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민심서 주요내용 소개
2. 목민심서의 현대사회 적용
3. 목민심서를 읽고나서 느낀점
2. 목민심서의 현대사회 적용
3. 목민심서를 읽고나서 느낀점
본문내용
이지 않고 보다 실천적인 도를 강조하였으며, 백성이 곤란을 당하게 되면 이를 제도적으로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도와준다는 것은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이라고 하여 일시적 구호보다는 지속적인 관심이 더 중요하다고 하였다. 매년 같은 재해가 반복되는 우리 현실을 고려해 볼 때 이 지속적인 관심은 제도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군대와 병무에 관한 병폐를 일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군대 조직과 외침에 대한 전략, 소송과 판결, 집행, 제례나 교육에 이르기까지 소상히 밝혀놓아 이대로만 하면 누구라도 목민관직을 훌륭히 수행해낼 수 있을 정도다. 특이한 것은 죄수들의 인권에 관한 언급이 나오는데, 당시의 사회 분위기를 고려할 때 감히 생각해볼 수 없는 부분으로 다산의 휴머니즘적 인간관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목민심서\'의 마지막 부분은 `해관육조(解官六條)\'다. 이는 목민관이 관직을 벗게 될 때의 자세와 백성들의 반응을 기록한 부분이다. 그는 이렇게 적고 있다.
`벼슬이란 반드시 바뀌는 법이다. 바뀌더라도 놀라지 않고, 잃더라도 안타까워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그를 존경할 것이다. 떠나는 길에 백성들이 석별의 정을 말씨에 나타낸다면 역시 이 세상의 지극한 영광일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로지 백성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하는 관리의 자세에 대한 그의 태도가 자못 비장하기까지 하다.
2. 목민심서의 현대사회 적용
목민심서는 현대에서도 적용이 된다. 물론 지칭하는 것이나 정치를 함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으나 목민관으로서의 자세와 백성을 위한 마음에 있어서는 현제 우리 공무원의 자세를 말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정치를 하시는 분들이 목민심서가 좋은 책이라고 말한 것을 본적이 있다. 과연 그들은 목민심서를 읽었을까? 공무원들이 이 글을 읽고 그 뜻을 잘 생각해서 자신의 마음을 다졌으면 하는 생각이든다. 말로만 좋은글이 아닌 그들이 정말 목민심서를 읽고 느꼈으면 한다. 그러면 이사회가 좀더 나아지지 않을까? 지금 같은 정치 현실에서 한국의 미래는 과연 밝은 것인가에 대한 거창한 생각도 한다. 목민심서는 말 그대로 관리들의 백성에 대한 올바른 `정치 지침서`이다. 정약용은 당시 조선의 관리들의 악마적 수탈과 부패에 반기하여 관리들에게 올바른 윤리의식을 심어주고자 책을 저술하였던 것이다. 특히 지금의 정치상황과 결부시켜서 생각해보았는데. 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우리 나라는 정치발전이 왜 이렇게 더딘 것인가 하는 것이다. 정약용이 얼마나 조선정치에 현실에 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면 다른 나라에서도 전무후무한 관리에 대한 지침서를 만들었을까? `동방의 예의지국`이라 지금도 주저없이 자처하는 우리 나라가 과연 정말로 그런지 의심스러울 뿐이다. 목민심서는 관리들의 청렴을 강하게 주장한다. 비록 아래서부터의 개혁이 아니라 위로부터의 개혁을 주장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청렴한 관리만이 나라를 살찌운다고 했다. 하지만 이 `청렴`이라는 단어는 한민족과 별로 관계가 없는 듯 하다.
