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남북사통속연의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남북사통속연의 22회 23회 24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이십이회 소역번중반탕평 격외변사주윤함
남북사통속연의 22회 반역자를 소탕하고 오랑캐 무리는 평정되고 외부 변란에 격동당해 4주가 함락당하다
제이십삼회 살제형송제남형 호불노위주선통
남북사통속연의 23회 형제를 죽인 송나라 황제는 형벌을 남용하고 부처 노자를 좋아하는 위나라군주는 선위로 대통을 잇다
제이십사회 강상타모친왕수수 전중취침광수음도
남북사통속연의 24회 강가에서에서 음모에 빠진 친왕이 수급을 내주고 대전중에 취해 잠든 미친 아이[유욱]가 칼을 맞다

본문내용

被圍年餘, 力竭降魏。
청 기이주 일석대원 시종부지 최도고고수역성 즉기주치소 피위년여 력갈항위
청주와 기주 2주는 낮이나 밤이나 구원을 기다리나 시종 이르지 않아 최도고는 역성(기주 다스리는 장소)을 고수하며 1년여를 포위하고 힘이 다해 위나라에 항복했다.
沈文秀困守東陽, (卽州治所。)被圍三年, 士卒晝夜拒戰, 甲胄生, 魏將長孫陵, 督衆陷入, 執住文秀, 縛送慕容白曜。
심문수곤수동양 즉청주치소 피위삼년 사졸주야거전 갑주생기슬 위장장손릉 독중함입 집주문수 박송모용백요
심문수는 외롭게 동양(청주를 다스리는 장소)을 지키니 3년간 포위하여 사졸이 낮이나 밤이나 항거해 싸우다 갑주에서 서캐와 이가 생겨 위나라 장수 장손릉은 대중을 감독해 쳐들어와 심문수를 잡고 모용백요를 포박해 보냈다.
白曜喝令下拜, 文秀亦聲道:“汝爲北臣, 我爲南臣, 彼此名位從同, 何必拜汝!”
백요갈령하배 문수역려성도 여위북신 아위남신 피차명위종동 하필배녀
모용백요가 내려 절하게 일갈하니 심문수는 또 사나운 소리로 말했다. “너는 북쪽 신하고 나는 남쪽 신하로 피차 명성과 지위가 같은데 하필 너에게 절하는가?”
白曜倒也起敬, 待以酒食, 始轉送平城。
백요도야기경 대이주사 시전송평성
모용백요는 거꾸로 공경심이 나서 술과 음식으로 대우하여 비로소 평성으로 다시 보냈다.
魏主令爲中都下大夫, 於是、冀二州, 也爲魏有。
위주령위중도하대부 어시청 기이주 야위위유
위나라 군주는 중도하대부로 삼으니 이에 청주와 기주 2주가 위나라 소유가 되었다.
小子有詩歎道:無端挑兵爭, 外侮都因內變生;
소자유시탄도 무단도흔계병쟁 외모도인내변생
내가 시로 다음과 같이 한탄한다. 단서 없이 도전해 전쟁을 일으키며 외부 모욕이 모두 안으로부터 생긴다.
試看四州淪陷日, 知師出本無名。
시간사주윤함일 재지사출본무명
4주가 함락된 날을 보면 겨우 군사가 나섬이 본래 명분이 없음을 알 것이다.
豫州境內, 又有魏兵出入, 虧得有人守住, 擊斬魏將, 得保全。
예주경내 우유위병출입 휴득유인수주 격참위장 재득보전
예주 경내는 또 위나라 병사가 출입해 어떤 사람이 수비해 지켜 위나라 장수를 격퇴해 베고서야 보전이 되었다.
欲知此人爲誰, 且至下回再。
욕지차인위수 차지하회재서
이 사람이 누구인지 알려면 아래 23회에서 다시 서술하길 기다려보자.
  
