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서론
왜 금기인가?
금기란?
- 금기는
Ⅰ 금기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
Ⅱ. 금기가 개인에 미치는 영향
Ⅲ. 금기의 보편적 질서 형성의 매커니즘과 징벌적 속성
- 결론
타파해야할 금기
-참고문헌
왜 금기인가?
금기란?
- 금기는
Ⅰ 금기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
Ⅱ. 금기가 개인에 미치는 영향
Ⅲ. 금기의 보편적 질서 형성의 매커니즘과 징벌적 속성
- 결론
타파해야할 금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는 사회에서 권력 관계가 수립되는 중요한 방식 중 하나가 되었다. 일단 비정상과 그 반대의 정상이 규정되면 거기에선 언제나 정상인이 비정상인에게 권력을 휘두르게 되어 있다. 그 권력은 금기를 파괴하는 자에게 징벌로서 응징한다. 금기가 비록 개인적인 곳에 머무른다 하더라도 금기가 깨지면 그 결과는 집단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개인과 사회와의 관계는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작용한다. 그러므로 금기를 위반함으로써 공동체의 질서를 파괴하는 행위는 가차 없는 형벌이 가해진다.
-결론
우리는 금기를 깨는 것을 두려워한다. 격리되거나, 손가락질을 받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은 다가올 아노미이다. 뒤르켐은 사회분업화 과정에 아노미를 대입한다. 그리고 급격하게 바뀐 사회 환경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죽음으로 치닫는 사회를 관리하고 통제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아노미는 실제 없는 현상일 뿐이다. 마치 현장부재증명처럼 권력과 질서의 메커니즘을 교묘히 감추는 알리바이, 상상 속의 동물 인 것이다. 금기는 그 자체가 욕망의 도가니이다. 결핍에 의한 것이든, 그 본연이 생성을 목적으로 하든 금기는 욕망을 낳고, 분열 증식시킬 뿐이다. 우리는 우리의 인습이 자의적이라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금기를 깨는 행위는 어떠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강압적으로 조장되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금기의 발생경로와 확실히 다르다. 또한 금기를 체감했다는 것 자체로도 금기의 억압을 경험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금기를 깨는 것은 당연히 아래로부터일 것이다. \'공동체를 위한\'이라는 그럴싸한 명분임에 불구하고 나와 타인의 인성과 개성과 자유를 옭아매는 금기가 소수의 누군가에게는 참을 수 없는 고통이 된다면 이를 절대적 \'선\'을 위해 강요한다는 건 옳지 않다. 금기가 기능하고 있는 그 ‘안정’에는 권력이 깃들어 있으며 우리를 조용히 혹사하는 체제를 웃음거리로 만들고 실체를 폭로하여 그것을 변화시켜, 완전히 뒤집어엎어 버려야 한다. 민주국가의 핵심은 열린사회다. 열린사회란 무엇을 말하는가. 금기가 없는 사회를 가리킨다. 알아서는 안 되고, 알려고 해서도 안 되며, 말해서도 안 되는 것이 많은 사회는 죽은 민주주의, 즉 폐쇄사회다. 열린사회는 비판과 토론이 자유로운 시민사회로서 공존을 지향하는 사회다. 인간의 존엄성이 지켜지는 사회이며 진영 논리가 지배하는 분열된 사회가 아니라 합리적 논의가 가능한 사회다.
