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막배액, 흉부물리요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흉막배액, 흉부물리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흉막배액
2. 흉부 물리요법
참고문헌

본문내용

흉막배액, 흉부물리요법
1. 흉막배액
흉관과 흉부배액 Chest tube and pleural drainage
정상상태에서 흉막내압은 대기압보다 낮기 때문에 외상, 질병, 수술 등에 의해 음압이 상실되면 폐는 허탈된다. 흉막강에 공기, 혈괴나 장액, 혈액, 농등이 축적되면 폐를 압박하여 폐확장이 억제되고 가스교환이 감소된다.
흉관의 삽입과 흉막강배액의 목적 : 폐가 재팽창할 수 있도록 흉강 내공기와 액체를 제거하고, 흉강내압을 정상으로 회복하는 것.
흉관 중에 흉막강에 삽입한 것을 흉막관이라 하고 종격동에 삽입한 것을 종격동관이라고 한다.
종격동관은 심장이나 흉부수술 후에 검상동기 하부에 삽입하며, 종격동부위에 액체나 혈액이 모여서 심장을 압박하지 않도록 한다.
(1) 흉부배액체계
흉부배액체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밀봉배액장치(가슴 닫힘 배출 장치, closed chest drainage system, water sealed drainage system)이다.
밀봉배액장치 : 폐의 재확장을 위해 흉관을 닫힘배출장치와 연결한 후 흉막강의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 밀봉배액장치 구성 >
┌─ 배액병 : 흉막강에 있는 공기와 혈액은 배액병으로 배출되고, 혈액은 배액병에 모이며,
│ 공기는 짧은 다른 유리 대롱을 통해 밀봉병의 긴 투명관으로 이동된다.
├─ 밀봉병 : 밀봉병의 공기는 배액병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한다.
└─ 흡인조절병 : 흡인량, 흡인 압력을 조절 된다.
< 원리 >
흉강으로부터 첫 번째 배액병에 공기와 액체가 배액된다. 액체는 배액병 안에 남고 공기는 밀봉관을 통해 두 번째 밀봉병으로 배출된다.
밀봉관과 연결된 관의 끝은 멸균 생리식염수나 물 아래로 2cm 정도 잠기게 되어 있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물마개 역할을 하게 한다. 이는 일방향 밸브로 작용하여 배액병의 공기가 밀봉병으로는 이동되나 밀봉병의 공기는 배액병으로 이동할 수 없게 한다. 배액병에서 배출된 공기는 밀봉병으로 들어와 공기방울을 만든다.
기흉이 있으면 초기에 밀봉병안에서 공기방울이 보인다. 간헐적인 공기방울은 호기, 기침, 재채기를 하는 동안 흉강내압 증가로 인해 나타난다.
밀봉병 안의 파동은 호흡에 따라 오르내리는 데 흉막강 내의 압력을 반영한다. 만약 파동이 보이지 않는다면, 폐가 재확장되었거나 관이 꼬이거나 폐쇄된 것이다. 종격동관은 흉관에서 볼 수 있는 파동이 없다.
공기는 밀봉병에서 나와 세 번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2.10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8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