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학대] 노인학대 원인, 현황, 노인학대의 예방 및 정책방안 - 노인학대 원인, 현황, 예방 : 노인학대 원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학대] 노인학대 원인, 현황, 노인학대의 예방 및 정책방안 - 노인학대 원인, 현황, 예방 : 노인학대 원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인학대의 개념

2. 노인학대의 유형
1) 신체적 학대
2) 정서적 학대
3) 성적학대
4) 경제적 학대
5) 방임적 학대

3. 노인학대의 원인
1) 개인적 요인
2) 가족 상황적 요인
3) 사회 문화적 요인
4) 국가 정책적 요인

4. 노인학대의 현황

5. 노인학대의 예방 및 정책방안

< 참고자료 >

본문내용

32
463
1,669
정서적 학대
2,730
652
2,078
성적학대
91
9
82
경제적학대
491
141
350
방임
778
253
525
자기방임
523
221
302
유기
66
30
36
(자료: 보건복지부, 2017)
⑨ 신고의무자 대상 노인학대 예방교육실시 현황
< 신고의무자 대상 노인학대 예방교육실시 현황 (2016년) >
교육대상별
횟수 (회)
비율 (%)

2,044
100.0
의료인
85
4.2
노인관련시설종사자
1,443
70.6
장애인시설(장애노인 상담)종사자
22
1.1
가정폭력상담기관 종사자
23
1.1
사회복지전담공무원
47
2.3
사회복지관 및 노숙인시설 종사자
50
2.4
구급대의 대원
29
1.4
재가장기요양기관 종사자
309
15.1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
14
0.7
방문요양서비스종사자
16
0.8
다다문화가족지원센터종사자
1
0.0
성폭력피해상담소, 보호시설 종사자
4
0.2
응급구조사
1
0.0
의료기사
0
0.0
(자료: 보건복지부, 2017)
⑩ 비신고의무자 대상 노인학대 예방교육실시 현황
< 비신고의무자 대상 노인학대 예방교육실시 현황 (2016년) >
교육대상별(1)
교육대상별(2)
교육대상별(3)
회수 (회)
비율 (%)

소계
소계
5,029
100.0
비신고의무자
소계
소계
2,985
59.4
일반인
소계
2,615
52.0
미취학
247
4.9
학생
382
7.6
미취학, 학생
-
0.0
성인, 중·장년
168
3.3
노인
1,818
36.2
관련기관 종사자
-
-
지킴이 및 자원봉사자
-
-
관련기관 종사자
소계
202
4.0
관공서
24
0.5
경찰서
84
1.7
사회복지관련기관
58
1.2
기타관련기관
36
0.7
지킴이 및 자원봉사자
소계
168
3.3
기타
소계
-
-
신고의무자
소계
소계
2,044
40.6
(자료: 보건복지부, 2017)
⑪ 노인 학대 상담횟수
< 노인 학대/일반 상담횟수 > (단위: 회)
상담별
2012
2013
2014
2015
2016

75,672
79,457
82,749
91,830
98,932
학대상담
65,294
68,280
71,889
78,368
82,468
일반상담
10,378
11,177
10,860
13,462
16,464
(자료: 보건복지부, 2017)
5. 노인학대의 예방 및 정책방안
①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전환 및 신고의식 강화
노인학대의 발생률이 상당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윤리사상과 관습 등으로 인해 노인학대가 사회적으로 노출이 많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 실상에 비해 노인학대를 중대한 사회문제로 보는 인식이 저조하다. 또한 노인학대의 신고율이 저조하다. 따라서 노인학대에 대한 국민의 인식전환 및 신고의식의 강화 등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대중매체 등을 통한 노인학대에 대한 홍보·계몽을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김형수, 2009).
② 재가 복지 서비스 강화
신체적 학대와 같은 심각하고 급박한 상황에서 가족으로부터 보호를 원하는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피신해서 머물 장소이며 심각한 노인학대 시에는 노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재가 복지 서비스를 좀 더 강화해 나아갈 필요가 있다(김홍희, 2014).
③ 가족 전체에 대한 지원서비스가 필요
노인에 대한 부양을 가족에게만 전담시킬 것이 아니라 그 부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가족지원서비스가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학대의 가해는 한 사람에 의해서만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가족들에 의해서 행해지기도 하므로 가족 전체에 대한 지원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김홍희, 2014).
④ 가족관계 유지·회복을 위한 상담서비스 및 치료프로그램 제공
많은 노인학대가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의 문제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가족유대감은 노인학대의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실태조사에 의하면 가족유대감이 낮을 경우 노인학대 발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유대감이 높을 경우 노인학대 발생률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학대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족원 간의 원많한 유대관계가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관련기관을 통해 가족관계유지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가족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가족을 위해서는 이들 가족의 관계를 회복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담서비스 및 치료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김형수, 2009).
⑤ 피해자 측면, 가해자 측면 다양한 치료 및 사회적 서비스 체계 구축
피해자 측면에서는 학대노인을 위한 쉼터 및 보호시설의 증설과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현실화를 통하여 피해자를 위한 사후 개입의 현장을 확보하는 것이다. 한편 노인학대 가해자의 개인적, 정신 병리학적 요인이나 사회 심리적요인 등을 파악하여 피해자와 마찬가지로 가해자의 치료를 돕는 구체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가 필요하다(띵리ⓙ, 2014).
⑥ 노인들이 건강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시행할 필요 있다.
노인의 건강상태는 모든 학대에 부(否)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한편 노인의 건강상태 유지는 노인들 본인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서도 필수적인 요인이다. 따라서 노인들이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의료적인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들이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요가, 수영, 탁구, 헬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를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신예진, 2009).
【 참고자료 】
권중돈(2012)「인권과 노인복지실천」학지사
김마태(2007)「노인학대 인식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형수(2009)「노인학대에 대한 문제와 정책방안」光神論壇, Vol.18 No.-
김홍희(2014)「노인의 학대경험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띵리ⓙ(2014)「한국과 중국의 노인학대 가정폭력의 실태 및 대응정책 연구」호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예진(2009)「노인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상호(2005)「재가 노인의 의존상과 학대 관계 연구」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7.07.27
  • 저작시기201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0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