예나 지금이나 정치부패는 여전하기
군대와 병무에 관한 병폐를 일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군대 조직과 외침에 대한 전략, 소송과 판결, 집행, 제례나 교육에 이르기까지 소상히 밝혀놓아 이대로만 하면 누구라도 목민관직을 훌륭히 수행해낼 수 있을 정도다. 특이한 것은 죄수들의 인권에 관한 언급이 나오는데, 당시의 사회 분위기를 고려할 때 감히 생각해볼 수 없는 부분으로 다산의 휴머니즘적 인간관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목민심서\'의 마지막 부분은 `해관육조(解官六條)\'다. 이는 목민관이 관직을 벗게 될 때의 자세와 백성들의 반응을 기록한 부분이다. 그는 이렇게 적고 있다.
`벼슬이란 반드시 바뀌는 법이다. 바뀌더라도 놀라지 않고, 잃더라도 안타까워하지 않으면 백성들은 그를 존경할 것이다. 떠나는 길에 백성들이 석별의 정을 말씨에 나타낸다면 역시 이 세상의 지극한 영광일 것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로지 백성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고 하는 관리의 자세에 대한 그의 태도가 자못 비장하기까지 하다.
2. 목민심서의 현대사회 적용
목민심서는 현대에서도 적용이 된다. 물론 지칭하는 것이나 정치를 함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으나 목민관으로서의 자세와 백성을 위한 마음에 있어서는 현제 우리 공무원의 자세를 말하는 것과 무엇이 다를까? 정치를 하시는 분들이 목민심서가 좋은 책이라고 말한 것을 본적이 있다. 과연 그들은 목민심서를 읽었을까? 공무원들이 이 글을 읽고 그 뜻을 잘 생각해서 자신의 마음을 다졌으면 하는 생각이든다. 말로만 좋은글이 아닌 그들이 정말 목민심서를 읽고 느꼈으면 한다. 그러면 이사회가 좀더 나아지지 않을까? 지금 같은 정치 현실에서 한국의 미래는 과연 밝은 것인가에 대한 거창한 생각도 한다. 목민심서는 말 그대로 관리들의 백성에 대한 올바른 `정치 지침서`이다. 정약용은 당시 조선의 관리들의 악마적 수탈과 부패에 반기하여 관리들에게 올바른 윤리의식을 심어주고자 책을 저술하였던 것이다. 특히 지금의 정치상황과 결부시켜서 생각해보았는데. 왜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우리 나라는 정치발전이 왜 이렇게 더딘 것인가 하는 것이다. 정약용이 얼마나 조선정치에 현실에 관해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면 다른 나라에서도 전무후무한 관리에 대한 지침서를 만들었을까? `동방의 예의지국`이라 지금도 주저없이 자처하는 우리 나라가 과연 정말로 그런지 의심스러울 뿐이다. 목민심서는 관리들의 청렴을 강하게 주장한다. 비록 아래서부터의 개혁이 아니라 위로부터의 개혁을 주장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청렴한 관리만이 나라를 살찌운다고 했다. 하지만 이 `청렴`이라는 단어는 한민족과 별로 관계가 없는 듯 하다.
예나 지금이나 정치부패는 여전하기
추천자료
(독서감상문) 자원전쟁을 읽고
(독서감상문) 제휴마케팅을 읽고
(독서감상문) 경제학 패러독스를읽고
[독후감/서평/요약] (독서감상문) 돈은 아름다운 꽃이다를 읽고
(독서감상문) 디테일의 힘을 읽고나서
(독서감상문) 부의비밀 실행편을 읽고
[독서감상문]이타적 유전자를 읽고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독서감상문
루소 에밀 독서 감상문 - 루소의 삶과 철학, 시대적 배경, 에밀에 나타난 루소의 교육사상
갈매기의 꿈 감상문
[독서활동][독서교육활동]독서활동(독서교육활동)의 사례1, 사례2, 독서활동(독서교육활동)의...
[독후감] 건방진 도도군 (서평, 독서감상문) 강정연 저자
[독후감] 무례한 사람에게 웃으며 대처하는 법 (서평, 독서감상문) 정문정 저
[독후감] 눈보라 체이스 (서평, 독서감상문) 히가시노 게이고 저자
소개글