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cath 목적과 환자관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cath 목적과 환자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nelaton
2. foley insert & remove
3.L-tube insert & feeding 방법 & remove
4.c-tube injsert & 관리
5.c-line 종류
6. intubation

본문내용

결핵
Thoracentesis
삼출액의 성상 및 색 관찰,
생화학적 & 세균학적 & 세포학적 검사를 위한 검사물 채취
삼출액 및 기흉제거
늑막강에 약물 주입에 의한 치료
<검사 전 간호>
1. 검사절차를 설명하고 검사동의를 받는다.
2. 늑막의 손상방지를 위하여 천자하는동안
3. 움직이지 않도록 교육한다.
4. 국소마취 시 불편감을 느낄수 있음을 교육한다.
5. vital 측정한다.
<검사 중 간호>
자세--> 높은침상 옆 탁자를 이용하여 굽힌 팔 위에 머리를 기대거나,의자 등받이에 팔,머리를 기대고 다리 를 벌려 앉도록 한다.
천자의 위치 --> 삼출액: 후액와선 7 or 8번째 늑간
공기: 중앙 쇄골선에서 2 or 3번째 늑간
검사 동안 환자모습, v/s checks, 호흡상태 관찰
순환허탈 방지하기위해 30분 이내 배액 되는 늑막액이 1.2L 넘지 않도록 한다.
<검사 후 간호>
시술 후 늑막액이 새거나 공기유입을 막기위해 압박 드레싱 한다.
늑막액의 유출 방지하기위해 천자부위 위로하고 침상안정한다.
v/s check
배액된 늑막액으로 처방된 검사나간다.
합병증관찰한다.
1, 혈관에 있던 수분이 흉막강 내로 나왔을 경우 순환혈량의 부족으로 인해 shock 위험 있음
2, 천자부위 새는지, 기흉증사을 객담에 피가있는지 , 객혈이 있는지, 심한 기침, 호흡곤란, 청색증 관찰
3, 많은 양의 삼출물을 배액했는지 관찰한다.
- 천자 후 x선 촬영으로 삼출액, 공기 남아있는지 폐가 완전히 재팽되었는지 확인하고 많은양의 삼출액을 제거했을 경우 전해질불균형이 있는지 검사 후 교정한다.
Central venous catheter
단기간 또는 장기간의 항생제,항암제등의 약물을 투여하기 위함.
TPN 등의 영양제를 주입하기 위함.
중심정맥압(CVP) 측정하기 위함.
검사를 위해 자주 혈액을 채혈하기 위함.
다량의 수액이나 혈액 공급하기 위함.
준비물 : S-set(betadine ball, boric , 4*4gauze,Y-자 gauze, Lidocaine ,24G needle,5cc syringe,10cc syringe , nylon 3-0 .ns20cc, 소독장갑, tegaderm
C-line insert 순서
1. 대상자 체위: trendelenburg or supine position 유지
(정맥이 확장되어 투관이 용이하고 중심정맥내 양압이 형성되어 공기색전의 위험이 감소됨)
2. 대상자 머리를 카테터삽입부위 반대편으로 돌림
(삽입부위 노출 돕고 호흡기로부터 미생물감염방지위해)
3. 카테터삽입되는동안 발사바법호흡을 하도록 돕는다.
(말초저항증가시키고 흉곽내압상승시켜 대정맥의 압력을 높혀 심장으로 가는 혈액감소시킨다. 카테터를 통해 공기가 심장으로 들어갈 가능성을 감소시켜 공기색전증의 위험을 예방할수 있다)
4. 카테터삽입후 주입액을 연결하여 개방성 확인
5. X-RAY 통해 삽입부위 확인.
6. dressing 날짜 기록
Chemoport
약물주입(특히,항암제) 및 수혈, 채혈을 위해 삽입된 중심정맥관.
영구적으로 잠겨지는 연결부위를 가진 portal과 catheter로 구성
외관상 잘 보이지 않음.
미 사용시 소독 불필요
수영, 통목용 가능
수개월~ 수년 사용가능
삽입대상자-->
1. 항암제,항생제,혈액제재,비경구적 영양공급,수액,진통제의 간헐적이거나 계속적인 주입이 필요한 경우
2. 말초혈관 확보시 어려움이 있을 경우
3. 가정이나 병원에서 장기간 치료필요한 경우
케모포트의 종류
일직선 non-coring needle: 정규적인 헤파린주입, 잠깐 약물 주입 시 사용
굽은형 non-coring needle: 계속적인 약물 주입 시 사용
19G : 고농도의 fluid 주입, 혈액 채취 시 사용
22G : 저농도의 fluid 주입 시 사용
* 일반 needle 사용금지-hole 크기 달라서 septum손상, silicon 손상 입혀 영구적 손상 가져올 수 있다.
케모포트의 삽입
장소 : 혈관조영실(영상의학과에서 시행)
금식 : 4hr NPO
동의서 작성
수혈 : CBC, coagulation battery 확인, 혈소판 50000이상유지
IV 확보 : 22G 이상
전 처치 : 필요시 항생제 , 진통제 투여
삽입 후 : Chest PA 하여 위치확인
케모포트의 삽입과정
1. supine position 취함.
2. 삽입부위 부분마취.
3. venous incision site 로 guide catheter를 Rt,atrium 입구까지 삽입
4. port 삽입할 skin 을 1cm incision 한 후 skin 및 0.5~2cm 정도 깊이에 pocket을 만들어 catheter가 부착된 port 삽입 (너무 깊으면 palpation 불가능)
5. catheter를 절개된 피부밑으로 빼내어 guide catheter 통해 Rt.atrium 2cm 위 SVC 말단에 위치하도록
6. dressing 한다.
7. Chest PA 하여 위치확인
케모포트의 삽입 후 관리
1. 시술부위 관찰: oozing bleeding 시 모래주머니 압박
2. Chest PA 촬영 확인 후 사용가능. 필요시 24시간 정도 부위 관찰 후 사용함
3. stich out : 1주일 후 가능, stich out 하기 전까지 소독 필요
4. chemoport needle 교환 및 dressing 주기: 교환:1회/주, 소독:2회/주(tegaderm)
5. heparin flushing
목적: 케모포트를 주기적으로 사용하지 않을 경우 헤파린 희석액을 주입하여 케모포트를 막히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
사용약물: 헤파린100unit/ml 희석액 5ml
시행주기:최소 4주에 1회 시행
chemoport needle removal
물품 : D-set (betadine ball, boric, gauze, 10cc syringe, tegaderm. ns 10cc 들어있는 syringe,
헤파린 희석용액, 소독장갑)
방법: 소독후 ns10cc 주입 -> 헤파린 희석액 주입 -> betadine ball로 needle 삽입부위 소독 ->
인지와 중지를 벌려 portal 고정 후
needle 제거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7.05.01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4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