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쥐
2. 소
3. 호랑이
4. 토끼
5. 용
6. 뱀
7. 말
8. 양
9. 원숭이
10. 닭
11. 개
12. 돼지
2. 소
3. 호랑이
4. 토끼
5. 용
6. 뱀
7. 말
8. 양
9. 원숭이
10. 닭
11. 개
12. 돼지
본문내용
직, 평화, 안정, 선을 나타내고, 해몽에서는 자비, 진리를, 사람은 연구직, 성직자, 관리 예술인 등을 의미한다. 양은 성질이 온순하기 때문에 나약함, 온순함, 얌전함, 복종함 등의 이미지를 부여했다.
속담: 이리 앞의 양
양머리 걸어놓고 개고기 판다.
양 가죽을 뒤집어쓴 승냥이
9. 원숭이
원숭이는 우리말로 '잔나비'라고도 부르는데, <훈민정음>에 '납'으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다'의 형용사형 '잰(동작이 빠르고 재빠르다)'이 붙어서 '잰나비'가 되고 이것이 음운변화를 겪어서 '잔나비'로 부르게 되었다. 이 잔나비라는 이름은 빠르다는 면도 있지만 자질구레한 이미지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은혜를 갚을 줄 아는 동물로도 전해지고, 또 그와는 반대로 욕심이 많은 동물, 재수가 없는 동물 등으로 더 많이 민간에 전해지고 있다. 원숭이는 총명하고 재주가 있는 사람에 비유되거나 숭고한 모성애로 표현되기도 한다. 반면에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듯이 실수, 경솔, 만용, 흉내 또는 장난꾸러기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속담: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원숭이 볼기짝인가
원숭이 흉내 내듯.
잔나비 밥 짓듯 한다.
10. 닭
닭의 울음소리는 세상에 어둠이 물러나고 새로운 날이 밝았음을 알리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닭이 울면 어둠이 끝나고, 새벽이 오면 밤을 지배하던 귀신도 물러간다고 생각하여 상서롭고 신비한 길조로 여겨왔다. 조선시대에는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사람은 서재에 닭 그림을 걸어 두었는데, 달기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민간에서는 닭이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불길하고, 닭이 낮에 울면 집안이 망한다고 여기기도 했다.
속담: 닭도 제 앞 모이 긁어 먹는다.
꿩 대신 닭
닭의 새끼 봉이 되랴.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어 놓는다.
11. 개
개는 고대사회부터 인간들에 의하여 길러졌으며 줄곧 사람들 곁에서 살아왔던 동물이다. 그러다 보니 개는 인간에게 충직한 동물로 많은 이야기들을 남겼다. 그 대표적인 이야기들이 불을 꺼서 주인을 구한 개, 주인의 죽음을 예견한 개, 억울한 죽음을 당한 주인의 원수를 갚는 개, 죽어서 명당을 찾아주는 개 이야기 등이 있으며 여기서 개는 충성스럽고 똑똑하며 영리한 동물로 나타난다.
속담: 삼년 먹여 기른 개가 주인 발등 문다.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개도 주인을 알아본다.
사나운 개 입성할 날 없다.
12. 돼지
돼지가 제물로 바쳐졌다는 기록은 고구려 온달 전에 나오는데, 산신, 즉 지신에게 제를 올릴 때 돼지를 바쳤다고 한다. 이렇게 돼지를 바치는 이유는 돼지가 다산을 하는 동물이므로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돼지는 양면성을 가진 동물이다. 재물과 길몽을 뜻하는 동물인 동시에 탐욕과 게으름, 지저분함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속담: 돼지는 흐린 물을 좋아한다.
돼지 우리에 주석 자물쇠
양반의 새끼는 고양이 새끼요, 상놈의 새끼는 돼지 새끼라
죽은 석승보다 산 돼지가 낫다.
참고문헌
최창렬(2002), 우리속담연구, 일지사
임지룡(2012.2) 현대 국어 동물 속담의 인지언어학적 가치론, 국어교육연구50
천진기(2013), 열두띠 이야기,리젬
허균(2010), 십이지의 문화사,돌베개
김원석(2012), 궁금해요 12띠, 자람
이어령편집(2010), 십이지신 토끼, 생각의 나무
이어령편집(2010), 십이지신 호랑이, 생각의 나무
김미애(2009), 한국과 중국의 동물속담연구:십이지신 동물을 중심으로, 한양대(중국어교육)
벌로마(2009), 한국어의 동물속담에 나타난 상징의미 연구, 건국대 대학원
김선정외(2007), 살아있는 한국어(속담), korea language plus
속담: 이리 앞의 양
양머리 걸어놓고 개고기 판다.
