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감적 이해의 의미
1) 공감적으로 이해하기
2) 공감적 이해 전달하기
2. 공감적 이해의 표현
3. 공감적 이해의 효과
1) 좋은 감정
2) 자기탐색
3) 초등학교 교사 보호
4. 공감적 이해를 위한 제언
5. 공감적 이해 표현 훈련
1) 공감적 이해 표현의 5수준
2) 공감적 이해 표현 수준 변별 연습
3) 더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 표현 연습
참고문헌
1) 공감적으로 이해하기
2) 공감적 이해 전달하기
2. 공감적 이해의 표현
3. 공감적 이해의 효과
1) 좋은 감정
2) 자기탐색
3) 초등학교 교사 보호
4. 공감적 이해를 위한 제언
5. 공감적 이해 표현 훈련
1) 공감적 이해 표현의 5수준
2) 공감적 이해 표현 수준 변별 연습
3) 더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 표현 연습
참고문헌
본문내용
끔 부추긴다.
초등학교 교사는 공감적 반영을 할 때 무엇보다도 학생이 그때 경험하고 느낀 것에 집중해야 한다. 학생이 과거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초등학교 교사는 어떤 감정들이 학생의 마음속에서 일어나고 있는지 학생과 함께 생각해 내야 한다.
초등학교 교사는 언어화가 피상적으로 흐르지 않고 단순한 반복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초등학교 교시는 학생과는 다른 단어를 시용하고 무엇보다도 동의어와 반의어로 표현한다. 그리고 학생의 진술 뒤에 숨어 있는 것을 언어화한다.
5. 공감적 이해 표현 훈련
1) 공감적 이해 표현의 5수준
공감적 이해 반응을 연습할 때 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공감적 이해 표현의 5수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는 이 척도로 자신의 반응을 평정해 봄으로써 학생에 대한자신의 공감적 이해 수준을 점검할 수 있다.
수준1: 상대방의 언어 및 행동표현의 내용에서 벗어나거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감정 및 의사소통에서 상대방이 표현한 것보다는 훨씬 못 미치게 소통하는 수준
수준2: 상대방이 표현한 감정에 반응은하지만 상대방이 표현한 것 중에서 주목할 만한 감정을 제외시키고 의사소통하는 수준
수준3: 상대방이 표현한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정서와 의미를 표현하여 상호 교류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수준
수준4: 상대방이 스스로 표현할 수 있었던 것보다 더 내면적인 감정을 표현하면서 의사소통하는 수준
수준5: 상대방이 표현할 수 있었던 감정의 내면적 의미들을 정확하게 표현하거나, 상대방의 내면적 자기탐색과 완전히 같은 몰입 수준에서 상대방이 표현한 감정과 의미에 첨가하여 의사소통하는 수준
2) 공감적 이해 표현 수준 변별 연습
다음은 제시한 상황에 대해 공감적 이해 척도의 각 수준에 해당하는 다섯 가지 반응들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각 반응이 공감적 이해 척도상 어느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평정해 보라.
"우리 집은 왜 그리도 시끄러운지 모르겠어요. 집에선 영 공부할 마음이 없어요.“
① "네가 공부할 때는 식구들이 좀 조용히 해 주었으면 좋겠단 말이지?” ( )
② "좀 시끄러워도 참고 하면 되잖니?” ( )
③ "뭐가 시끄럽다고 그러니? 공부하기 싫으니까 핑계도 많구나.“ ( )
④ "그래, 우리 집이 시끄러우니까 공부하기 힘들지?” ( )
⑤ "식구들이 좀 더 조용히 해 주면 공부를 더 잘 할수 있을 것 같단 말이지?” ( )
3) 더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 표현 연습
청담자의 상황을 읽고 그와 직접 이야기하듯이 당신의 반응을 적어 보라. 반응 내용이 공감적 이해 척도의 3수준 이상인지를 검토하고, 만약 이에 미달하면 더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 반응이 되도록 연습하라.
여기서 유의할 점은 더 높은 수준의 반응이라고 해서 반드시 좋은 상담결과를 가져온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상담자는 청담자에 대해 기본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반응이 되도록 힘써야겠지만, 실제 상담장면에서는 상황과 대상 그리고 맥락적 차원에서 적절한 반응 수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학 생: 저는 오늘 제가 할 일을 다 해 놓고 친구가 왔길래 잠깐 나갔다 왔는데도 엄마는 제가 끈기가 없다고 막 야단하시는 거예요.
당신의 반응: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초등학교 교사는 공감적 반영을 할 때 무엇보다도 학생이 그때 경험하고 느낀 것에 집중해야 한다. 학생이 과거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초등학교 교사는 어떤 감정들이 학생의 마음속에서 일어나고 있는지 학생과 함께 생각해 내야 한다.
초등학교 교사는 언어화가 피상적으로 흐르지 않고 단순한 반복이 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초등학교 교시는 학생과는 다른 단어를 시용하고 무엇보다도 동의어와 반의어로 표현한다. 그리고 학생의 진술 뒤에 숨어 있는 것을 언어화한다.
