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히 많다.
◇ 정규적인 시력검사 시기
① 출생 직후(감염, 손상이나 기형의 유무 검사)
② 2.5~5세(취학 전에 사시 등 발견)
③ 10세 때와 청년전기
④ 청년기에는 매 5년마다
⑤ 40세 이후에는 매 2년 반마다(나이가 들면 시력장애의 빈도가 높고 수정체의 탄력성이 감소함)
⑥ 그 외 안증상이 나타날 경우(가족 중 녹내장의 병력이 있으면 매년 안압 측정)
◇ 시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안전 수칙과 규정된 법을 잘 지키도록 한다.
(자동차-안전유리 부착, 사업장-보호용 안경, 운동장비에 관한 안전수칙, 야구선수의 보호용 마스크 등)
② 총이나 화살 등의 위험한 장난감, 불장난을 금한다.
③ 소아의 사시의 조기 발견과 치료 : 융합기능이 완정되는 6세 이전에 치료
④ 학교에서 정규적인 시력 검사
⑤ 눈의 이상 증상에 대한 조기상담과 치료
⑥ 신생아 출생 시에 적절한 점적 약 투여 : 신생아 농루안(ophalomia neonatrum)의 예방
⑦ 임신 중의 정기적인 매독(syphilis) 반응 검사
⑧ 풍진(rubella)에 대한 예방 접종 : 임신초기에 풍진감염을 태아의 안구혈성에 장애 초래, 출생 후 선천성 백내장(congenital cataract) 일으킴
⑨ 미숙아에게 산소 주입 시 적절한 양의 유지 : 수정체 섬유증식증(hyperfibrosis of crystalline lens) 유발
⑩ 안손상이나 안염(ophthalmia)의 적절한 치료
4) 안질환자 간호 시 주의사항
① 눈을 만지기 전후 손을 씻고 교차 감염이 오지 않게 주의한다. 양눈에 찜질을 할 경우에는 각각의 눈에 별개의 기구를 쓰도록 한다.
② 눈의 드레싱을 교환할 때는 안구에 심한 압력이 가지 않게 한다. 안구적출, 망막박리(detachment of the retina) 유착술 및 눈꺼풀 수술 후에 압력붕대는 의상의 지시에 따라 사용한다. 안구 내 처치 시 눈의 기능이 위축되므로 자세한 설명과 심리적 간호로 협조를 얻도록 한다.
③ 최대한으로 눈을 보호하도록 한다. 눈을 완전히 감지 못할 때에는 각막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한다.
④ 눈꺼풀이 벌린 경우에는 안구에 직접 손이 닿지 않도록 하고 상하 안와의 가장자리를 눌러 눈꺼풀을 벌린다.
⑤ 눈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약물은 따로 보관한다.
⑥ 환자에게 허용된 활동과 금하는 활동을 상세히 알려주고 그 내용을 기록하여 환자의 침대머리 맡에 부착해 준다.
⑦ 시력장애자를 위한 상담과 재활기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시기에 의뢰한다.
⑧ 일시적으로 눈에 안대를 한 환자를 포함해서 맹인이나 시력장애자에게 안전규칙을 알려준다.
⑨ 눈에는 소독된 물품만을 사용하도록 한다.
⑩ 눈을 치료할 때에는 조명을 적절히 하나 직접 환자의 눈에 조명을 비추지 않도록 한다. 수명이 있는 환자의 방은 간접 조명으로 해준다.
⑪ 환자가 환측 눈 드레싱이나 안대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한다. 드레싱을 교환할 때는 간호사를 부르도록 한다.
⑫ 양눈을 가리고 있거나 시력자애가 있는 사람의 지남력 상실을 최대한으로 예방한다.
⑬ 시력장애는 전문적인 진찰과 치료를 받도록 격려한다.
5) 눈과 관련된 일반적 간호법
(1) 쌍눈꺼풀 개검법
- 쌍눈꺼풀쪽의 결막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① 환자에게 아래쪽을 보도록 한다.
② 가만히 눈을 감도록 한다.
