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1. 영성형성의 정의
2. 영성가들의 영성지론
3. 영성형성의 훈련단계
4. 영성현성의 훈련단계
5. 중세수도사들의 영성훈련
6. 영성훈련의 실제적 훈련
7. 영성훈련의 4중 영역
8.영성형성을 위한 영적독서의 중요성
9. 영적독서의 의미와 방법론적 이해
10. 묵상훈련과 필요성
2. 영성가들의 영성지론
3. 영성형성의 훈련단계
4. 영성현성의 훈련단계
5. 중세수도사들의 영성훈련
6. 영성훈련의 실제적 훈련
7. 영성훈련의 4중 영역
8.영성형성을 위한 영적독서의 중요성
9. 영적독서의 의미와 방법론적 이해
10. 묵상훈련과 필요성
본문내용
xperience)과 함께 자아 포기, 이웃을 향한 사랑의 실천(Practice)을 통해 자아적 성숙의 성화하는 단계적 과정을 살펴보며 영성형성의 훈련 방법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세대의 세상을 향한 우리가 가져야 할 영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며, 우리가 추구하는 영성의 최종목적은 무엇인지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기술하고자 한다. 영성을 정의한다면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님의 인도’를 따르는 ‘하나님과의 합일’(合一)을 추구하는 신앙의 삶일 것이다.
2. 문제 해결 방안
이러한 영성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두 기둥이 있는데 “하나는 영적독서이며, 또 하나는 묵상이다”. 이 두 가지 기둥에 대한 역사적 관점과 훈련방법 그리고 초대 시대의 수도원에서 이루어졌던, 다양한 묵상훈련방법을 연구하여 현재 영적독서와 성경읽기(Q.T)로 변천하여 다양한 영적도움과 질적인 신앙심을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영성형성의 훈련을 프로그램화하여 누구나 싶고, 단순한 방법을 만들고자 한다..
기욘 부인 기욘부인은 프랑스 여류 신비가이며, 정적주의 사상을 가짐. 천성이 착하며, 수녀원에서 교육을 받고, 은자적 신비주의 경향을 추구하고 있다.
은 두 가지 방법을 말하고 있다. 즉, 독서와 명상이다. 이 두 가지는 기도생활에 나아가는 수레의 두 바퀴와 같다고 한다. 독서는 영적 자양을 흡수하는 것이므로많이 속독하는 것은 아무 유익이 없다고 한다. 명상은 적당한 시간을 택하여 하나님 앞에 있는 경건한 태도를 가지고 자양이 풍부한 성경구절을 묵상하는 것이다. 엄두섭, “기욘부인의 독서와 묵상”,『진동하는 영성』, (서울:은성출판사), 1991, p.248.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영성형성과정을 형성하는 가장 큰 역사적 목적은 초대교회 당시 교회의 세속화를 저항하기 위하여 그들의 핍박을 피하기 위해 도피와 은둔생활이 계기가 되여 그로인해 수도원 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 속에서 은둔, 독거, 묵상, 노동, 검소, 청빈, 극빈, 성경연구, 기도, 명상, 침묵, 예배등을 통하여 영성훈련을 스스로 쌓았고 그 수도사들의 활동으로 인하여 이단 회개, 성직자 각성, 적극 선교, 교육과 성서번역 사업등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글랜디온 카니&월리엄 롱,『예수 영성』,(서울:은성출판사), 2000, p.24.
현대의 개혁자들의 영성의 중심은 성서였다. 따라서 성경읽기에 대하 연구와 방법등을 제기하고자 한다. 루터는 영은 말씀을 통해서 활동하고, 말씀은 영의 활동으로 의미를 지녀야 하기 때문에, 신앙의 주, 객관적인 양면을 역동적으로 조화시켰다. 이러한 개혁자들의 영성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한 개신교회는 개인의 구원과 성결에 중점을 두는 내향적 운동과 사회의 구조 악 개선하는 외향적 운동이 극단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신교 영성의 주조는 여전히 성경중심, 성령의존의 개혁자적 양상을 띠고 있다.
영성에 관한 연구의 목적이 학문적인 것보다 예수 그리스도를 닮는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 메조리J. 톰슨,『영성 훈련의 이론과 실천』, (서울:은성출판사), 1999, pp.26-27.
이 있어야 한다. 사도바울 선생이 말한 것처럼 “믿음이 장성한 분량만큼” 자라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훈련방법이다. 글랜디온 카니&월리엄 롱,『예수 영성』,(서울:은성출판사), 2000, p.24.
