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연현상의 원인과 해결방안 및 저감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연현상의 원인과 해결방안 및 저감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백연현상이 발생하는 이유)

1-1) 백연현상의 의의 및 원인
1-2) 냉각탑의 백연현상


Ⅱ. 본론(백연현상의 저감 방안)

2-1) 백연현상의 해결방안



Ⅲ. 결론(백연현상 저감사례)

3-1) 백연현상 저감사례

본문내용

화된 상태로 나간다. 냉각탑을 떠날 때 공기는 선 2-1 에서 주변 대기와 평형상태에 도달한다. 이렇게 하여 상당한 시간 동안 포화영역에 머무르게 된다.
- 냉각탑 습윤공기선도 포화곡선 -
그리하여 포화영역에 도달했을 때 희미한 연기처럼 수증기가 지속됨을 보이게 되는 것 이다. 이는 백연의 특성을 습윤공기선도의 포화 곡선과 연계한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다.
Ⅱ. 본론(백연현상의 저감 방안)
2-1) 백연현상의 해결방안
백연현상은 일반인들에게 매연이나 화재로 오인되거나 심리적 불쾌감을 주게 되며 외의 문제로 위생상 문제도 우려되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냉각탑의 경우 설치위치가 주거지와 인접하였거나 동절기에 냉각탑이 가동되어야 하는 상황에서는 백연방지를 적극적으로 내세워야 한다. 백연현상 저감현상 방안으로 몇 가지 방식이 있다.
(1) 쿨링타워 설치
- 하이브리드 쿨링타워 -
더워진 냉각수를 탑 상층부로부터 작은 물방울 형태로 흘러 내리게 하면서 탑에 설치한 송풍기의 바람에 접촉시켜 물의 일부를 기화시킴으로써 수온을 내리게 하는 냉각용 탑을 설치하는 것이다.
(2) 열원 가열식
냉각탑이 공기가 여과재를 통과하여 팬으로 흡입되는 부분(냉각탑의 백연현상 - 습윤공기선도 그림 2번)에 가열코일을 설치하여 스팀이나 온수, 전기와 같은 열원을 공급해 토출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이다. 가열코일을 통과하면서 데워진 공기가 여과재를 통과한 다습한 토출 공기와 혼합되어 백연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3) 배기 혼합식
냉각탑이 항상 실외에만 설치되어 있지는 않다. 때문에 배기혼합식은 주로 실내에 설치된 냉각탑에 적용되는데 공기조화기 등에서 배출되는 내기를 냉각탑의 토출공기와 혼합하여 백연을 감소시키는 방식이다. 냉각탑의 포화 습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외부로 버려지는 낮은 습도의 배기를 적절히 혼합시켜줌으로써 백연 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냉각수 가열식
부하를 거쳐 냉각탑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1차로 가열코일에 통과시켜 흡입 공기를 데어준 후 냉각탑 여과재를 통과한 고온다습한 공기와 혼합시키는 방식이다. 하부의 여과재를 통과한 공기는 습도가 매우 높지만 백연 방지코일을 거치면서 측면에서 유입되는 가열공기는 상대습도가 낮기 때문에 팬에서 혼합되는 토출공기의 상대습도가 낮아져 백연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이는 냉각탑으로 순환되는 고온의 냉각수가 가열코일에서 1차로 냉각되기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2.16
  • 저작시기201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8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