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육종의 성과
2.개화유도
3.육종 방법
4.꽃차례
5. 과종에 따른 육종 장/단점
2.개화유도
3.육종 방법
4.꽃차례
5. 과종에 따른 육종 장/단점
본문내용
품종과 집단적으로 비교 선발하는 것 , 우수한 유전적 변이성을 유지 보존하는 것 ,
모든 환경 조건하에서 안전하게 적응할 수 있는 여부 검정
@돌연변이 이용
@배수성 이용에 의한 육종 : 목화를 콜히친으로 처리하여 4뱌체 6배체 8배체를 얻음
콜히친 처리법은 선단의 분열조직을 0.2%의 콜히친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는데 처리주의 10~55%의
배수성인 가지가 생긴다
@잡종강세의 이용
※콩기상생태형
꽃이 피는 시기가 빠른 것을 여름콩, 늦게 피는 것을 가을콩, 그 중간인것을 중간콩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 여름콩은 평야지대 또는 그와 가까운 지역에 봄에 심어 늦은 여름이나 초가을에 수확하는데 대체로 알맹이가 크고 부드러우며 색깔이 있다. 대체로 밥밑콩이나 풋콩으로 이용된다. 중간 콩은 북부지대나 산간지대에서 늦봄에 파종하여 가을에 수확하며, 평야지대에서는 비교적 조숙종이 재배된다. 가을 콩은 중남부 평야지대에서 맥후작으로 여름에 파종하여 늦가을에 수확하는데 우리나라의 주요품종은 대개 중간형과 가을콩들이 많다.
※옥수수 열매 모양과 성질
① 마치종은 성숙한 씨알의 표면이 움푹하게 들어가 말의 이빨처럼 된다. 성숙기가 늦고 이삭이 굵어 수량이 많다. 사료 및 공업용에 알맞다.
② 경립종은 씨알 윗부분이 둥글고 대부분 각질(角質)이며 이삭과 씨알이 마치종보다 작고 수량이 떨어지나 맛이 좋아서 식용으로 주로 재배되어 왔다.
③ 감미종은 씨알 전체가 반투명인 각질로 되어 있고 여문 후에는 쭈글쭈글해진다. 조생이며 단맛이 강하고 연하여 식용 및 통조림용으로 이용된다.
④ 폭립종은 씨알이 거의 각질이고 잘며 식용으로는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지만 팝콘으로 이용하기에 알맞다.
⑤ 연립종은 연질로서 각질은 배젖 주위에 극히 얇은 층이 있거나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⑥ 연감종은 연립종과 감미종의 중간성질을 가진 것으로 아메리카의 일부에서 재배된다.
⑦ 나종은 납질종(蠟質種)이라고도 하며 찰옥수수라 하는 것으로 씨알이 납질 모양으로 반투명에 가깝고 찰기가 있어 떡을 만들기에 알맞다. 아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⑧ 유부종은 씨알 하나 하나가 모두 껍질에 싸여 있는 것으로 별로 재배되지 않는다. 한국에서의 옥수수 품종은 미국에서 도입된 합성품종인 황옥1호■황옥2호■황옥3호, 그리고 잡종인 복교1호■복교2호 등이 보급된 바 있으나, 최근에는 단교잡종인 수원19호■수원20호■수원21호■홍성옥■제천옥■광옥 등이 육성되어 장려 품종으로 보급되고 있다.
