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중국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7회 8회 9회.hw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중국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7회 8회 9회.hw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칠회 담인육팽식단흠사 토란추격주유무주
당사통속연의 7회 인육을 먹고 고기를 삶아  단확이란 황제가 보낸 사신을 먹고, 난리를 일으킨 추장을 토벌하여 유무주에 달아나게 하다
제팔회 하소수화환구부 정병전패보고성
당사통속연의 8회 하삭에서 연합을 맺으며 예전 포로를 돌려보내며 정의 병정은 싸움에서 패배하여 고립된 성을 보호하다
제구회 금거섬적요무동도 주개환조헌부태묘
당사통속연의 9회 적을 섬멸하며 동도에 무력 위엄을 빛내며 개선하고 조정에 돌아와 포로를 태묘에 바치다

본문내용

, 他竟與高, 梁二將, 控馬過去, 連人帶馬都擒奪過來。
경덕즉자청왕취 세민금타부주 타경여고량이장 강마과거 연인대마도금탈과래
위지경덕은 곧 가서 취함을 자청하며 이세민은 그를 막지 못하고 그는 마침내 고증생, 양건방의 두 장수와 함께 사람과 말을 모두 사로잡아 빼앗아 왔다.
世民恐敬德有失, 令宇文士及, 領着三百騎接應敬德, 且與語道:“若敬德已歸, 汝可繞出敵陣, 由東馳歸, 敵若堅壁不動, 速卽馳還, 毋輕惹禍。”
세민공경덕유실 극령우문사급 령착삼백기접응경덕 차여어도 약경덕이귀 여가요출적진 유동치귀 적약견벽부동 속즉치환 무경야화
이세민은 위지경덕이 실수할까 두려워 우문사급을 빨리 시켜 300기병을 거느리고 위지경덕과 접응하게 하며 말했다. “만약 위지경덕이 이미 돌아왔다면 너는 적진을 둘러싸 나와 동쪽에서 달려와 돌아가니 적이 만약 벽을 단단하게 하고 움직이지 않으면 빨리 말달려 돌아와서 가벼이 화를 야기하지 말라.”
(仍是 仍是 [rengshi]:여전히
一個誘敵計。)
여전히 적을 유인하는 계책이 있다.
士及領計前行, 途次接着敬德, 見他立功而歸, 當然欣慰, 就勢 [chen//shi]:1) 유리한 형세를 이용하다 2) 여세를 몰아 3) 기세를 타
往繞敵陣。
사급령계전행 도차접착경덕 견타립공이귀 당연흔위 취진세왕요적진
우문사급이 계책으로 앞에 가니 도중에 위지경덕을 만나서 그가 공을 세우고 돌아옴을 보고 당연 기쁘고 위로가 되어 곧 기세를 따라 적진을 둘러싸 갔다.
敵兵爭來截 截 [lanjie]:1) 가로막다 2) 차단하다 3) 저지하다
, 士及不與 (무찌를 오; -총19획; ao)
鬪, 但奪路東去。
적병쟁래난절 사급불여오투 단탈로동거
적병사가 다투어 차단하러 오니 우문사급은 단지 길을 빼앗아 동쪽으로 갔다.
世民早已入眼中, 且見夏兵多向河水, 或散坐陣前, 便指麾衆將道:“賊勢已懈, 急擊勿遲!”
세민조이초입안중 차견하병다향하음수 혹산좌진전 변지휘중장도 적세이해 급격물지
이세민이 일찍 이미 눈에 넣고 하나라 병사가 많이 강물을 향하여 물을 마시며 혹은 진앞에 흩어져 앉아서 곧 여럿을 지휘하여 말했다. “적의 기세가 이미 나태하니 급격히 하여 늦지 마십시오!”
(世民敗敵, 專用此策。)
세민패적 전용차책
이세민이 적을 패배시킴은 오로지 이 계책을 씀이다.
李世勣, 程知節, 秦叔寶等, 一聞將令, 便卽出馬先驅, 世民也不願落後, 挺身前往, 餘軍依次隨着, 渡過水, 直搗夏陣。
이세적 정지절 진숙보등 일문장령 변즉출마선구 세민야불원낙후 정신전왕 여군의차수착  도과사수 직도하진
이세적 정지절 진숙보등은 한번 장수명령을 듣고 곧 말을 내어 먼저 달리고 이세미은 뒤로 떨어지길 원하지 않아서 몸을 뽑아 앞에 가서 나머지 군사들은 차례대로 따라가서 사수를 건너고 직접 하나라 진영을 충돌했다.
