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목차
서장 - 교육사 공부의 목적과 교육관의 비교
제1장 고대 삼국 시기의 교육
제2장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
제3장 고려 시대의 교육
제4장 조선 전기의 교육
제5장 조선 중기의 교육
제6장 조선 후기의 교육
제7장 근대 시기의 교육
제8장 고대의 교육
제9장 중세의 교육
제10장 근대 전기(15∼16세기)의 교육
제11장 근대 중기(17∼18세기)의 교육
제12장 근대 후기(19세기)의 교육
제13장 현대의 교육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
제1장 고대 삼국 시기의 교육
제2장 통일신라와 발해의 교육
제3장 고려 시대의 교육
제4장 조선 전기의 교육
제5장 조선 중기의 교육
제6장 조선 후기의 교육
제7장 근대 시기의 교육
제8장 고대의 교육
제9장 중세의 교육
제10장 근대 전기(15∼16세기)의 교육
제11장 근대 중기(17∼18세기)의 교육
제12장 근대 후기(19세기)의 교육
제13장 현대의 교육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해설 포함) *
본문내용
제4장 조선 전기의 교육
1. 조선 전기의 사회와 문화
(1) 중앙집권체제의 구축
① 학교제도의 정비: 중앙에 성균관과 4학 설립, 지방의 부·목·군·현에 향교 설립
② 지방관 중심의 교육행정체제 수립: 모든 지방관에게 학교홍(學校興), 즉 학교교육을 진흥시키는 것을 수령칠사(守令七事; 일곱 가지 주요 임무) 중 하나로 부과
(2)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① 양반: 문반과 무반, 즉 문·무의 관직을 차지할 수 있는 사회적 신분층
② 양반의 사회적 기반이 크게 확대: 양반 계층으로 진출하는 제도적 통로로서 음서의 비중이 줄고 과거의 중요성이 높아져 관학은 물론 여러 형태의 사학에서 활발한 교육이 이루어짐
(3) 철저한 유교 중심 사회
① 강력한 억불숭유 정책 추진: 도첩제 강화, 사찰 폐쇄, 사찰 소속 토지와 노비 몰수, 종단 통폐합 등
② 유교 의례의 보급
- 불교 의례나 무속적 방식에 따라 거행되던 상·제례를 『주자가례』에 의한 유교적 상·제례로 대체
- 초제(醮祭)를 비롯한 각종 도교 행사 폐지
- 중략 -
1. 조선 전기의 사회와 문화
(1) 중앙집권체제의 구축
① 학교제도의 정비: 중앙에 성균관과 4학 설립, 지방의 부·목·군·현에 향교 설립
② 지방관 중심의 교육행정체제 수립: 모든 지방관에게 학교홍(學校興), 즉 학교교육을 진흥시키는 것을 수령칠사(守令七事; 일곱 가지 주요 임무) 중 하나로 부과
(2)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① 양반: 문반과 무반, 즉 문·무의 관직을 차지할 수 있는 사회적 신분층
② 양반의 사회적 기반이 크게 확대: 양반 계층으로 진출하는 제도적 통로로서 음서의 비중이 줄고 과거의 중요성이 높아져 관학은 물론 여러 형태의 사학에서 활발한 교육이 이루어짐
(3) 철저한 유교 중심 사회
① 강력한 억불숭유 정책 추진: 도첩제 강화, 사찰 폐쇄, 사찰 소속 토지와 노비 몰수, 종단 통폐합 등
② 유교 의례의 보급
- 불교 의례나 무속적 방식에 따라 거행되던 상·제례를 『주자가례』에 의한 유교적 상·제례로 대체
- 초제(醮祭)를 비롯한 각종 도교 행사 폐지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