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ler-Lyer Illusion(뮐러-라이어 착시)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Muller-Lyer Illusion(뮐러-라이어 착시)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방법
Ⅲ결과
Ⅳ논의

본문내용

.6)
9.7(.4)
9.8(.3)
8.9(.8)
8.5(.7)
12.9(.7)
13.3(.8)

7.8(.6)
7.8(.8)
9.9(.2)
10(.4)
8.2(.4)
8.5(.8)
13.1(.7)
13.6(.7)

7.4(.7)
8.7(.6)
10(.4)
10.1(.2)
8.7(.7)
8.9(.7)
13.3(.6)
14.4(.8)

8.6(.7)
8.5(.6)
9.9(.2)
10(.4)
8.7(.9)
9.2(.8)
12.7(.9)
12.4(.8)

8.2(.6)
8.1(.7)
10(.4)
10.2(.3)
8.4(.9)
8.8(.8)
13.4(.7)
13.5(.9)

7.8(.6)
8.2(.8)
10(.4)
10.2(.3)
7.7(.3)
8.7(.7)
13.1(.4)
14.1(.7)
7.96(.3)
8.23(.3)
9.94(.2)
10.06(.2)
8.41(.4)
8.6(.3)
13.11(.5)
13.39(.6)
2. 해석
1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4개의 착시계를 증가, 감소 각 5회씩 실행하였을 때, <그림 2-2의 번 착시계>의 실험결과는 대부분 두 선분의 길이의 오차가 거의 0.5cm미만으로 피험자들은 거의 정확하게 두 선분의 길이를 비교하여 지각할 수 있었다. 하지만 똑같은 통제변인 하에서 깃의 모양이 바뀌었을 땐, 깃이 달린 제시된 선분과 비교하려는 선분과의 길이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각 착시계의 실험결과를 비교해보면, <그림 2-1의 번 착시계>는 ‘>-<’의 길이가 ‘<->’보다 짧았을 때 전반적으로 두 선분의 길이가 같다고 보고하였으며, <그림 2-3의 번 착시계>도 번 착시계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그림 2-4의 번 착시계>의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제시된 선분보다 3cm가량 더 길었을 때, 두 선분의 길이가 같다고 보고하였으며 번 착시계에서의 표준편차가 다른 착시계의 표준편차보다 높은걸로 보아 번 착시계가 선분의 길이를 비교 지각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을 느꼈던 것 같다.
이와 같이 실험의 결과로 같은 길이의 선분 끝에 지각에 방해가 되는 요소인 깃이 붙음으로써 선분의 길이를 달리 지각하는 즉, 착시효과를 증명할 수 있었다.
Ⅳ논의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실제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뮐러-라이어 착시의 현상을 알아보고, 뮐러-라이어 착시를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2.13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4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