③ 엄지와 검지로 상눈꺼풀을 잡고 면봉을 상눈꺼풀의 위로 대고 뒤집는다.
④ 눈꺼풀을 벌린 후 엄지와 검지로 눈꺼풀을 뒤집는다.
(2) 세안법
- 목적 : 결막 내 분비물의 제거, 소독, 살균, 진통 및 이물 제거
* 준비물품 : 세안용액, 부드러운 고무 밸브가 있는 주사기
(화상-정맥수액세트와 흘러내리는 용액을 담을 용기)
① 세안하는 쪽으로 약간 고개를 숙이고 앉거나 눕도록 한다.
② 환자의 목으로 용액이 흐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턱에 마른 솜이나 깨끗한 타올 받침
③ 내측 눈 가장자리에서 외측 눈 가장자리로 용액을 부어 안구 내를 씻어내도록 한다.
: 너무 센 압력을 주어서는 안 됨
④ 눈에 서 분비물이 없어질 때까지 여러 번 세안 후 소독된 마른 솜으로 눈을 조심스럽게 닦는다.
(3) 점안법
① 약물 점안 전에 환자에게 점안 방법과 목적을 설명한다.
② 점안 시에 사용할 점적기와 약물은 완전 소독되어야 한다.
③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눈은 위를 보게 한다.
④ 약물이 용액인 경우에는 눈 외측에 손을 고정시키고 점적기를 하결막낭 위에 오게 한 다음 각만, 결막, 눈썹, 눈꺼풀에 닿지 않게 점적한다. 연고는 노출된 결막과 평행되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어준다.
⑤ 가만히 눈을 감게 하고 내측 눈가장자리를 눌러준다. 약물이 누관으로 흡수되면 전신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⑥ 흘러넘치는 약물은 깨끗한 젖은 수건으로 눈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살짝 닦아주어 누관의 오염을 막는다.
* 약물 점안 시 주의사항
- 의상의 지시 없이 함부로 눈에 약을 주입하지 않도록
- 약품의 유효기간 및 약물의 혼탁, 변생, 침전물 여부 관찰
- 무균법을 철저히 지키도록
- 약물점적 시 사용법을 익힘 : 하나의 점적기에 2종 이상의 약물을 병요하지 않기
점적기에 약물을 넣은 채로 약병에 다시 넣지 않기
(4) 더운물 찜질
- 국소에 혈액순환의 증가로 소염 및 진통효과
- 표재성 염증, 홍채염(iritis) 같은 심부의 염증, 눈꺼풀염(eyeliditis) 치료에 사용
* 준비물품 : 여러 겹의 거즈, 소독된 대야, 타올 1장, 45~50℃의 더운물
① 환자는 앉거나 눕도록 한다.
② 환자의 가슴을 수건으로 덮는다.
③ 7~8겹의 거즈를 더운물에 적셔 30~60초 간격으로 15~20분간 눈을 감도록 하고 올려놓는다.
④ 적어도 하루 4회 시행한다.
☞ 물이 너무 뜨거워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
환자의 손은 감염을 막기 위해 등 뒤에 놓도록
(5) 찬물찜질
- 혈관의 수축으로 부종, 통증, 소양감 감소, 출혈 예방
→ 세균의 성장 억제하여 감염 예방
- 염증성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conjunctivitis), 안손상, 안수술에 사용
(심부안염증에 금기 : 혈관수축으로 망막의 영양공급 차단시킴)
① 환자에게 순서를 설명하고
◇ 정규적인 시력검사 시기
① 출생 직후(감염, 손상이나 기형의 유무 검사)
② 2.5~5세(취학 전에 사시 등 발견)
③ 10세 때와 청년전기
④ 청년기에는 매 5년마다
⑤ 40세 이후에는 매 2년 반마다(나이가 들면 시력장애의 빈도가 높고 수정체의 탄력성이 감소함)
⑥ 그 외 안증상이 나타날 경우(가족 중 녹내장의 병력이 있으면 매년 안압 측정)
◇ 시력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
① 안전 수칙과 규정된 법을 잘 지키도록 한다.
