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조사] 류마티스 관절염 [의약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분석/조사] 류마티스 관절염 [의약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인 ············································································································
2. 병태생리 ·····································································································
3. 증상과 징후 ·······························································································
4. 진단검사 ···································································································
5. 합병증 ·····································································································
6. 치료 ··········································································································
7. 간호·············································································································

본문내용

증, 과립구감소증과 같은 혈액이상으로 특징지어짐
- 주요 3가지 증상은 류마티스결절, 쇼그렌증후군, 펠티증후군
4. 진단검사
1) 류마티스 인자(Rheumatic fator,RF)
- 여러 결체 조직에서 생성되는 비정상적 IgG와 IgM 항체를 측정
검사
정상치
비정상 수치의 의미
rose-waaler
음성
증가 시 결체조직질환의 가능성 있음
Latex agglutination
<1:16
민감한 검사이나 어느 구체적 질환을 나타내지는 못함
- 대상자의 70%가 류마티스 양성으로 나타남
2) 항핵항체(Antinuclear antibody titer,ANA)
- 항핵항체 역가검사는 세포핵을 파괴하여 조직을 괴사시키는 항체의 수를 측정하는 것
- 역가가 1:8이상이면 양성
- 전신호안성낭창, 진행성 전신성경화증, 류마티스 관절염 등 염증성 결체조직 질환에서 상승
3) 적혈구 침상속도(ESR)
- 염증의 정도 및 질병의 심각성과 상관관계가 있음
- 결체조직의 염증성 질환 진단에 유용
4) 보체 Serum complement
- 보체는 면역 복합체를 파괴하기 위해 부착
- 많은 보체가 면역기전에 참여하면 혈중 보체량은 적어짐
- 수치가 저하되면 자가면역질환을 의미
5) 혈중 단백질 전기영동검사 Serum protein electrophoresis
- 전기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분리하여 측정
- 급성염증에서는 알파글로불린이 상승
- 류마티스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 시에는 감마글로불린이 상승
6) 면역글로불린 Immunoglobulin
- 류마티스관절염에서는 IgG가 상승
7) 기타 혈액검사
- 류마티스관절염의 CBC검사에서 Hb, Hct, 적혈구가 감소하고 백혈구는 증가
8) 방사선 검사
- x-선 검사와 CT에서 관절의 변형과 기형 확인
9) 활액변화
- 질환의 초기에 활액은 일반적으로 볏짚색깔로 탁하고 점도가 저하되어 있으며 활액 내의 백혈구가 약 50000/mm³로 증가되는데, 대부분 중성구가 증가함
10) 기타
- 관절 천자검사
침상에서도 할 수 있음
관절 속 활액을 흡인하는 방법
변수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발병시기
젊은 나이(중년 이하)
보통 40세 이상
성별
여성:남성 = 2:1
(60세 이후에서는 3:1)
50세 이전에는 남성에서,
50세 이후는 여성에서 흔함
체중
비교적 정상이거나 감소
과체중
질병과정
악화기와 완화기를 가진 전신질환
진행적 양상을 가진 국소질병
이환관절
처음에 소관절(PIP, MCP, MTP) 침범 그리고 손목, 팔꿈치, 어깨, 무릎 등이 침범되며 대개 양측성, 대칭적임
체중부하관절(무릎, 고관절), MCP, DIP, PIP, 경추와 요추가 주로 침범되며 대개 비대칭적
강직
1시간~하루 종일
30분 후에도 대개 완화되지 않음
삼출증
흔함
흔하지 않음
결절
피하결절, 특히 신전면에 존재
Heberden(DIP), Bouchard(PIP)결절 존재
활액
WBC 2000/ml(주로 중성구)
WBC 2000/ml
X-ray
관절강 협착, 미란, 아탈구, 스테로이드 사용과 관련된 골다공증
관절강 협착, 연골하 낭종, 경화
검사결과
환자의 80%에서 RF(+)
급성염증 시 적혈구 침강속도, CRP 상승
RF(-)
활액염증 시 적혈구 침강속도 상승
◆ 류마티스 관절염과 골관절염의 비교 ◆
5. 합병증
- 관상동맥, 뇌혈관, 장간막, 혈관 같은 말초혈관에 염증이 발생
- 심근경색증, 신경성 병변, 피부 괴저, 다리 궤양 발생
- 심낭염이 경증이며 자연 치유
- 심장압전으로 사망 가능
- 폐에서 삼출 현상이 생겨 늑막염, 폐 섬유증, 폐 류마티스 결절 현상이 발생
- 안구건조, 각막과 결막의 병변, 홍채염, 공막염 등이 발생
6. 치료
(1) 약물요법
①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 항염, 진통, 해열작용이 있으며, 류마티스 관절염의 염증을 억제
- 장기간에 걸친 관절손상을 예방하지는 못함
- 단일요법으로 사용하지 않고 DMARDs와 스테로이드와 병용하여 사용
아스피린
통증완화와 염증조적에 효과적
가장 흔한 부작용은 소화불량, 상복부 통증, 메스꺼움과 위궤양이나 위출혈이므로 반드시 식사 후 복용
또 다른 부작용은 이명, 어지러움증, 청력저하
신장에 영향을 주어 혈압이 상승되거나 신장기능이 악화될 수 있음
간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am로 복용 시 간 기능 검사 필요
와파린같은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출혈경향이 증가
살살레이트
(salsalate)
아스피린과 유사한 항염증작용과 진통효과가 있음
위장과 신장, 혈소판에 대한 부작용이 적음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02.11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8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