영성형성과정은 하나님과 만나기 위한 긴 여정의 기간이다. 영성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영적독서(성경읽기)와 묵상, 과거 수도사의 영적독서와 묵상 방법을 고찰하고, 현대의 영성과 접목시켜 영성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 속에서 영성형성의 정의와 목적을 연구하며, 수련방법과 수련과정 그리고 영적독서의 역사적 의미와 방법들을 연구한다. 묵상의 성서적 의미와 묵상 방법등을 역사적 고찰을 통해 검증하며, 새로운 방법등을 제시하기로 한다.
II. 영성형성의 정의
1. 영성형성의 필요성
리차드 포스터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에게 영성에 무감각하게 하는 세 가지가 있는데, ‘시끄러움, 조급함, 혼잡함’이다. 정신분석학자 칼 융(Carl Gustav Jung)은 “조급함은 마귀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마귀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리처드 포스터,『영적 훈련과 성장』, (서울:생명의 말씀사), 1995, p.31.
또한 사막 교부들은 분주함을 ‘도덕적인 게으름’이라고 말한다. 분주함은 중독성 마약이 될 수도 있는 ‘일 중독자, 편집증, 관음증’ 제임스 휴스턴, “외적훈련의 단계”,『na.da 창간호』, (서울:영성과 삶), 1999, p.14.
등을 만들게 한다.
이와 같은 분주하고 복잡한 사회에서 자신의 영성을 개발시키기 위해서는 처절한 몸부림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육과 정신세계를 따로 구분하는 ‘희랍의 영성, 불교의 영성, 동양적인 영성, 막시즘의 영성, 유교의 영성, 계몽주의 영성, 낭만주의 영성 등으로 구분될 수가 있다. 오성춘, “영성과 목회” (서울:장신출판부), 1989, p.40.
기독교 영성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서방교회의 영성, 동방교회의 영성, 개신교회의 영성, W.C.C의 영성, 보수주의 영성 개혁주의 영성, 19세기의 영성, 영국 성공회의 영성, 감리교의 영성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영성훈련이 체계화 되면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왔다. 그리스도교적 완성과 그것에 도달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영성형성에 꼭 필요한 것이 있다.
첫째로 위로 향한 훈련이다. 이 훈련은 외향적인 여정으로 성경 묵상과 연구, 독거와 기다림의 기도와 같은 것을 말하고 있다. 둘째는 아래를 향한 훈련이다. 즉 내향적인 여정인데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걸어온 길을 다시 걸으며 우리 자신이 누구인가를 발견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외향적인 여정에는 나눔과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세상 속에 영성을 전하는 여정입니다. 폴 스티븐스, “현대인의 생활영성”, 『소금과 빛 8월호』, p.83.
폴시다는(Paul cedac) 폴시다는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미국 복음주의 자유교회 교단 총회장(현), 라디오 방송 전도자, 플러신학교 및 탈봇 신학교 교수역임, 할리웃 장로교회 목사 및 레
이 세대의 세상을 향한 우리가 가져야 할 영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며, 우리가 추구하는 영성의 최종목적은 무엇인지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기술하고자 한다. 영성을 정의한다면 ‘그리스도 안에서 성령님의 인도’를 따르는 ‘하나님과의 합일’(合一)을 추구하는 신앙의 삶일 것이다.
2. 문제 해결 방안
이러한 영성형성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두 기둥이 있는데 “하나는 영적독서이며, 또 하나는 묵상이다”. 이 두 가지 기둥에 대한 역사적 관점과 훈련방법 그리고 초대 시대의 수도원에서 이루어졌던, 다양한 묵상훈련방법을 연구하여 현재 영적독서와 성경읽기(Q.T)로 변천하여 다양한 영적도움과 질적인 신앙심을 가질 수 있도록 새로운 영성형성의 훈련을 프로그램화하여 누구나 싶고, 단순한 방법을 만들고자 한다..
기욘 부인 기욘부인은 프랑스 여류 신비가이며, 정적주의 사상을 가짐. 천성이 착하며, 수녀원에서 교육을 받고, 은자적 신비주의 경향을 추구하고 있다.
은 두 가지 방법을 말하고 있다. 즉, 독서와 명상이다. 이 두 가지는 기도생활에 나아가는 수레의 두 바퀴와 같다고 한다. 독서는 영적 자양을 흡수하는 것이므로많이 속독하는 것은 아무 유익이 없다고 한다. 명상은 적당한 시간을 택하여 하나님 앞에 있는 경건한 태도를 가지고 자양이 풍부한 성경구절을 묵상하는 것이다. 엄두섭, “기욘부인의 독서와 묵상”,『진동하는 영성』, (서울:은성출판사), 1991, p.248.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영성형성과정을 형성하는 가장 큰 역사적 목적은 초대교회 당시 교회의 세속화를 저항하기 위하여 그들의 핍박을 피하기 위해 도피와 은둔생활이 계기가 되여 그로인해 수도원 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 속에서 은둔, 독거, 묵상, 노동, 검소, 청빈, 극빈, 성경연구, 기도, 명상, 침묵, 예배등을 통하여 영성훈련을 스스로 쌓았고 그 수도사들의 활동으로 인하여 이단 회개, 성직자 각성, 적극 선교, 교육과 성서번역 사업등에 큰 역할을 하게 되었다. 글랜디온 카니&월리엄 롱,『예수 영성』,(서울:은성출판사), 2000, p.24.
