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자이로의 원리
- 강직성(Rigidity)
- 섭동성(Precession)
2. 자이로 회전자 동력원
- 진공 계통(Vacuum System)
-) 벤튜리 계통
-) 진공 펌프 계통
- 공기압 계통
- 전기 계통
3. 방향 자이로 지시계(Directional Gyro Indicator)
- 공기 구동식 자이로 자립 장치
- 전기 구동식 자이로의 자립 장치
4. 선회 경사계(Turn & Bank Indicator)
- 선회계
- 경사계
III. 결론
IV. 참고 문헌
II. 본론
1. 자이로의 원리
- 강직성(Rigidity)
- 섭동성(Precession)
2. 자이로 회전자 동력원
- 진공 계통(Vacuum System)
-) 벤튜리 계통
-) 진공 펌프 계통
- 공기압 계통
- 전기 계통
3. 방향 자이로 지시계(Directional Gyro Indicator)
- 공기 구동식 자이로 자립 장치
- 전기 구동식 자이로의 자립 장치
4. 선회 경사계(Turn & Bank Indicator)
- 선회계
- 경사계
III.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면 자유도가 3인 3축 자이로이며 정침의(directional gyro)와 인공 수평의(gyro horizon 또는 vertical gyro)에 사용된다. 3축 중 한축이 고정된 자이로를 자유도가 2인 2축 자이로라 하며 선회계(trun indicator)에 사용 된다.
더 자세히 자이로 계기를 알아보겠다.
본론
1. 자이로의 원리
- 강직성(Rigidity)
자이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이로 회전자 축은 우주 공간에 대하여 계속 일정 방향으로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을 강직성이라 하는데, 자이로 회전자의 질량이 클수록, 자이로 회전자의 회전이 빠를수록 강하다.
적도상의 한 지점에 자이로의 회전축을 두고 24시간 동안 관찰해 이것을 지상에서 관찰하고 있으면 자이로의 회전축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24시간 후에는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 섭동성(Precession)
관성모멘트 I를 갖고 w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자이로가 회전하고 있을 때 회전자의 앞면에 F라는 힘을 가하면, 가한 점으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90도 진행된 점에 P의 힘이 가해진 것과 같은 작용을 하여 회전축은 위와 아래로 움직인다.
2. 자이로의 회전자의 동력원
강직성과 섭동성을 나타내려면 자이로 회전자는 고속으로 계속 회전해야 하는데, 자이로 회전자의 회전 동력원으로는 진공계통, 공기압 계통, 전기 계통 등이 있다.
- 진공 계통(Vacuum System)
-) 벤튜리 계통
벤튜리관 목 부분의 부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시킨다. 동력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벤튜리 관이 직접 외부공기와 닿기
더 자세히 자이로 계기를 알아보겠다.
본론
1. 자이로의 원리
- 강직성(Rigidity)
자이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이로 회전자 축은 우주 공간에 대하여 계속 일정 방향으로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성질을 강직성이라 하는데, 자이로 회전자의 질량이 클수록, 자이로 회전자의 회전이 빠를수록 강하다.
적도상의 한 지점에 자이로의 회전축을 두고 24시간 동안 관찰해 이것을 지상에서 관찰하고 있으면 자이로의 회전축은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24시간 후에는 원위치로 되돌아온다.
- 섭동성(Precession)
관성모멘트 I를 갖고 w의 각속도로 회전하는 자이로가 회전하고 있을 때 회전자의 앞면에 F라는 힘을 가하면, 가한 점으로부터 회전 방향으로 90도 진행된 점에 P의 힘이 가해진 것과 같은 작용을 하여 회전축은 위와 아래로 움직인다.
2. 자이로의 회전자의 동력원
강직성과 섭동성을 나타내려면 자이로 회전자는 고속으로 계속 회전해야 하는데, 자이로 회전자의 회전 동력원으로는 진공계통, 공기압 계통, 전기 계통 등이 있다.
- 진공 계통(Vacuum System)
-) 벤튜리 계통
벤튜리관 목 부분의 부압을 이용하여 공기를 배출시킨다. 동력이 필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벤튜리 관이 직접 외부공기와 닿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