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미래엔 전문가 분야도 작은 단위의 ‘부속 작업’들로 분해되어, 인공지능 로봇이나 그 로봇을 활용한 비전문가들에게 위임될 것이다. 저비용 고효율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은 대세이기 때문에 거스를 수 없다. 전문직의 본래 의미로 회귀하는 셈이다. 전문직 탄생 목적이 분업을 통한 효율적 일처리였다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야 비로소 그 목적을 달성하는 셈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학] 서구의 산업혁명과 노동운동에 대해서
영국의 산업혁명 [분석/조사]
[인문과학] 영국의 산업혁명
산업혁명과 근로가치와 노동의 개념
(세계의도시와건축)[건축의 사회사 - 산업혁명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 서평
[독후감/서평/요약] 러시아의 산업혁명
(대학생) 산업혁명 이전의 환경문제
미국 경제발전, 성공요인, 산업혁명, 성장 전략, 시장 정책, 경제위기 극복, 문제점, 전망, ...
미국의 경제발전, 성공요인, 산업혁명, 성장 전략, 시장 정책, 경제위기 극복, 문제점, 전망,...
독일의 산업혁명
영국 산업혁명의 의의
아주대 기술과사회 독서보고서 [교재 요약+독후감] 8장 - 산업혁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