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는 이유는 “세상의 평판이 두렵기 때문”이다. 루스 베네딕트는 일본의 ‘기리’를 미국인의 빌린 돈을 갚는 관념에 비교한다. 이 둘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 기리의 변제는 정확히 같은 값으로 변제해야 하며, 변제가 늦어지면 이자가 붙는다는 점이 그렇다.
‘이름에 대한 기리’는 자신의 명성을 더럽히지 않도록 할 의무를 말한다. 앞에서 말한 ‘제자리’가 요구하는 갖가지 예법을 모두 지키는 것, 고통 속에서 태연한 태도를 보이는 것, 직업이나 기술에 있어서 자신의 명성을 지켜나가는 것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자신의 이름에 대한 비방이나 모독을 제거하는 행위를 요구한다. 비방은 자신의 이름에 먹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명예를 훼손한 사람에게 복수를 해야 한다. 또한 이것은 극단적으로 자살을 통해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루스 베네딕트는 이러한 이름에 대한 기리를 과거 유럽에서 행해지던 결투하는 관습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중국의 예를 드는데, 자신을 비방하는 말을 들었을 때 중국인은 그것에 연연하는 것은 소인이 하는 일이라고 치부하는데 비해, 일본인은 그 비방이 근거 없는 것임을 꼭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에는 이름에 대한 기리가 문제가 될 만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예법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직접적 경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자 최선을 다한다. 그들은 최선을 다해 실패로 인해 수치를 당하는 경우를 피한다. 모욕당할 상황 자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단 모욕이나 패배를 당했을 경우, 복수를 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주군에게 배신이나 수치를 당했을 경우 역시 복수를 하는 것은 장려된다. 복수를 찬양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인인 나의 관념으로 봐도 의아하며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었다. 따라서 일본인의 입장에 서서 이해하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해야 했다. 이름에 대한 기리가 위협을 당한 경우, 공격의 방향은 모욕을 준 자에게 향하거나, 자기 자신에게 향하게 된다. 그런데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욕을 준 자에게 직접적인 복수를 하기 어려워지자, 공격의 방향을 자기에게 돌리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자살’로 나타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일본인들의 목표가 바로 “명예”이기 때문이다. 타인의 존경을 받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이것은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이 군국주의적이며 무력적으로 다른 나라를 침략
‘이름에 대한 기리’는 자신의 명성을 더럽히지 않도록 할 의무를 말한다. 앞에서 말한 ‘제자리’가 요구하는 갖가지 예법을 모두 지키는 것, 고통 속에서 태연한 태도를 보이는 것, 직업이나 기술에 있어서 자신의 명성을 지켜나가는 것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자신의 이름에 대한 비방이나 모독을 제거하는 행위를 요구한다. 비방은 자신의 이름에 먹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명예를 훼손한 사람에게 복수를 해야 한다. 또한 이것은 극단적으로 자살을 통해서 이루어지기도 한다. 루스 베네딕트는 이러한 이름에 대한 기리를 과거 유럽에서 행해지던 결투하는 관습과 비슷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중국의 예를 드는데, 자신을 비방하는 말을 들었을 때 중국인은 그것에 연연하는 것은 소인이 하는 일이라고 치부하는데 비해, 일본인은 그 비방이 근거 없는 것임을 꼭 증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일본에는 이름에 대한 기리가 문제가 될 만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예법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직접적 경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고자 최선을 다한다. 그들은 최선을 다해 실패로 인해 수치를 당하는 경우를 피한다. 모욕당할 상황 자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단 모욕이나 패배를 당했을 경우, 복수를 하는 것은 좋은 일이다. 주군에게 배신이나 수치를 당했을 경우 역시 복수를 하는 것은 장려된다. 복수를 찬양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한국인인 나의 관념으로 봐도 의아하며 이해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었다. 따라서 일본인의 입장에 서서 이해하기 위해서 부단한 노력을 해야 했다. 이름에 대한 기리가 위협을 당한 경우, 공격의 방향은 모욕을 준 자에게 향하거나, 자기 자신에게 향하게 된다. 그런데 경제적 상호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모욕을 준 자에게 직접적인 복수를 하기 어려워지자, 공격의 방향을 자기에게 돌리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자살’로 나타난다. 이런 일이 일어나는 이유는, 일본인들의 목표가 바로 “명예”이기 때문이다. 타인의 존경을 받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이것은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이 군국주의적이며 무력적으로 다른 나라를 침략
추천자료
칼과 칼집, 한홍
현대마르크스주의경제학 서평 - 계급투쟁의 과정으로서 자본주의
칼의 노래를 읽고 [인문과학]
[서평] 대한제국의 대외정책을 읽고
[조세희][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서평][독후감][독서감상문]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사회과학] 칼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을 읽고
김훈의 '남한산성'에 대한 작품분석 및 서평
[독후감/서평] 칼의 노래를 읽고
[서평]정의란 무엇인가+
일본 사무라이 무사도문화(무사도정신)의 특징, 성립, 일본 사무라이 무사도문화(무사도정신)...
[독후감] 칼 마르크스,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공산당선언」을 읽고
[독후감] ‘칼의 노래’를 읽고 _ 김훈 저
[독후감] 칼 되니츠(카를 되니츠 / Karl D&ouml;nitz)의 <10년 20일>을 읽고
[서평] E.H.카 ‘역사란 무엇인가’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