(자동차-안전유리 부착, 사업장-보호용 안경, 운동장비에 관한 안전수칙, 야구선수의 보호용 마스크 등)
② 총이나 화살 등의 위험한 장난감, 불장난을 금한다.
③ 소아의 사시의 조기 발견과 치료 : 융합기능이 완정되는 6세 이전에 치료
④ 학교에서 정규적인 시력 검사
⑤ 눈의 이상 증상에 대한 조기상담과 치료
⑥ 신생아 출생 시에 적절한 점적 약 투여 : 신생아 농루안(ophalomia neonatrum)의 예방
⑦ 임신 중의 정기적인 매독(syphilis) 반응 검사
⑧ 풍진(rubella)에 대한 예방 접종 : 임신초기에 풍진감염을 태아의 안구혈성에 장애 초래, 출생 후 선천성 백내장(congenital cataract) 일으킴
⑨ 미숙아에게 산소 주입 시 적절한 양의 유지 : 수정체 섬유증식증(hyperfibrosis of crystalline lens) 유발
⑩ 안손상이나 안염(ophthalmia)의 적절한 치료
4) 안질환자 간호 시 주의사항
① 눈을 만지기 전후 손을 씻고 교차 감염이 오지 않게 주의한다. 양눈에 찜질을 할 경우에는 각각의 눈에 별개의 기구를 쓰도록 한다.
② 눈의 드레싱을 교환할 때는 안구에 심한 압력이 가지 않게 한다. 안구적출, 망막박리(detachment of the retina) 유착술 및 눈꺼풀 수술 후에 압력붕대는 의상의 지시에 따라 사용한다. 안구 내 처치 시 눈의 기능이 위축되므로 자세한 설명과 심리적 간호로 협조를 얻도록 한다.
③ 최대한으로 눈을 보호하도록 한다. 눈을 완전히 감지 못할 때에는 각막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한다.
④ 눈꺼풀이 벌린 경우에는 안구에 직접 손이 닿지 않도록 하고 상하 안와의 가장자리를 눌러 눈꺼풀을 벌린다.
⑤ 눈에 사용해서는 안 되는 약물은 따로 보관한다.
⑥ 환자에게 허용된 활동과 금하는 활동을 상세히 알려주고 그 내용을 기록하여 환자의 침대머리 맡에 부착해 준다.
⑦ 시력장애자를 위한 상담과 재활기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시기에 의뢰한다.
⑧ 일시적으로 눈에 안대를 한 환자를 포함해서 맹인이나 시력장애자에게 안전규칙을 알려준다.
⑨ 눈에는 소독된 물품만을 사용하도록 한다.
⑩ 눈을 치료할 때에는 조명을 적절히 하나 직접 환자의 눈에 조명을 비추지 않도록 한다. 수명이 있는 환자의 방은 간접 조명으로 해준다.
⑪ 환자가 환측 눈 드레싱이나 안대에 손을 대지 않도록 한다. 드레싱을 교환할 때는 간호사를 부르도록 한다.
⑫ 양눈을 가리고 있거나 시력자애가 있는 사람의 지남력 상실을 최대한으로 예방한다.
⑬ 시력장애는 전문적인 진찰과 치료를 받도록 격려한다.
5) 눈과 관련된 일반적 간호법
(1) 쌍눈꺼풀 개검법
- 쌍눈꺼풀쪽의 결막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① 환자에게 아래쪽을 보도록 한다.
② 가만히 눈을 감도록 한다.
③ 엄지와 검지로 상눈꺼풀을 잡고 면봉을 상눈꺼풀의 위로 대고 뒤집는다.
④ 눈꺼풀을 벌린 후 엄지와 검지로 눈꺼풀을 뒤집는다.
(2) 세안법
- 목적 : 결막 내 분비물의 제거, 소독, 살균, 진통 및 이물 제거
* 준비물품 : 세안용액, 부드러운 고무 밸브가 있는 주사기
(화상-정맥수액세트와 흘러내리는 용액을 담을 용기)
① 세안하는 쪽으로 약간 고개를 숙이고 앉거나 눕도록 한다.