참고문헌
http://sso3208.tistory.com/90 <감시와 처벌사회를 고발한 푸코> [2014.12.6 검색]
http://gspres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175 <금지하는 사회를 금기시하라> [2014.12.6 검색]
http://nermic.tistory.com/m/post/1122# <프로이트와 라캉 정신분석의 이해> [2014.12.6 검색]
http://pilgrimages.tistory.com/119 <스베냐 플라스암러. 우리의 노동은 왜 우울한가> [2014.12.6 검색]
http://blog.naver.com/0117941014?Redirect=Log&logNo=120017271928 <금기라는 이름의 틀>[2014.12.4 검색]
http://blog.naver.com/mind2213?Redirect=Log&logNo=130067739010 <금기의 수수께끼 (성서속의 금기와 인간의 지혜)> [2014.12.4 검색]
http://blog.naver.com/avo3927?Redirect=Log&logNo=100038265740 <금기는 굴레를 돌린다> [2014.12.6 검색]
최창모. 유대교와 이슬람 1장
-결론
우리는 금기를 깨는 것을 두려워한다. 격리되거나, 손가락질을 받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은 다가올 아노미이다. 뒤르켐은 사회분업화 과정에 아노미를 대입한다. 그리고 급격하게 바뀐 사회 환경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죽음으로 치닫는 사회를 관리하고 통제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아노미는 실제 없는 현상일 뿐이다. 마치 현장부재증명처럼 권력과 질서의 메커니즘을 교묘히 감추는 알리바이, 상상 속의 동물 인 것이다. 금기는 그 자체가 욕망의 도가니이다. 결핍에 의한 것이든, 그 본연이 생성을 목적으로 하든 금기는 욕망을 낳고, 분열 증식시킬 뿐이다. 우리는 우리의 인습이 자의적이라는 사실을 직시할 필요가 있다. 금기를 깨는 행위는 어떠한 이데올로기에 의해 강압적으로 조장되어진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금기의 발생경로와 확실히 다르다. 또한 금기를 체감했다는 것 자체로도 금기의 억압을 경험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금기를 깨는 것은 당연히 아래로부터일 것이다. \'공동체를 위한\'이라는 그럴싸한 명분임에 불구하고 나와 타인의 인성과 개성과 자유를 옭아매는 금기가 소수의 누군가에게는 참을 수 없는 고통이 된다면 이를 절대적 \'선\'을 위해 강요한다는 건 옳지 않다. 금기가 기능하고 있는 그 ‘안정’에는 권력이 깃들어 있으며 우리를 조용히 혹사하는 체제를 웃음거리로 만들고 실체를 폭로하여 그것을 변화시켜, 완전히 뒤집어엎어 버려야 한다. 민주국가의 핵심은 열린사회다. 열린사회란 무엇을 말하는가. 금기가 없는 사회를 가리킨다. 알아서는 안 되고, 알려고 해서도 안 되며, 말해서도 안 되는 것이 많은 사회는 죽은 민주주의, 즉 폐쇄사회다. 열린사회는 비판과 토론이 자유로운 시민사회로서 공존을 지향하는 사회다. 인간의 존엄성이 지켜지는 사회이며 진영 논리가 지배하는 분열된 사회가 아니라 합리적 논의가 가능한 사회다.
참고문헌
http://sso3208.tistory.com/90 <감시와 처벌사회를 고발한 푸코> [2014.12.6 검색]
http://gspress.cauo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175 <금지하는 사회를 금기시하라> [2014.12.6 검색]
http://nermic.tistory.com/m/post/1122# <프로이트와 라캉 정신분석의 이해> [2014.12.6 검색]
http://pilgrimages.tistory.com/119 <스베냐 플라스암러. 우리의 노동은 왜 우울한가> [2014.12.6 검색]
http://blog.naver.com/0117941014?Redirect=Log&logNo=120017271928 <금기라는 이름의 틀>[2014.12.4 검색]
http://blog.naver.com/mind2213?Redirect=Log&logNo=130067739010 <금기의 수수께끼 (성서속의 금기와 인간의 지혜)> [2014.12.4 검색]
http://blog.naver.com/avo3927?Redirect=Log&logNo=100038265740 <금기는 굴레를 돌린다> [2014.12.6 검색]
최창모. 유대교와 이슬람 1장
키워드
추천자료
소크라테스의 변명과 크리톤에서 소크라테스 비교연구
[독후감] 유전자가 세상을 바꾼다
몽테뉴의 에세 (수상록) 감상문
진해시의 경관에 대한 문화지리학적 이해(경관독해)
[독후감/서평/요약] 살아 있는 동안 꼭 해야 할 49가지
전통문화인 한글에 대한 이해와 그 쓰임에 대한 교육적 활용
한반도 대운하 찬성적 입장과 반대적입장 조사, 서술 정리
일본의 요괴문화(애니메이션, 관광산업에서)
[로크][로크사상][로크의 사상]로크의 생애, 로크의 사상, 로크의 정치사상, 로크의 유아교육...
상담사례분석A++레포트 사례개념화 - 행동관찰, 심리검사 결과, 상담 예후
[독서활동]독서활동(독서교육활동) 사례1, 사례2, 독서활동(독서교육활동) 사례3, 독서활동(...
2016년 1학기 한국사회문제 중간시험과제물 D형(한국사회의 노동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