5. 공감적 이해 표현 훈련
1) 공감적 이해 표현의 5수준
공감적 이해 반응을 연습할 때 그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공감적 이해 표현의 5수준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교사는 이 척도로 자신의 반응을 평정해 봄으로써 학생에 대한자신의 공감적 이해 수준을 점검할 수 있다.
수준1: 상대방의 언어 및 행동표현의 내용에서 벗어나거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감정 및 의사소통에서 상대방이 표현한 것보다는 훨씬 못 미치게 소통하는 수준
수준2: 상대방이 표현한 감정에 반응은하지만 상대방이 표현한 것 중에서 주목할 만한 감정을 제외시키고 의사소통하는 수준
수준3: 상대방이 표현한 것과 본질적으로 같은 정서와 의미를 표현하여 상호 교류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수준
수준4: 상대방이 스스로 표현할 수 있었던 것보다 더 내면적인 감정을 표현하면서 의사소통하는 수준
수준5: 상대방이 표현할 수 있었던 감정의 내면적 의미들을 정확하게 표현하거나, 상대방의 내면적 자기탐색과 완전히 같은 몰입 수준에서 상대방이 표현한 감정과 의미에 첨가하여 의사소통하는 수준
2) 공감적 이해 표현 수준 변별 연습
다음은 제시한 상황에 대해 공감적 이해 척도의 각 수준에 해당하는 다섯 가지 반응들을 순서 없이 나열한 것이다. 각 반응이 공감적 이해 척도상 어느 수준에 해당하는지를 평정해 보라.
"우리 집은 왜 그리도 시끄러운지 모르겠어요. 집에선 영 공부할 마음이 없어요.“
① "네가 공부할 때는 식구들이 좀 조용히 해 주었으면 좋겠단 말이지?” ( )
② "좀 시끄러워도 참고 하면 되잖니?” ( )
③ "뭐가 시끄럽다고 그러니? 공부하기 싫으니까 핑계도 많구나.“ ( )
④ "그래, 우리 집이 시끄러우니까 공부하기 힘들지?” ( )
⑤ "식구들이 좀 더 조용히 해 주면 공부를 더 잘 할수 있을 것 같단 말이지?” ( )
3) 더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 표현 연습
청담자의 상황을 읽고 그와 직접 이야기하듯이 당신의 반응을 적어 보라. 반응 내용이 공감적 이해 척도의 3수준 이상인지를 검토하고, 만약 이에 미달하면 더 높은 수준의 공감적 이해 반응이 되도록 연습하라.
여기서 유의할 점은 더 높은 수준의 반응이라고 해서 반드시 좋은 상담결과를 가져온다고는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즉, 상담자는 청담자에 대해 기본적으로 더 높은 수준의 반응이 되도록 힘써야겠지만, 실제 상담장면에서는 상황과 대상 그리고 맥락적 차원에서 적절한 반응 수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학 생: 저는 오늘 제가 할 일을 다 해 놓고 친구가 왔길래 잠깐 나갔다 왔는데도 엄마는 제가 끈기가 없다고 막 야단하시는 거예요.
당신의 반응: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참고문헌
고영남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2
김준규, 박희숙 외 저, 아동생활지도, 동문사 2015
임은미, 안주영 회 저, 생활지도와 상담, 교육과학사 2013
박선환, 박숙희 외 저, 생활지도와 상담, 공동체 2013
정문자 저, 아동상담의 이해, 학지사 2016
추천자료
- 생활지도및 상담)생활지도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 상담의 의미와 목표에 대해서 설명하고, 상담과 생활지도의 차이점
- ★생활지도와 상담의 공통점 및 차이점 비교분석★.
- [학생인권, 선행연구, 교사지침, 현안, 침해의식, 생활지도]학생인권의 정의, 학생인권의 선...
- [아동 생활지도와 상담] 기본 생활습관 형성의 의의와 지도 원리
- [생활지도와 상담] 생활지도 상담계획서 - 성격상담, 학습상담, 진로상담에 대한 융합적 상담...
- [생활지도와 상담] 생활지도의 이해 - 생활지도의 개념과 발달, 생활지도.pptx
- 생활지도와 상담 정리 - 임용고시 교육학 대비 {생활지도, 상담, 행동수정기법, 프로이드와 ...
- 교육심리학/생활지도와 상담
- [생활지도와 상담] ADHD 아동의 관리 - ADHD 아동의 특징, ADHD의 원인, ADHD 평가와 진단, A...
- [생활지도와 상담] 인지 · 정서 · 행동상담(합리적 논박) - 인지정서행동상담의 주요 개념, ...
- [생활지도와 상담] 아동상담의 목표수립방법 - 상담목표와 교육목표, 좋은 상담목표의 조건
- [생활지도와 상담] 행동수정의 의미와 주요개념 및 상담과정에 대한 간략한 이해
- 생활지도와 상담이 현장에서 적용되는 7가지 방법을 제시, 설명하고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