련 제품들을 총망라할 예정이다.
<참고문헌>
http://kr.aving.net/news/view.php?articleId=597476&Branch_ID=kr&rssid=naver&mn_name=news
<합리적 근거>
객관적 자료 : CPM하기를 거부하심
elevation 기계를 하지 않음
주관적 자료 : “이거는 왜 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어”
“이거 하면 더 아픈데 왜 해야되 나 안할려”
“맨날 의사양반이 내다리를 꺾어서 죽겠어”
진단
번호
장기목표 : 운동 범위가 증가함을 보인다.(CPM 운동 범위가 115‘ 이상)
단기목표 : 교육 후 대상자는 잘못되게 알고 있거나 불이행 하고있는 것이 없어진다.
(CPM운동, 물리치료, 탄력스타킹, elevation을 이행함)
#2
<간호계획>
① 계속적인 운동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② 재활운동 방법을 설명한다.
③ 탄력스타킹을 계속 신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④ 수술 후 leg elevation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 CPM운동을 하루에 2번 30분씩 하게 한다.
(관절의 운동성 보존, 근육긴장도 유지, 선택한 근육군의 강화, 수술 후 합병증 예방)
- 보행을 위한 보조 기구를 적용시킨다.
(관절의 운동성 보존, 근육 긴장도 유지, 선택한 근육군의 강화, 수술 후 합병증 예방)
- 수술 후 운동방법을 설명한다.
<간호수행>
① 계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② 재활운동 방법을 설명했다.
③ 탄력스타킹을 계속 신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혈전성 정맥염 예방)
④ 수술 후 leg elevation.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수술한 다리의 상승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며 굴절강직 예방)
- CPM운동을 하루에 2번 30분씩 하게 했다.
- 보행을 위한 보조 기구를 적용시켰다.
-수술 후 운동 방법을 설명했다.
<간호평가>
장기 : 120‘까지 굴곡 됨.
단기 : CPM운동과 물리치료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