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존 시조 교육의 문제점
2. ‘상호텍스트성’ 활용 교육
(1) ‘상호텍스트성’의 개념
(2) 필요성 및 효과
(3) 상호텍스트성의 수업 적용 시 유의점
3. 상호텍스트성을 적용한 수업
(1) ‘패러디’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조 문학
(2) 대중문화를 활용한 상호텍스트성 적용 수업
4. 나가기
2. ‘상호텍스트성’ 활용 교육
(1) ‘상호텍스트성’의 개념
(2) 필요성 및 효과
(3) 상호텍스트성의 수업 적용 시 유의점
3. 상호텍스트성을 적용한 수업
(1) ‘패러디’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조 문학
(2) 대중문화를 활용한 상호텍스트성 적용 수업
4. 나가기
본문내용
결과를 낳게 된다. 반대로 고등학생의 수준을 넘어서서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심도 있는 내용으로까지 나아가게 된다면, 그 무게에 질식하고 말 것이다. 이러한 전제 조건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엮어 읽기를 하게 되면 실질적인 지도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감상도 제대로 할 수 없다. 그렇게 되면 학습의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없게 된다.
3. 상호텍스트성을 적용한 수업
(1) ‘패러디’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조 문학
상호텍스트성의 대표적인 양식 가운데 하나는 ‘패러디’이다. 패러디란 용어가 우리나라에 들어 온 것은 현대로 접어들어서이지만, 서구에서 패러디가 유행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시조에서도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패러디가 등장하였다. 이는 사설시조가 유행하던 조선 후기에 나타난 현상으로, 평시조가 담고 있는 효용적 가치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며 풍자하거나 조소하는 사설시조가 등장하게 된다. 말하자면 이들은 유사한 주제나 소재를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그것의 주지는 서로 다른데 있게 된다.
다음에 제시된 작품은 고산 윤선도의 연시조 <오우가>의 제1수와 이것을 패러디 한 것으로 알려진 사설시조 이다. 두 작품은 ‘오우(五友)’라고 하는 가치에 대하여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인 사대부와 서민의 의식이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는지, 또 패러디하여 자신들의 지향을 나타내는 의도 속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감상의 초점이 놓이게 된다.
내버디 몃치나니 水石과 松竹이라
東山의 달오르니 긔 더욱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밧긔 또 더야 머엇리. - <오우가> 1수
아니 땔지라도 졀노 닉는 솟과
여무
3. 상호텍스트성을 적용한 수업
(1) ‘패러디’의 관점에서 바라본 시조 문학
상호텍스트성의 대표적인 양식 가운데 하나는 ‘패러디’이다. 패러디란 용어가 우리나라에 들어 온 것은 현대로 접어들어서이지만, 서구에서 패러디가 유행한 것과 비슷한 시기에 시조에서도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패러디가 등장하였다. 이는 사설시조가 유행하던 조선 후기에 나타난 현상으로, 평시조가 담고 있는 효용적 가치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며 풍자하거나 조소하는 사설시조가 등장하게 된다. 말하자면 이들은 유사한 주제나 소재를 대상으로 삼고 있지만 그것의 주지는 서로 다른데 있게 된다.
다음에 제시된 작품은 고산 윤선도의 연시조 <오우가>의 제1수와 이것을 패러디 한 것으로 알려진 사설시조 이다. 두 작품은 ‘오우(五友)’라고 하는 가치에 대하여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인 사대부와 서민의 의식이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는지, 또 패러디하여 자신들의 지향을 나타내는 의도 속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있는지를 파악하는데 감상의 초점이 놓이게 된다.
내버디 몃치나니 水石과 松竹이라
東山의 달오르니 긔 더욱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밧긔 또 더야 머엇리. - <오우가> 1수
아니 땔지라도 졀노 닉는 솟과
여무
추천자료
고전문학의 이해 제석본 풀이
고전문학 화소분석 - 춘향전
고전문학 화소분석 - 홍길동전
춘향전이 최고의 고전문학인 이유
[한국고전문학] 가사문학에 나타난 여성의 연정표출
[고전문학] 우리문학사에 우화가 미치는 영향 - 우화소설을 중심으로
[고전문학]금오신화 - 용궁부연록 연구사
[고전문학] 영웅좌절담류 비극소설의 특징과 계보파악을 위한 시론
[과외]중학 국어 3-2학기 기말 4단원 고전문학의 감상 기출문제(교사용)
고전문학감상문- 구운몽,홍길동전,심훈의상록수,손창섭의비오는날 감상문
고전문학 각색 - 선녀와 나무꾼-
고전문학의 흐름 - 시가 문학을 중심으로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정중점,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고등학교...
[국문학A+]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 고전문학에 나타난 이물교혼 분석 및 한·중 이물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