子勳之死, 咎由自取, 袁、鄧琬、劉胡等, 死有餘辜, 更不足責。
자훈지사 구유자취 원의 등완 유호등 사유여고 경부족책
유자훈의 사망의 탓은 자기가 취함이며 원의, 등완, 유호등의 사망에 허물이 있지만 다시 질책하기에는 부족하다.
子頊、子房、子綏, 同類受誅, 尙不得爲死。
자욱 자방 자수 동류수주 상부득위원사
유자국, 자방, 유자수는 동류로 죽임을 당해도 아직 원망한 사망이라고 하기 부족하다.
子元被留尋陽, 死非其罪, 顧猶得曰受撫軍將軍之僞命, 固不便輕赦也。
자원피류심양 사비기죄 고유득왈수무군장군지위명 고불편경사야
유자원은 심양에 유폐됨은 사망함이 죄가 아닌데 돌아보면 무군장군 거짓 명령을 받았어도 진실로 가벼이 사면하기 불편하다.
子仁以下共九人, 年皆沖幼, 又未嘗趨附子勳, 何罪何辜, 乃盡賜死?
자인이하공구인 년개충유 우미상추부자훈 하죄하고 내진사사
유자인 이하 9명은 나이가 모두 어려 또 아직 일찍이 유자훈에게 붙지 않았는데 어느 죄와 허물도 다 사형을 하사하는가?
休仁原是不仁, 而宋主彧之妄加鋤戮, 擧孝武遺胄而悉屠之, 安得謂非殘忍乎?
휴인원시불인 이송주욱지망가조륙 거효무유주이실도지 안득위비잔인호
胄 [yi zhou] 子;后裔
유휴인은 원래 인자하지 않고 송나라 군주 유욱은 망령되게 주륙을 도와 효무제 후예를 다 죽이니 어찌 잔인하지 않는가?
子勳旣敗, 餘黨盡降, 薛安都亦奉表歸命, 無端發兵十五萬, 往迎安都, 可已不已, 激成外變, 卒至徐、袞、、冀四州, 相繼淪沒。
자훈기패 여당진항 설안도역봉표귀명 무단발병십오만 왕영안도 가이불이 격성외변 졸지서 연 청 기사주 상계윤록
유자훈이 이미 패배하여 잔당이 모두 항복해 설안도도 또 표를 받들어 귀순하나 단서없이 15만병사를 출발해 설안도를 맞이하러 가니 그만두어야 하는데 그치지 않아 외부 견고를 격동시키고 종내 서주, 연주, 청주, 기주의 4주를 계속 함락되게 했다.
江左小朝, 不及北魏之半, 又復失去四州, 是地且益小矣。
강좌소조 불급북위지반 우부실거사주 시지차익소의
장강좌측 작은 조정은 북위의 절반도 못되는데 또 다시 4주를 잃어 땅이 더욱 작아졌다.
嗚呼劉弄巧反拙, 原厥禍始, 實誤於“驕”之一字。
오호우면농교반졸 원궐화시 실오어교지일자
아아! 유면은 잘하려다 오히려 망쳐 재앙의 시작을 만들어 실제 교만 한 글자에서 잘못했다.
裴子野謂齊桓矜於葵邱, 而九國叛, 曹公不禮張松, 而三國分, 合以宋主彧之失四州, 幾成鼎足, 乃知持盈保泰之固自有道也。
배자야위제환긍어계구 이구국반 조공불례장송 이삼국분 합이송주욱지실사주 기성정족 내지지영보태지고자유도야
持盈保泰:지위 또는 현상을 유지하다
*배송지의 증손자였던 배자야(裴子野)가 원고를 수정하여 『송략(宋略)』 20권을 찬하였다.
배자야는 제나라 환공이 계규에서 오만해 9나라가 반란하고, 조조공은 장송을 예우하지 않아 3국이 분열하고 송나라 군주 유욱이 4주를 잃은 것은 거의 3솥발처럼 생길뻔하니 현상유지가 진실로 방도가 있음이다.
第二十三回 殺弟兄宋帝濫刑 好佛老魏主禪統
제이십삼회 살제형송제남형 호불노위주선통
남북사통속연의 23회 형제를 죽인 송나라 황제는 형벌을 남용하고 부처 노자를 좋아하는 위나라군주는 선위로 대통을 잇다.
却說豫州刺史劉甫經任, 聞魏司馬趙懷仁, 入寇武津, 遣龍將軍申元德, 出兵截。
각설예주자사유면포경이임 문위사마조회인 입구무진 극견요양장군신원덕 출병난절
각설하고 예주자사 유면이 겨우 임지에 이르고 위나라 사마 조회인이 무진에 쳐들어옴을 듣고 빨리 요양장군 신원덕을 보내 병사로 막아 끊게 했다.
元德擊退魏兵, 且斬魏于都公閼于拔, 獲運車千三百乘, 魏移師寇義陽, 又由使參軍孫臺灌把他驅逐, 豫州幸無事。
원덕격퇴위병 차참위우도공알우발 획운거천삼백승 위이사구의양 우유면사참군손대관파타구축 예주재행무사
신원덕은 위나라 병사를 격퇴하고 위나라 우도공 알우발을 참수하고 운반 수레 1300대를 획득하고 위나라는 군사를 의양에 옮겨 쳐들어가 또 유면은 참군손대관에게 그들을
  • 가격10,000
  • 페이지수71페이지
  • 등록일2017.09.15
  • 저작시기201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4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