建德因日已過午, 軍不得食, 正召集將士, 商議行止, 忽聞唐軍到來, 不及整列, 忙令騎兵出戰, 自率步兵退後, 依踞 踞(웅크릴 거; -총15획; ju)
東坡。
건덕인일이과오 군부득식 정소집장사 상의행지 홀문당군도래 불급정열 망령기병출전 자솔보병퇴후 의거동파
두건덕은 날이 이미 정오가 지나서 군사들이 밥을 못 먹어서 바로 장사들을 모아서 갈지 머무를지를 상의하다가 갑자기 당나라 군사가 와서 정렬을 하지 못하고 바삐 기병을 시켜 출전하게 하며 스스로 벼병을 이끌고 뒤를 물러나 동쪽 언덕에 의거해 있었다.
世民着, 命竇抗領兵繞擊建德, 自與尉遲敬德等殺騎兵, 一陣搗亂 [do//luan]:1) 소란을 피우다 2) 교란하다 3) 성가시게 굴다
, 把敵騎殺得零零落落 零零落落 [linglingluoluo]:드문드문하다. 드물다. 흩어져 있다
, 盡行散去, 再乘勝前進。
세민초착 명두항령병요격건덕 자여위지경덕등난살기병 일진도란 파적기쇄득령령락락 진행산거 재승승전진
이세민이 보니 두항을 시켜 병사를 거느리고 두건덕을 요격케 하며 스스로는 위지경덕등과 함께 기병을 막으니 한바탕 소란을 피우며 적의 기병들이 흩어져 있어서 다 흩어져 가게 하며 다시 승기를 틈타 전진하였다.
適値竇抗被建德擊退, 勢將不支。
적치두항피건덕격퇴 세장부지
마침 두항은 두건덕에게 격퇴당해 기세를 지탱하지 못했다.
世民大呼突陣, 敵皆披靡, 還有淮陽王李道玄, (系高祖從兄子。) 挺身陷敵 陷 [xiandi]:陷(적진을 함락시키다)
, 直上南阪 阪(비탈, 둑 판; -총7획; ban)
, 穿過敵陣, 復自敵陣殺還, 中矢如蝟, 勇氣不衰。
세민대호돌진 적개피미 환유회양왕이도현 계고종종형자 정신함적 직상남판 천과적진 부자적진쇄환 중시여위 용기불쇠
이세민은 큰 소리를 지르며 적진을 돌파하니 적이 모두 바람에 쓰러지듯하여 다시 회양왕인 이도현은 고종 사촌형의 자식으로 몸을 뽑아 적진을 함락시키며 직접 남쪽 둑으로 올라서 적진을 뚫고 지나가다 다시 스스로 적진을 공격하고 돌아와 고슴도치처럼 화살을 맞아도 요익가 쇠퇴하지 않았다.
惟馬負重傷, 不能再用, 世民給他副馬, 令勿再入敵中, 一面督軍大戰, 塵 塵: 많은 티와 먼지
滾滾 [gngn]:1) 세차게 굽이쳐 흐르는 모양 2) 끊임없는 모양 3) 수레바퀴가 구르는 모양
, 天日皆昏。
유마부중상 불능재용 세민급타부마 령물재입적중 일면독군대전 진분곤곤 천일개혼
오직 말이 중상을 입어서 다시 쓰지 못하고 이세민이 그에게 부가의 말을 주고 다시 적중에 들어가지 않게 하며 한편으로 군사를 독려하여 크게 싸우니 먼지가 끊임없고 날이 모두 어두워졌다.
程知節, 秦叔寶及西突厥人史大奈等, 卷 (기, 깃발 패; -총9획; pei)
齊進, 沖出敵後, 復張起大唐旗號, 飄揚天空。
정지절 진숙보급서돌궐인사대내등 권패제진 충출적후 부장기대당기호 표양천공
정지절, 진숙보와 서돌궐의 인사인 사대내등이 깃발을 말고 다시 나아가 적의 배후로 나와서 다시 대당의 기호를 펴서 일으키니 공중에 나부끼었다.
夏兵相顧錯愕 愕 [cuo’e]:1) 뜻밖의 일로 깜짝 놀라다 2) 허둥대며 놀라다 3) 대경실색하다
, 頓時大潰。
하병상고착악 돈시대궤
하나라 병사가 서로 돌아보고 깜짝 놀라서 갑자기 크게 궤멸되었다.
唐軍追奔三十里, 斬首三千餘級, 建德爲所傷, 竄匿牛口渚 牛口渚:在今河南滎陽市北牛口(골 욕; -총10획; yu)
中.
당군추분삼십리 참수삼천여급 건덕위삭소상 찬닉우구저중
당나라 군사가 30리를

키워드

  • 가격9,9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16.10.10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