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만 중 불편감
2. 비약물적 통증완화
3. 약물약동학적 통증완화
4. 간호관리
-참고문헌
2. 비약물적 통증완화
3. 약물약동학적 통증완화
4. 간호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물약동학적 통증완화
1) 산과적 진통진정제
진통제와 마취제
진통제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약화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지각에 대한 역치를 높이는 동시에 진정효과를 나타내 공포와 불안감을 감소시키나 의식상실은 없다.
-Meperidine : 산부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 분만과정을 억제하지 않고 자궁경관을 유연하게함, 신생아 호흡억압을 최소화하려면 약물을 투입한 후 바로 출산이 이루어지거나 1시간 이내에 분만이 이루어져야함,
심장질환자는 빈맥을 초래함으로 금기
마취제
감각능력을 완전히 없앰으로써 진통, 근이완효과가 있으나 기억상실 또는 의식소실을 가져온다.
-Morphine : 잠재 지연에 산부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
진정제
-Barbiturates : 통증감소 보다는 이완과 수면을 유도하여 불안을 감소시킴, 진통이 심할 때 투여하면 불안이 고조되고 과다행동 및 분별력이 상실됨, 분만 1~2시간 전에 투여하면 신생아에게 심한 중추신경 억압증상이 나타나고 부작용으로 저혈압, 현훈, 기면, 오심 구토 등나타남
정신안정제
-phenothiazines계 : 통증완화효과는 없지만 불안과 초조를 감소시키며 마약성 약물의 효력을 상승시킨다.
마취 길항제
nalocone, naltrecone등이 있으며, morphine, meperidine으로 인한 신생아의 호흡억압증상을 차단시킴. 분만이 예상보다 빨 진행될때 길항제를 투여한다.
2) 금기증
진통제 사용을 금해야 하는 요인 : 진통제부작용 또는 특이체질의 과거력, 약물 알레르기, 모체의출혈, 모체의 저혈압, 태아의 질식, 신생아의 임박한 출생
3) 장점과 단점
· 정맥주사, 근육주사, 피하주사로 투여되는 진통제는 태반을 쉽게 통과해서 태아의 간과 신장기능은 미성숙하여 약물 대사속도가 늦기 때문에 약물 투여시 태아에게 질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분만 예정 3시간 이내에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으며 투여 후 급속 분만이 예상되면 마취 길항제를 출산 시 신생아에게 투여한다.
· 잠재기에 마취를 투여하면 자궁수축 저하로 분만진행을 방해한다. 활동기가 진행될 때까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을 사용하다가 활동기 동안에 투약하면 분만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진통제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
· 진통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호흡법이나 이완법을 시행할 수 없는 산부에게 자신감과 능력을 제공하는 장범이 있다. 단점은 상부와 신생아의 호흡저하, 모체 저혈압,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등으로 모아의 안녕을 위협할 수 있다.
2) 산과적 마취
(1) 부분마취
음부신경차단
· 분만 2기에 회음절개와 분만을 위해 사용되고 음핵, 대음순, 소음순, 회음부위의 통증완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회음부 마취는 마취가 필요한 · 10~20분 전에 시행, 천추 2~4번 부위에 주사하여 음부신경을 차단
· 간단하고 안전하며 모체나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경부주위마취
· 자궁통증을 감소시키므로 분만 1기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
· 자궁목 개대가 초산인 경우 5~6cm, 경상인 경우 4~5cm 개대 되었을
1) 산과적 진통진정제
진통제와 마취제
진통제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약화시켜 통증을 완화시키고 통증지각에 대한 역치를 높이는 동시에 진정효과를 나타내 공포와 불안감을 감소시키나 의식상실은 없다.
-Meperidine : 산부에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 분만과정을 억제하지 않고 자궁경관을 유연하게함, 신생아 호흡억압을 최소화하려면 약물을 투입한 후 바로 출산이 이루어지거나 1시간 이내에 분만이 이루어져야함,
심장질환자는 빈맥을 초래함으로 금기
마취제
감각능력을 완전히 없앰으로써 진통, 근이완효과가 있으나 기억상실 또는 의식소실을 가져온다.
-Morphine : 잠재 지연에 산부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
진정제
-Barbiturates : 통증감소 보다는 이완과 수면을 유도하여 불안을 감소시킴, 진통이 심할 때 투여하면 불안이 고조되고 과다행동 및 분별력이 상실됨, 분만 1~2시간 전에 투여하면 신생아에게 심한 중추신경 억압증상이 나타나고 부작용으로 저혈압, 현훈, 기면, 오심 구토 등나타남
정신안정제
-phenothiazines계 : 통증완화효과는 없지만 불안과 초조를 감소시키며 마약성 약물의 효력을 상승시킨다.
마취 길항제
nalocone, naltrecone등이 있으며, morphine, meperidine으로 인한 신생아의 호흡억압증상을 차단시킴. 분만이 예상보다 빨 진행될때 길항제를 투여한다.
2) 금기증
진통제 사용을 금해야 하는 요인 : 진통제부작용 또는 특이체질의 과거력, 약물 알레르기, 모체의출혈, 모체의 저혈압, 태아의 질식, 신생아의 임박한 출생
3) 장점과 단점
· 정맥주사, 근육주사, 피하주사로 투여되는 진통제는 태반을 쉽게 통과해서 태아의 간과 신장기능은 미성숙하여 약물 대사속도가 늦기 때문에 약물 투여시 태아에게 질식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분만 예정 3시간 이내에는 약물을 투여하지 않으며 투여 후 급속 분만이 예상되면 마취 길항제를 출산 시 신생아에게 투여한다.
· 잠재기에 마취를 투여하면 자궁수축 저하로 분만진행을 방해한다. 활동기가 진행될 때까지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약물적인 방법을 사용하다가 활동기 동안에 투약하면 분만진행을 방해하지 않고 진통제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
· 진통제를 적절하게 사용하면 호흡법이나 이완법을 시행할 수 없는 산부에게 자신감과 능력을 제공하는 장범이 있다. 단점은 상부와 신생아의 호흡저하, 모체 저혈압,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등으로 모아의 안녕을 위협할 수 있다.
2) 산과적 마취
(1) 부분마취
음부신경차단
· 분만 2기에 회음절개와 분만을 위해 사용되고 음핵, 대음순, 소음순, 회음부위의 통증완화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회음부 마취는 마취가 필요한 · 10~20분 전에 시행, 천추 2~4번 부위에 주사하여 음부신경을 차단
· 간단하고 안전하며 모체나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경부주위마취
· 자궁통증을 감소시키므로 분만 1기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
· 자궁목 개대가 초산인 경우 5~6cm, 경상인 경우 4~5cm 개대 되었을
키워드
추천자료
분만시 동통완화를 위한 간호사의 역할- 분만과정과 함께
분만 중 통증관리와 신생아 사정
자연분만중 회음절개술의 종류와 장단점
분만중 간호
[간호학]분만 중 태아건강사정과 특징 및 유의사항[A+추천 레포트]
조기분만에 대해서(원인, 예방밥업, 진단, 분만 억제제투여, 약물투여, 입원중, 분만중 간호)
자연분만법 중 라마즈 분만법과 스프롤로지 분만법 (의약학)
분만에 대한 간호과정 - 증가되는 자궁수축과 관련된 진통 & 분만 중 과도한 근육 긴장으...
[산과환자를 위한 운동의 원리] 임신의 해부학적, 생리학적 변화, 임신 중 유산소운동 효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