양 가죽을 뒤집어쓴 승냥이
9. 원숭이
원숭이는 우리말로 '잔나비'라고도 부르는데, <훈민정음>에 '납'으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재다'의 형용사형 '잰(동작이 빠르고 재빠르다)'이 붙어서 '잰나비'가 되고 이것이 음운변화를 겪어서 '잔나비'로 부르게 되었다. 이 잔나비라는 이름은 빠르다는 면도 있지만 자질구레한 이미지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은혜를 갚을 줄 아는 동물로도 전해지고, 또 그와는 반대로 욕심이 많은 동물, 재수가 없는 동물 등으로 더 많이 민간에 전해지고 있다. 원숭이는 총명하고 재주가 있는 사람에 비유되거나 숭고한 모성애로 표현되기도 한다. 반면에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듯이 실수, 경솔, 만용, 흉내 또는 장난꾸러기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속담: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
원숭이 볼기짝인가
원숭이 흉내 내듯.
잔나비 밥 짓듯 한다.
10. 닭
닭의 울음소리는 세상에 어둠이 물러나고 새로운 날이 밝았음을 알리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닭이 울면 어둠이 끝나고, 새벽이 오면 밤을 지배하던 귀신도 물러간다고 생각하여 상서롭고 신비한 길조로 여겨왔다. 조선시대에는 학문과 벼슬에 뜻을 둔 사람은 서재에 닭 그림을 걸어 두었는데, 달기 입신출세와 부귀공명의 상징이기 때문이다. 민간에서는 닭이 높은 곳으로 올라가면 불길하고, 닭이 낮에 울면 집안이 망한다고 여기기도 했다.
속담: 닭도 제 앞 모이 긁어 먹는다.
꿩 대신 닭
닭의 새끼 봉이 되랴.
닭 잡아먹고 오리발 내어 놓는다.
11. 개
개는 고대사회부터 인간들에 의하여 길러졌으며 줄곧 사람들 곁에서 살아왔던 동물이다. 그러다 보니 개는 인간에게 충직한 동물로 많은 이야기들을 남겼다. 그 대표적인 이야기들이 불을 꺼서 주인을 구한 개, 주인의 죽음을 예견한 개, 억울한 죽음을 당한 주인의 원수를 갚는 개, 죽어서 명당을 찾아주는 개 이야기 등이 있으며 여기서 개는 충성스럽고 똑똑하며 영리한 동물로 나타난다.
속담: 삼년 먹여 기른 개가 주인 발등 문다.
개 눈에는 똥만 보인다.
개도 주인을 알아본다.
사나운 개 입성할 날 없다.
12. 돼지
돼지가 제물로 바쳐졌다는 기록은 고구려 온달 전에 나오는데, 산신, 즉 지신에게 제를 올릴 때 돼지를 바쳤다고 한다. 이렇게 돼지를 바치는 이유는 돼지가 다산을 하는 동물이므로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돼지는 양면성을 가진 동물이다. 재물과 길몽을 뜻하는 동물인 동시에 탐욕과 게으름, 지저분함 등을 상징하기도 한다.
속담: 돼지는 흐린 물을 좋아한다.
돼지 우리에 주석 자물쇠
양반의 새끼는 고양이 새끼요, 상놈의 새끼는 돼지 새끼라
죽은 석승보다 산 돼지가 낫다.
참고문헌
최창렬(2002), 우리속담연구, 일지사
임지룡(2012.2) 현대 국어 동물 속담의 인지언어학적 가치론, 국어교육연구50
천진기(2013), 열두띠 이야기,리젬
허균(2010), 십이지의 문화사,돌베개
김원석(2012), 궁금해요 12띠, 자람
이어령편집(2010), 십이지신 토끼, 생각의 나무
이어령편집(2010), 십이지신 호랑이, 생각의 나무
김미애(2009), 한국과 중국의 동물속담연구:십이지신 동물을 중심으로, 한양대(중국어교육)
벌로마(2009), 한국어의 동물속담에 나타난 상징의미 연구, 건국대 대학원
김선정외(2007), 살아있는 한국어(속담), korea language plus
추천자료
- 유리동물원에 나타나는 상징성
- [조직관리]한국의 전통적 가치관이 조직의 인적 자원관리에 끼친 영향
- [문화인류학과 졸업논문]무속신앙에 나타난 여성의 지위와 상징성
- [관혼상제]한국인의 삶과 상장례에 대한 사회문화적 의미
- [중국][중국의 문화][중국문화][음주문화][차문화][경극][중국전통][중국전통문화]중국의 의...
- 전통 통과의례와 관례문화
- 새와쥐의 상징적의미&호랑이,개,소와 관련된 국내외 속담
-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윷놀이 역사, 지도,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윷놀이와 윷, 한국 민...
- 속담에 나타난 한일 문화의 비교
- [문화역사지리 답사자료집] 전통과 현대의 조화 - 북촌 한옥마을
- [가족상담 및 치료]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 가족치료, 전통적 문제 해결 방식, 한국 가족치...
- 관광자원으로서의 한식과 한국 음식문화의 세계화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