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ritable Bowel Syndrome (IBS, 과민성 장증후군) A+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과민성 장증후군)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과민성 장증후군)

2. 감염성 장질환

출처

본문내용

원인균 : Salmonella paralyphi
(2) 잠복기 : 1~3주
(3) 전파방법
- 환자나 보균자의 대소변과 직접, 간접적으로 접촉할 때 전파되는데 흔히 환자나 보균자
의 손에 의해 오염된 조개류, 우유 및 유제품 등의 음식물에 의함
(4) 증상 및 징후 : 지속적인 고열, 두통, 비장증대, 발진, 설사 등 장티푸스와 유사
(5) 치료방법 : 장티푸스와 동일하나 대체로 경과가 경함
5) 장출혈성 대장균감염증
(1) 원인균 :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 H7
(2) 잠복기 : 6~72시간, 보통 12~36시간
(3) 전파방법
- 오염된 갈은 고기로 전파되며, 오염된 우유, 주스, 야채도 원인이 될 수 있음
- 오염된 호수, 풀장에서의 수영이나 오염된 물을 마셔 수인성 전파 수인성 전파 : 병원성 미생물에 오염된 물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병으로 설사, 복통, 구토 등이 나타나는 소화기계 질환
가 일어날 수 있음
- 사람 간 전파도 쉽게 일어날 수 있음
(4) 증상 및 징후
- 열이 없고 급성 혈성 설사와 경련성 복통이 특징
- 설사는 경증으로 혈액을 포함하지 않는 것에서부터 대부분 혈액만 나오는 상태까지 다양
- 설사변에 백혈구가 없는 것이 다른 질환과 감별할 수 있는 특징
(5) 치료방법
- 격리치료 해야 하며, 탈수 시 전해질과 수분을 공급
- 항생제 투여의 효과가 명확하지 않고 Ulfamethoxazole/ Trimethoprim은 용혈성 요독증 증
후군 같은 합병증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어 항생제 사용에는 신중을 기해야 함
(6) 예방법
- 육류 제품은 충분히 익혀 먹고, 날 것으로 섭취하는 야채류는 염소 처리한 청결한 물로
잘 씻어 먹음
- 철저한 개인위생을 지킴
- 소를 비롯한 가축 사육목장에 대한 종합적 방역 감시와 도축장 및 육류 가공처리 과정에
대한 오염 방지책 수립하고 위험 식품에 대한 지속적 감시 체계가 마련되어야 함
6) 살모넬라증
(1) 원인균 :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2) 잠복기 : 2~4시간
(3) 전파방법
- 오염된 동물성 식품이나 감염동물의 분변에 오염된 음식물, 식수를 먹어서 감염됨
- 우유, 달걀, 고기 등과 그 제품이 원인이 됨
- S.enteritidis는 계란 노른자에 존재하여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음
- 오염된 야채나 과일이 원인이 될 수도 있음
(4) 증상 및 징후
- 급성으로 발열, 두통, 설사, 오심, 구토 등의 위장 증상이 나타남
- 급성 증상은 1~2일 만에 사라지나 식욕 부진과 설사는 7일간 계속되기도 함
- 때로는 급성장염으로 시작되어 패혈증이나 농양, 관절염, 담낭염, 심낭염, 폐렴, 농피증 농피증 : 피부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 염증이 발생한 질환
,
신우신염 등을 초래함
(5) 치료방법
- 합병증이 없다면 수액보충과 대증치료를 함
- 항생제는 치료효과가 없고 오히려 배균기간만 연장시킬 수 있지만, 노인이나 허약자, 고열
이 계속되는 사람, 합병증을 가진 중증 환자에게는 항생제를 투여함
(6) 예방법
- 손을 철저히 씻도록 함
- 동물성 식품과 달걀은 완전히 익혀먹고 조리할 때에는 오염방지와 조리를 끝낸 요리의 재
오염에 주의
7) 포도상구균 식중독
(1) 원인균 :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2) 잠복기 : 12~24시간
(3) 전파방법
- 감염된 손, 눈, 농양, 여드름, 비인두분비물, 정상피부 등에서 유래하여 발병
- 오염된 음식이 섭취되기 전에 수 시간 실내온도에 방치되면 균이 증식하여 독소를 냄
- 사람과 사람사이의 전파는 되지 않음
(4) 증상 및 징후
- 오염된 음식물을 섭취한 후 30분~8시간(대부분2~4시간) 내에 심한 오심, 구토, 발한, 산통
성 복통 산통성 복통 : 위ㆍ장ㆍ방광ㆍ자궁 등의 복부의 강(을 갖는 장기나, 담도ㆍ신우ㆍ요관 등 관상을 이루는 장기의 벽으로 되어있는 평활관의 경련 때문에 수분~수 시간의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복통
, 허탈, 쇠약감 등을 동반한 증세가 갑자기 나타남
(5) 치료법 : 탈수 시 전해질과 수분을 공급하고 대증치료를 함
(6) 예방법
- 식품을 냉장고에 보존해서 포도상구균의 증식을 막음
- 손에 피부화농성 질환이 있는 사람은 완치될 때까지 식품취급을 금하고 항상 식품 취급자
의 손은 소독과 청결, 조리실의 위생 상태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함
- 식품 제조에서 소비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키고(실온에서 최장 4시간 정도), 부패하기 쉬운
음식을 2시간 이상 보존해야 할 경우에는 60℃이상 혹은 10℃이하 가능하다면 4℃이하에
서 보존함
8) 비브리오 식중독
(1) 원인균 : 비브리오(V.parahaemolylicus)
(2) 전파방법
- 해안과 어패류에서 서식
- 충분히 익히지 않거나 날 해산물, 해산물을 다루는 사람의 손이나 용기에 의해 오염된 음
식물 또는 오염된 해수로 씻은 날 음식 등을 먹을 때 전파
(3) 증상 및 징후
- 산통성 복통과 물과 같은 설사를 하며 가끔은 오심 구토, 두통 및 발열을 동반
- 대장염이 생기면 이질과 비슷하게 변에 혈액과 점액이 나오며, 고열과 백혈구 상승을 초
래하기도 함
- 증세는 2~10시간 계속되지만 일반적으로 1~7일 정도 경과 후 회복됨
(4) 치료법
- 자가치유되므로 치료할 필요가 없으나, 심한 경우에는 수분과 전해질을 공급하며 항생제
를 투여할 수 있음
(5) 예방법
- 날생선이나 어패류 등의 해산물을 충분히 익힌 후 먹음
- 환자의 배설물 및 배설물이 묻은 물건 등은 철저히 소독하여 2차적인 오염도 막음
- 특히 바닷가 유람선에서는 바닷물을 사용해서 요리하는 것을 피해야 함
1) 세균성 이질
2) 콜레라
3) 장티푸스
4) 파라티푸스
5) 장출혈성 대장균 감염증
6) 살모넬라증
7) 포도상구균 식중독
8) 비브리오 식중독
출처
김명희 외 (2014), 성인간호학 Ⅲ, 수문사, p.924~926
김금순 외 (2014),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453~459
조경숙 외 (2013),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p.394~397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1.10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6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