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적 의사소통 강화기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치료적 의사소통 강화기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치료적 커뮤니케이션의 강화요법
2. 커뮤니케이션의 촉진을 위한 비언어적 방법
3. 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술
4. 치료적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간호과정 적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반응)
간호사 C : ‘증상이 빨리 완화되지 않는데 대해 염려가 되시지요?
위의 사진을 찍어보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십니까?’ (반영)
6) 충고
대상자에게 어떻게 하라고 충고함
여기에서는 대상자가 열등한 위치에 있으며 자신의 일을 결정하는 데 능력이 없다는 의미가 포함됨 → 정보의 제공과는 다름
정보의 제공은 ‘대상자 자신이 결정할 수 있도록 어떤 사실에 대해서’ 지식을 제공해 주는 것임에 비해 충고는 대상자 스스로가 의사결정을 하는 데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것
7) 거부
‘지금 시간이 바쁜데요’, ‘그런 것은 말하지 마세요’, ‘그런 것은 이야기하고 싶지 않아요?’와 같은 말은 대상자의 느낌이나 그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지 않다는 것으로 대상자는 그 대화가 거절당했음과 더불어 자기 자신이 거절당한 느낌을 갖게 됨
거절하는 태도는 흔히 자신의 약점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혹은 증가되는 불안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서 사용하게 됨
이런 반응은 고독, 절망감, 소원감(alienation)을 강화하며 질병에 영향을 줌
8) 동의
대상자에게 동의를 표시함
이런 태도의 결과 대상자의 생각과 행동에 평가를 주는 것이 되어 다음 기회에 이야기의 내용을 없었던 것으로 하고 싶어도 간호사를 의식하여 자유로이 하지 못함
간호사는 대상자 자신의 생각대로 결론을 내리도록 도와주어야 함
의견 제시와 판단은 대화에 적당치 않음
‘꼭 맞습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옳습니다.’
9) 이견
대상자의 생각과 간호사의 생각이 다름을 뜻함
이런 반응을 하게 되면 대상자는 그 평가에 대하여 방어하려 함
즉 대상자의 불안을 초래하여 간호의 목적에 위반하게 됨
\'틀렸어요‘, ’그렇지 않아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해요‘, ’거짓말 마세요‘
10) 칭찬
대상자의 생각과 행동을 인정하고 칭찬함으로써 간호사가 독단하게 되므로 대상자의 자유로운 의사표시를 방해함
과도한 칭찬은 부당한 야망, 우월감, 경쟁심을 가져오며 칭찬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만 행동하게 되므로 가능한 학습경험(learning experience)을 막음
\'잘 하셨어요.‘, ’좋습니다.‘, ’그렇게 생각하시니 기쁩니다.‘
11) 비난
대상자의 행동 혹은 생각을 비난함
비난은 간호사의 입장에서의 가치평가로 인한 판단임
간호사가 알아야 할 것은 대상자 자신의 가치평가이거나 병적인 것이기 때문에 판단을 내릴 수는 없다는 것
간호사가 대상자의 행동이나 생각을 그대로 대상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대상자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손을 잘 움직이지 않아서 그릇이 떨어질 것에요’
12) 허위
치료자는 때로 대상자에게 사실이 아닌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있음
대부분은 곧 사실이 밝혀지게 되는데, 그렇게 되면 대상자와의 관계는 더 어려워지게 됨
신뢰도가 낮아져서 사실적인 정보에 대해서도 대상자는 간호사의 말을 일단 의심하게 됨
거짓말은 사실의 발견을 연장시킬 뿐이므로 처음부터 진실한 태도이어야 함
소아와 아동에게 ‘하나도 아프지 않다’라고 하면서 주사를 놓으면 첫 날은 성공적일지 모르지만 그 다음 날엔 간호사가 주사기만 들고 들어와도 버둥대며 소리치며 도망갈 것임
13) 주제의 회피
대상자가 하던 이야기를 다른 문제로 말머리를 돌려버림
간호사가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일차적으로 사용되는 방법
간호사가 화제를 돌린다든지 다른 제목의 화제를 준다는 것은 대상자의 발언권을 빼앗는 것이나 다름이 없음
대화는 대상자의 요구대로 진행시켜야 함
만약 간호사 자신이 불안해지거나 어려울 때는 대화를 중단하는 것이 좋음
환 자 : ‘나는 죽고 싶어요’
간호사 : ‘오늘 집에서 누가 면회를 오셨어요?’
14) 부정
대상자에게 문제가 있는 것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음
간호사는 음성의 고저, 혹은 얼굴의 표정으로 대상자에게 문제가 없다고 부인함으로써 대상자와의 대화를 차단하게 만들고 대상자의 어려움을 도와줄 수 없게 함
환 자 : ‘죽겠어요’
간호사 : ‘어리석은 말하지 마세요’
환 자 : ‘나는 보잘 것 없어요’
간호사 : \'그럴 리 없어요. 누구나 다 쓸모가 있어요‘
15) 방어
어떤 사람이나 사물(주로, 간호사, 의사, 병원)을 보호하고자 대상자가 자신의 느낌과 견해를 표현하는 것을 막는 것을 의미함
ex) 어떤 대상자가 주치의에 대해서 불만스러움을 나타냈을 때 간호사가 ‘저는 여 5년이나 근무해 왔지만 우리병원 의료진만큼 수준 높은 병원도 없을 거에요’라고 말하는 경우
이는 자신의 방어함과 동시에 대상자의 견해를 거절하는 것이 되며 ‘너에게는 불평을 호소할 권리가 없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됨
16) 도전
답별을 요구하고 대상자에게 증명을 요구하는 것으로 예를 들며 ‘그런데 어떻게 당신이 대통령이 될 수 있습니까?’, ‘만일 당신이 죽었다면 어떻게 당신의 심장이 뛰고 있죠?’라는 표현과 같음
간호사는 자주 대상자에게 대상자의 비현실적인 생각과 지각을 증명하도록 답변을 요구하며, 만약 대상자가 답변을 못하면 무엇이 현실이라는 것을 알게 할 수 있음
그렇게 함으로서 대상자의 비현실적인 생각과 지각에 대한 요구를 줄일 수 있음
치료적 커뮤니케이션과 반대로 지시적, 판단적, 폐쇄적인 질문을 할 때가 있음
비치료적 커뮤니케이션 요약
예시
일시적인 양심 (false reassuring)
불안해 할 이유가 없다고 말함
대상자의 문제를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태도
나는 …에 대하여 걱정하지 않아요. 모두 잘 될거에요
당신은 잘 해나가고 있어요. 곧 좋아지실 거에요
걱정마세요. 다 그렇습니다.
칭찬 (giving approval)
대상자의 생각이나 언동에 찬성 하는 것
좋습니다. 잘 하셨어요 당신이 …해서 기쁩니다.
거부 (rejecting)
대상자의 생각이나 언동에 대해 숙고하지 않거나 경멸함
지금 시간이 나쁜데요. 그런 것은 말하지 마세요
…을 논의하지 맙시다. 나는 …에 대해 듣고 싶지 않아요
그런 것은 이야기하고 싶지 않아요
비난 (disapproval)
대상자의 언동이나 생각을 비난함
그건 좋지 않아요
저는 오히려 당신이 하지 않는 편이 나아요
동의 (agreeing)
대상자와 일치함을 나타냄
그래요. 맞아요. 꼭 맞습니다.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7.04.02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29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