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우리말의 역사 공통]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국어의 개념
1) 정의
2) 계통
2. 국어사 개관
1) 개념
2) 시대구분방법
3. 시대별 국어사의 개념과 언어적 특징
1) 고대국어
(1) 개념
(2) 성립
(3) 언어적 특징
2) 전기 중세국어
(1) 개념
(2) 성립
(3) 언어적 특징
3) 후기 중세국어
(1) 개념
(2) 성립
(3) 언어적 특징
4) 근대국어
(1) 개념
(2) 성립
(3) 언어적 특징
5) 현대국어
(1) 개념
(2) 성립
(3) 언어적 특징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 : 전기 중세국어에서 폐쇄음은 고대국어의 평음과 유기음 대립체계에 경음, 즉 된소리 계열에 추가되었다. ㅸ(β), ㅿ(z)도 존재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어두자음군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 음절말에서 대부분의 자음대립이 음절말 위치에서 유지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평음과 유기음은 중화된 듯이 보인다. 또한 합성어에서 치음 앞의 \'ㄹ\' 음이 유지된 것으로 추측된다.
(나) 모음체계 : 전기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는 7모음체계로 고대국어와 큰 차이가 없었다. 단, 고대국어 모음 , \' \'가 \'e\'로 이동했을 뿐이다.
② 어휘
(가) 고유어 : 『계림유사』와 『향약구급방』에는 15세기 이후의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어휘들이 보인다.
(나) 한자어 : 중국과의 문물 유입 증가에 따라 한자 사용이 늘어나게 되었다. 이렇게 들어온 한자어는 고유어와 유의 관계를 형성하였다가 점차 한자어의 세력이 우세해지면서 고유어를 교체해가는 현상을 보이는데, 전기 중세국어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대치 병존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다) 차용어 : 이때에는 북방 민족들의 영향으로 북방계 차용어가 많이 들어왔다. 몽고어에서는 주로 관직, 말, 매, 군사 등에 관련된 어휘가 차용되었으며, 여진어는 함경도의 지명에 흔적을 남기고 있다.
③ 문법
(가)전기 중세국어의 체언의 형태적 특성은 자료의 빈곤과 자료 해석의 음운론적 문제로 인해 잘 밝혀지지 않았다.
(나) 전기 중세국어에서 동사에서 명사를 파생시키는 방법은 고대국어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며, \'-개\' 접미사가 이미 존재했고, 어근끼리 결합된 합성어도 존재했다.
(다) 중세국어의 선어말어미는 의도법, 경어법, 시상법, 감탄법의 네 가지가 있다. 의도법으로는 \'-오/우-\'가 사용되었으며, 시상법으로는 현재의 \'--\', 과거의 \'-거-, -아/어-, -더-\', 미래의\'-리\'가 사용되었다. 감탄법으로는 \'-도-, -돗-\'등이 사용되었다. 선어말어미의 배열순서는 \'객체높임 - 과거 - 주체높임 - 현재 - 의도법 - 미래 - 감탄법 - 상대높임\'의 순이다.
(라) 문장구조에서 중세국어도 역시 고대국어처럼 체언문의 특성을 가졌으며, 접속문에서 시상이나 주체높임의 선어말어미가 삭제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내포문에서 안기는 문장의 주어가 관형격이나 목적격으로 나타나며, 인용격 조사 \'-고-\'가 아직 나타나지 않으며, 접속조사가 마지막 명사에까지 결합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 일부 용언은 일정한 격조사나 접속어미와만 통사적 관계를 맺는 현상을 보이며, 의존명사 \' ,  \'는 동사로 하여금 수식어적 용법을 갖게 하는 통사적 기능을 가진다. 한문의 영향으로 한자가 그대로 직역되어 국어 문자로 바뀐 현상은 보이나, 한문 문장이 국어 문장에 통사적 영향을 미친 것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중세국어는 문장 유형상 단문은 별로 없고, 주로 복문과 혼성문으로 되어 있어서 문장의 길이가 매우 길다.
