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수류에 대해서
2. 고수류를 통한 분석
3. 고수류와 퇴적구조
2. 고수류를 통한 분석
3. 고수류와 퇴적구조
본문내용
양상일 보이는데, 그 양상에 따라 한 방향성(unimodal), 두 방향성(bimodal)이나 다방향성(polymodal)으로 표현한다. 먼저, 한 방향성의 양상을 띠 고수류는 대체로 하성 퇴적물의 특징이다. 그러나 이 양상은 풍성 퇴적물과 터비다이트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터비다이트인 경우에는 연흔 사층리에 의한 유수의 흐름 방향보다는 바닥면의 자국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결과를 얻는다. 반면, 두 방향성 양상에서 고수류의 방향이 서로 정반대 방향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천해와 해안선 퇴적물에서 조수에 의해 주로 나타나는 양상이다. 또한, 드물지만 사구와 반사구가 서로 교대되어 나타날 경우에도 이러한 두 방향성의 고수류 양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풍성 퇴적물인 사구에서는 자주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유수의 방향이 서로 직각으로 나타나는 두 방향성의 고수류 양상은 터비다이트 퇴적물에서 보고되는데, 이 경우에는 대륙사면에 직각으로 나타나는 저탁류의 흐름이 대륙사면과 평행하게 흐르는 해저 빔고선류와 교대로 나타날 경우로 해석된다. 또한, 조수 환경에서도 조석 대지가 썰물시 점차 노출될 때에도 직각으로 나타나는 두 방향성의 고수류 양상이 나타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