② 환자의 목으로 용액이 흐르는 것을 피하기 위해 턱에 마른 솜이나 깨끗한 타올 받침
③ 내측 눈 가장자리에서 외측 눈 가장자리로 용액을 부어 안구 내를 씻어내도록 한다.
: 너무 센 압력을 주어서는 안 됨
④ 눈에 서 분비물이 없어질 때까지 여러 번 세안 후 소독된 마른 솜으로 눈을 조심스럽게 닦는다.
(3) 점안법
① 약물 점안 전에 환자에게 점안 방법과 목적을 설명한다.
② 점안 시에 사용할 점적기와 약물은 완전 소독되어야 한다.
③ 환자의 머리를 뒤로 젖히고 눈은 위를 보게 한다.
④ 약물이 용액인 경우에는 눈 외측에 손을 고정시키고 점적기를 하결막낭 위에 오게 한 다음 각만, 결막, 눈썹, 눈꺼풀에 닿지 않게 점적한다. 연고는 노출된 결막과 평행되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넣어준다.
⑤ 가만히 눈을 감게 하고 내측 눈가장자리를 눌러준다. 약물이 누관으로 흡수되면 전신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⑥ 흘러넘치는 약물은 깨끗한 젖은 수건으로 눈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살짝 닦아주어 누관의 오염을 막는다.
* 약물 점안 시 주의사항
- 의상의 지시 없이 함부로 눈에 약을 주입하지 않도록
- 약품의 유효기간 및 약물의 혼탁, 변생, 침전물 여부 관찰
- 무균법을 철저히 지키도록
- 약물점적 시 사용법을 익힘 : 하나의 점적기에 2종 이상의 약물을 병요하지 않기
점적기에 약물을 넣은 채로 약병에 다시 넣지 않기
(4) 더운물 찜질
- 국소에 혈액순환의 증가로 소염 및 진통효과
- 표재성 염증, 홍채염(iritis) 같은 심부의 염증, 눈꺼풀염(eyeliditis) 치료에 사용
* 준비물품 : 여러 겹의 거즈, 소독된 대야, 타올 1장, 45~50℃의 더운물
① 환자는 앉거나 눕도록 한다.
② 환자의 가슴을 수건으로 덮는다.
③ 7~8겹의 거즈를 더운물에 적셔 30~60초 간격으로 15~20분간 눈을 감도록 하고 올려놓는다.
④ 적어도 하루 4회 시행한다.
☞ 물이 너무 뜨거워 화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
환자의 손은 감염을 막기 위해 등 뒤에 놓도록
(5) 찬물찜질
- 혈관의 수축으로 부종, 통증, 소양감 감소, 출혈 예방
→ 세균의 성장 억제하여 감염 예방
- 염증성이나 알레르기성 결막염(conjunctivitis), 안손상, 안수술에 사용
(심부안염증에 금기 : 혈관수축으로 망막의 영양공급 차단시킴)
① 환자에게 순서를 설명하고
추천자료
활력징후 실습레포트 (기본간호학)
개인위생 실습보고서(기본간호학)
신생아 초기 간호 및 신생아실Emergency 약물
정신분열증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정상 신생아의 특징과 간호
[논문] 아동의 유전성 질병과 간호중재
산업장실습 - 가족간호사례
hydrocephalus 의 증상과 간호
[환자사례 간호과정] 간성뇌증 ; 간성뇌증 (Hepatic encephalopathy) 케이스
방통대 3학년 1학기 기초간호과학
입원 아동 간호 (위생, 안전, 검사물 수집) A+
고령화 시대에 요구되는 가정간호의 중요성 및 문제점과 그에 따른 제언
입원 아동 간호- 1. 위생 2. 안전 3. 검사물 수집
방통대중간과제물 당뇨환자 식이요법 성인간호학 당뇨 합병증과 운동요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