④ 표기
한자 숭배로 인해 고대국어에서 사용되던 차자체계가 더 이상 발전하지 못하고 현상유지 되거나 소멸되었다. 구결, 이두 등의 표기법은 일부 계층에 의해 존속되나 향찰은 곧 소멸 되었다.
3) 후기 중세국어
(1) 개념
조선 건국부터 임진왜란까지인 이 시기는 국어의 역사상 국어에 변화를 일으킨 가장 큰 사건은 훈민정음의 창제가 이 시기에 일어나게 되었다. 훈민정음의 창제로 오랜 세월 동안 입말로만 사용되어 오던 국어가 비로소 글말의 위치로 올라서게 되었다. 그리하여 어형이 고정되고, 문법이 고착화되기 시작했다. 또 문자 창제에 의해 새 음운이 만들어지기도 하고, 우리말 어휘가 되살아나기도 하였다. 하지만 임진왜란으로 인해서 일본어의 유입과 한국말이 유실되기도 한 때이다. 우리는 이 훈민정음 창제를 계기로 그 이후의 국어가 큰 변화를 겪게 된 것으로 보아 훈민정음의 창제를 국어사에 있어서 크게 주목해 봐야 할 것이다.
(2) 성립
후기 중세국어는 조선시대 전기에 해당한다. 이때에 훈민정음이 창제되어 국어를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이 시기는 국어사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자료를 통해 당시의 국어의 모습뿐만 아니라 그 이전의 국어의 모습까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3) 언어적 특징
① 음운
(가) 훈민정음의 음운체계 : 훈민정음에서는 소리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고, 종성은 초성과 같은 글자를 사용했다. 초성은 현재의 자음글자이고 중성은 모음글자를 말한다. 초성글자 중 기본자는 조음하는 발음기관의 모형을 본떴고, 그 외의 자는 기본자에 획을 더함에 따라 만들어졌다. 초성글자의 운용원리에는 병서와 연서가 있다. 중성글자 중 기본자는 천, 지, 인 삼재의 모양을 본떴고 다른 중성글자들은 이 세 기본글자의 합성으로 이루어졌다. 종성에 관해서는 \'終聲復用初聲\'이라고 규정하면서도 실용상의 편의를 위해 다시 \'ㄱ ㆁ ㄷ ㅣ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로 팔종성체계를 규정했다.
(나) 자음체계 : 후기 중세국어의 자음체계를 현대음성학 체계에 맞추어 재구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중 뒤에 소실된 자모마 음운은 폐쇄음 \'ㆆ\'과 마찰음\'ㅿ, ㆅ, ㆁ, ㅸ\'등이다. 공명음 \'ㆁ\'은 문자는 소실되었으나 음가는 남아 있다. 이때에는 자음군이 어두에 올 수 있었다. 어두자음군에는 ㅂ계 어두자음군과 ㅄ계 어두자음군이 있었는데, 이들은 근대국어에 와서 된소리로 통일되었다. 또 ㅅ이 사용된 합용병서도 있었는데 이들은 된소리에 해당된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일어난 중요한 자음 변천으로는 모음이나 유성자음 사이에서 \'ㄱ\'음이 탈락하는 현상, \'ㅎ\'말음 체언의 사용, 한 단어 내에서 \'ㅎ\'음이 모음이나 개음 사이에서 탈락하는 현상, 어두 자음 강음화 현상, 어말 모음 탈락 현상 등을 들 수 있다.
(다) 모음체계 : 후기 중세국어의 모음체계는 전기 중세국어에서 모음추이를 거쳐서 다음과 같은 7모음체계를 이루었다.
② 어휘
(가) 한자어의 격증 : 중국에서의 문화의 유입과 함께 한자어의 침투가 계속 증가해서, 한자어의 고유어 대체 현상과 한자어의 고유어화가 나타난다.
(나) 어휘의 교체 : 15세기와 16세기의 문헌 사이에 \'?榻鳴?>만일에, ?糖?>이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7.04.07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33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