※벼육종의 기본방향
초형의 개량
직접 엽면적 확보
광합성 능력 증대
물질 전이 능력
단위 면적당 수술증가
수당입수 증가
미립조기의 증가
병해충 저항성 광지역성
내재해성(한발 염해)기계화적응성
쌀의 모양 도정특성 밥맛
저단백질 저아미노산
(1)벼의 교잡육종법
계통육종법 (계통으로 선발하고 심는 것)
1.교배모본의 선정(육종 목표에따라 다름)
*유전자 관계로 본 모본 선정 -내병성 내충성 내냉성 유전자가 어찌 작용하는가이다
품정 보존보고 병이강하거나 내충성과 내냉성에 강한 것을 보고 다른 품종과 교잡하는 것
암
모든 환경 조건하에서 안전하게 적응할 수 있는 여부 검정
@돌연변이 이용
@배수성 이용에 의한 육종 : 목화를 콜히친으로 처리하여 4뱌체 6배체 8배체를 얻음
콜히친 처리법은 선단의 분열조직을 0.2%의 콜히친 수용액에 24시간 침지하는데 처리주의 10~55%의
배수성인 가지가 생긴다
@잡종강세의 이용
※콩기상생태형
꽃이 피는 시기가 빠른 것을 여름콩, 늦게 피는 것을 가을콩, 그 중간인것을 중간콩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 여름콩은 평야지대 또는 그와 가까운 지역에 봄에 심어 늦은 여름이나 초가을에 수확하는데 대체로 알맹이가 크고 부드러우며 색깔이 있다. 대체로 밥밑콩이나 풋콩으로 이용된다. 중간 콩은 북부지대나 산간지대에서 늦봄에 파종하여 가을에 수확하며, 평야지대에서는 비교적 조숙종이 재배된다. 가을 콩은 중남부 평야지대에서 맥후작으로 여름에 파종하여 늦가을에 수확하는데 우리나라의 주요품종은 대개 중간형과 가을콩들이 많다.
※옥수수 열매 모양과 성질
① 마치종은 성숙한 씨알의 표면이 움푹하게 들어가 말의 이빨처럼 된다. 성숙기가 늦고 이삭이 굵어 수량이 많다. 사료 및 공업용에 알맞다.
② 경립종은 씨알 윗부분이 둥글고 대부분 각질(角質)이며 이삭과 씨알이 마치종보다 작고 수량이 떨어지나 맛이 좋아서 식용으로 주로 재배되어 왔다.
③ 감미종은 씨알 전체가 반투명인 각질로 되어 있고 여문 후에는 쭈글쭈글해진다. 조생이며 단맛이 강하고 연하여 식용 및 통조림용으로 이용된다.
④ 폭립종은 씨알이 거의 각질이고 잘며 식용으로는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지만 팝콘으로 이용하기에 알맞다.
⑤ 연립종은 연질로서 각질은 배젖 주위에 극히 얇은 층이 있거나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⑥ 연감종은 연립종과 감미종의 중간성질을 가진 것으로 아메리카의 일부에서 재배된다.
⑦ 나종은 납질종(蠟質種)이라고도 하며 찰옥수수라 하는 것으로 씨알이 납질 모양으로 반투명에 가깝고 찰기가 있어 떡을 만들기에 알맞다. 아시아에 분포되어 있다.
⑧ 유부종은 씨알 하나 하나가 모두 껍질에 싸여 있는 것으로 별로 재배되지 않는다. 한국에서의 옥수수 품종은 미국에서 도입된 합성품종인 황옥1호■황옥2호■황옥3호, 그리고 잡종인 복교1호■복교2호 등이 보급된 바 있으나, 최근에는 단교잡종인 수원19호■수원20호■수원21호■홍성옥■제천옥■광옥 등이 육성되어 장려 품종으로 보급되고 있다.
※벼육종의 기본방향
초형의 개량
직접 엽면적 확보
광합성 능력 증대
물질 전이 능력
단위 면적당 수술증가
수당입수 증가
미립조기의 증가
병해충 저항성 광지역성
내재해성(한발 염해)기계화적응성
쌀의 모양 도정특성 밥맛
저단백질 저아미노산
(1)벼의 교잡육종법
계통육종법 (계통으로 선발하고 심는 것)
1.교배모본의 선정(육종 목표에따라 다름)
*유전자 관계로 본 모본 선정 -내병성 내충성 내냉성 유전자가 어찌 작용하는가이다
품정 보존보고 병이강하거나 내충성과 내냉성에 강한 것을 보고 다른 품종과 교잡하는 것
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