현대의 개혁자들의 영성의 중심은 성서였다. 따라서 성경읽기에 대하 연구와 방법등을 제기하고자 한다. 루터는 영은 말씀을 통해서 활동하고, 말씀은 영의 활동으로 의미를 지녀야 하기 때문에, 신앙의 주, 객관적인 양면을 역동적으로 조화시켰다. 이러한 개혁자들의 영성을 제대로 계승하지 못한 개신교회는 개인의 구원과 성결에 중점을 두는 내향적 운동과 사회의 구조 악 개선하는 외향적 운동이 극단으로 대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신교 영성의 주조는 여전히 성경중심, 성령의존의 개혁자적 양상을 띠고 있다.
영성에 관한 연구의 목적이 학문적인 것보다 예수 그리스도를 닮는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 메조리J. 톰슨,『영성 훈련의 이론과 실천』, (서울:은성출판사), 1999, pp.26-27.
이 있어야 한다. 사도바울 선생이 말한 것처럼 “믿음이 장성한 분량만큼” 자라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훈련방법이다. 글랜디온 카니&월리엄 롱,『예수 영성』,(서울:은성출판사), 2000, p.24.
영성형성과정은 하나님과 만나기 위한 긴 여정의 기간이다. 영성형성에서 가장 중요한 영적독서(성경읽기)와 묵상, 과거 수도사의 영적독서와 묵상 방법을 고찰하고, 현대의 영성과 접목시켜 영성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그 속에서 영성형성의 정의와 목적을 연구하며, 수련방법과 수련과정 그리고 영적독서의 역사적 의미와 방법들을 연구한다. 묵상의 성서적 의미와 묵상 방법등을 역사적 고찰을 통해 검증하며, 새로운 방법등을 제시하기로 한다.
II. 영성형성의 정의
1. 영성형성의 필요성
리차드 포스터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에게 영성에 무감각하게 하는 세 가지가 있는데, ‘시끄러움, 조급함, 혼잡함’이다. 정신분석학자 칼 융(Carl Gustav Jung)은 “조급함은 마귀에게서 나온 것이 아니라 그 자체가 마귀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리처드 포스터,『영적 훈련과 성장』, (서울:생명의 말씀사), 1995, p.31.
또한 사막 교부들은 분주함을 ‘도덕적인 게으름’이라고 말한다. 분주함은 중독성 마약이 될 수도 있는 ‘일 중독자, 편집증, 관음증’ 제임스 휴스턴, “외적훈련의 단계”,『na.da 창간호』, (서울:영성과 삶), 1999, p.14.
등을 만들게 한다.
이와 같은 분주하고 복잡한 사회에서 자신의 영성을 개발시키기 위해서는 처절한 몸부림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육과 정신세계를 따로 구분하는 ‘희랍의 영성, 불교의 영성, 동양적인 영성, 막시즘의 영성, 유교의 영성, 계몽주의 영성, 낭만주의 영성 등으로 구분될 수가 있다. 오성춘, “영성과 목회” (서울:장신출판부), 1989, p.40.
기독교 영성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서방교회의 영성, 동방교회의 영성, 개신교회의 영성, W.C.C의 영성, 보수주의 영성 개혁주의 영성, 19세기의 영성, 영국 성공회의 영성, 감리교의 영성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영성훈련이 체계화 되면서 영성신학으로 발전해 왔다. 그리스도교적 완성과 그것에 도달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다.
이러한 영성형성에 꼭 필요한 것이 있다.
첫째로 위로 향한 훈련이다. 이 훈련은 외향적인 여정으로 성경 묵상과 연구, 독거와 기다림의 기도와 같은 것을 말하고 있다. 둘째는 아래를 향한 훈련이다. 즉 내향적인 여정인데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걸어온 길을 다시 걸으며 우리 자신이 누구인가를 발견하는 과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외향적인 여정에는 나눔과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 세상 속에 영성을 전하는 여정입니다. 폴 스티븐스, “현대인의 생활영성”, 『소금과 빛 8월호』, p.83.
폴시다는(Paul cedac) 폴시다는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미국 복음주의 자유교회 교단 총회장(현), 라디오 방송 전도자, 플러신학교 및 탈봇 신학교 교수역임, 할리웃 장로교회 목사 및 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